광주 상무역 지하도를 건너다가 벽에 걸린이 두 사진 앞에서 얼어붙은 듯한동안 서 있었습니다청춘과 자유인...노인과 젊은이...주름....이내 인생은 학교 같은 것이라는... 인생은 한 권의 책을 쓰는 여정이라는...우리는 지금 그 한 페이지씩을 쓰고 있다는 사실... 누구에게나 인생 40년은 텍스트를 주고남은 30년은 주석을 단고 하죠남은 생애 멋진 주석을 달며천천히, 여백과
목포항에서 중국 방향으로 97Km 해상에 떠 있는 섬, 흑산도. 산세와 물빛이 너무 푸르다 못해 짙푸르게 검은 색을 띠고 있다 하여 붙여진 이름, 흑산도. 바다가 유난히 깊어 검고 해안 숲들도 검푸른 윤기를 자랑하며 흑산도가 섬 전체가 왜 다도해국립공원으로 지정돼 있는지를 실감케 한다. 상라봉 정상으로 오르는 길은 강원도 미시령 고갯길처럼 남다른 감회를 느끼게 했다.
정말 비단처럼 아름답다. 예쁜 색감과 화려한 무늬를 지녀서 비단조개라고 부른다. 정식 명칭은 민들조개. 영남북부와 강원도에서는 째복, 남해안과 서해안에서는 백합이라고 부른다. 비단조개는 수심 20미터 정도의 모래에서 서식한다. 껍데기는 견고한 편이고 나비 모양이다. 표면은 흰색이며 안쪽은 밝은 오렌지색이다. 단백질, 비타민 B12, 비타민C, 아연, 미네랄이 풍부해 근
겨울철 별미인 피꼬막은 12월부터 3월까지가 제철이다. 피꼬막은 꼬막류 중에서 가장 크고, 색깔도 가장 붉다. 조갯살이 붉게 생겨 피꼬막이라고 부른다. 피조개라고도 부른다. 붉은 색은 피가 아니라 헤모글로빈이 많아 붉게 보인다. 단백질 함량이 높고 저열량으로 다이어트에 효과적이다. 철과 비타민A, 비타민B12가 풍부해 빈혈예방 효과와 시스테인, 아미노산 및 티로신이 풍
다도해해상국립공원인 완도 정도리 구계등 갯돌 해변 풍경이다. 크고 작은 갯돌들이 9개의 계단을 이룬다는 뜻에서 구계등이라고 부른다. 갯돌이 파도에 쓸리면서 작은 계곡처럼 9개 등성이를 이루는 모양새의 해변이다. 앞으로는 청정바다와 섬들이 펼쳐지고 뒤로는 상록수, 단풍나무 등 방풍림이 우거져 있다. 갯돌해변의 길이는 800m, 폭은 200m. 해조음에 귀기울이며 치유명상
6월에 피는 대표적인 꽃 중의 하나가 수국이다. 수국은 풍성한 자태가 특징이다. 장마철을 맞아 피는 꽃답게 물을 엄청 흡입한다. 높이는 1m 내외 정도로 자란다. 화분에서 키울 때는 15~20cm 정도가 적당하다. 꽃말은 냉정, 무정인데, 진실한 사랑, 진심, 인내심이 강한 사랑이라는 꽃말도 있다.서귀포, 장생포, 태종대, 고흥 쑥섬, 신안 도초도 등에서는 6월에 수국축제를 연다.
이틀 후면 갑진(甲辰)년 푸른 용의 해를 밝히는 설날이다. 십이지(十二支)의 다섯 번째 동물에 해당하는 용은 비, 구름, 바람의 조화를 다스리는 존재로, 우주에 존재하는 신성한 힘과 질서를 상징하는 상상의 동물로 알려졌다. 주로 신성함, 권력, 성공, 성취에 관련된 의미를 지니고 있다. 이 용의 힘찬 기상과 웅비의 기운을 한껏 느낄 수 있는 곳이 바로 전북 김제 벽골제의 쌍
최근 광화문 광장은 아직 떠나지 못한 여름과 높고 푸른 가을이 공존하는 느낌이다.한쪽은 분수가 높이 솟아오르고, 또 한쪽은 가을철 나무 그늘 아래서 쉬는 시민들 풍경이다.그리고 광장의 명물인 이순신 동상이 서 있다.광화문 광장의 대표 포토존이다.그런데 충무공은 시선을 왜 멀리 바라보지 않고 바로 아래를 응시하고 있는 것일까?
