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석 연휴 추억의 등대여행 명소 4곳

탁 트인 오션뷰, 동백꽃, 해맞이 명소에서 힐링
박상건 기자 2025-10-02 10:58:10
추석 황금연휴를 맞아 가족과 함께 잊을 수 없는 가을 등대여행을 떠나보면 어떨까? 한국항로표지기술원(원장 박광열)은 추석 연휴를 맞아 부산 영도등대, 여수 오동도등대, 울산 간절곶등대, 울산 울기등대 등 등대해양문화공간을 품은 ‘인생샷 등대 4선’을 추천했다.
 

인생샷 등대는 아름다운 풍광과 함께 다채로운 문화와 예술 콘텐츠를 품은 등대해양문화공간을 함께 즐길 수 있어 2030 젊은층은 물론 외국인 관광객들의 발길이 끊이지 않는 핫플레이스로 인기가 높다. 

 
영도 등대(사진=섬문화연구소DB)


1906년부터 부산 앞바다를 묵묵히 지켜온 부산 영도등대는 남해안 최고 핫스팟으로 손꼽힌다. 2004년 해양문화공간으로 새 단장을 거치며 예술의 옷을 입었다. 등대 자체의 아름다움뿐 아니라, 내부 전시공간인 ‘See&Sea 갤러리’에서 ‘바다 끝, 기억의 빛’과 같은 특별한 참여형 전시도 만날 수 있으며, 광활한 바다를 배경으로 펼쳐지는 야외 공연은 등대를 찾는 이들에게 잊지 못할 낭만을 선사한다.
 

영도등대 인근에는 탁 트인 바다를 조망할 수 있는 태종대전망대와 오륙도 스카이워크, 감각적인 골목길로 유명한 ‘흰여울 문화마을’도 있어 함께 둘러보면 부산 바다의 찐 매력을 온몸으로 느낄 수 있다. 등대 100주년을 맞아 1박2