어디론가 훌쩍 떠나고 싶은 계절이다.3면이 바다인 우리나라에는 이런 마음을 달래주는 섬과 바다가 공존한다. 서해 끝섬, 격렬비열도 등대 앞 해안절벽 위에서 사진 촬영에 몰입한 박상건 시인(섬문화연구소장),그리고 가거도 등대에서 희끗희끗 보이는 소구글도 영해기점 조형물,동해안 주문진 바닷가 파도소리를 포토뉴스 사진으로 꾸몄다.
지난 5월 10일은 제10회 ‘바다식목일’이었다. 정부는 훼손된 연안생태계를 복원하고 해양생태계의 중요성에 대한 시민들의 관심을 고취하기 위해 지난 2012년애 5월 10일을 ‘바다식목일’로 지정해 2013년부터 기념행사를 개최해왔다. 바다식목일은 ‘바닷속에 해조류를 심는 날’로, 사막화되어가는 바다를 되살리기 위해 해조류를 심어 육지의 숲과 같은 &lsq
3월 21일이 춘분이다. 24절기 중 네 번째 절기다. 낮과 밤의 길이가 같은 날이다. 사람들은 춘분을 전후해 화초를 파종한다. 집집마다 화분과 화단 꾸미기가 한창일 게다. 모처럼 시장통과 꽃시장도 봄 분위기가 달아오른다. 농촌도 춘분을 시작으로 흙 일구기와 농사 준비가 한창이다.농부님에게도 우리들에게도...그렇게, 새봄이 오고 있다. 겨우내 찬바람에 견딘 나목에도푸른
단풍도 붉게 타올랐다. 들국화도 노랗게 물들었다. 푸른 열매를 알알이 열렸던 상수리나무는 도토리를 우수수 떨구더니 엽록소가 다 빠져 나간 낙엽을 굴리고 있다. 계곡물, 새소리도 젖어가는 그 숲길을 올 한해 열심히 살아온 사람들이 거닐고 있다. 그렇게, 가을이 깊어가고 있다.
가을이다. 마음도 자연 풍경도 설레는 그런 가을이다. 아무도 없는 섬에서...홀로 여유와 여백의 시간을 보내는 섬 여행을 떠나보자...낮에는 조금 덥지만 파라솔을 펴고 낚시를 한다. 물이 들어오면 무릎까지 차오르는 밀물의 속살을 느끼며 저 바다에 낚싯대를 드리고 가을 낚시를 즐긴다. 밤이면 텐트 창밖으로 밤하늘을 만나고 사색과 낭만의 밤을 보낸다. 새벽이면 좀 춥
신안군 지도 송공선착장 위판장에서 만난 준치. 썩어도 준치라는 말이 있다. 그만큼 물고기가 맛이 있다는 뜻. 한자로 진어(眞魚). 진짜 생선이란 뜻이다. 정약전 자산어보에서는 시어(鰣魚)라고 표현했다. 물고기 어(魚)변에 때 시(時)자를 썼다. 제철 지나면 사라지는 물고기라는 뜻. 자산어보에서는 시어를 “살이 통통하여 맛은 좋으나 가시가 많다”고.
‘2022 한국국제낚시박람회’가 지난 11일부터 13일까지 3일간 고양시 킨텍스 제1전시장 3홀에서 열렸다. 본격적인 낚시 시즌을 맞아 다양한 낚시 관련 단체와 기업들이 참가하여 최신 트렌드와 상품을 선보였다. 현장에서 저렴한 낚시용품 아울렛이 운영돼 낚시인들의 큰 호응을 얻었다. 경기도는 같은 날 같은 기간 동안 킨텍스와 김포 ‘아라마리나’에서 ‘2022
잘피는 연안의 모래나 펄 바닥에 뿌리를 내리고 사는 여러해살이 바다 식물이다. 잘피 생태계는 어민들 삶의 터전인 바다의 풍요로운 미래를 가늠하는 척도로 통한다. 연중 무성한 군락을 이뤄 어린 물고기의 은신처가 되고 풍부한 산소와 유기물은 수산생물들이 서식하는 데 큰 도움을 준다. 사진은 양양군 동산항 어항 바닷속 풍경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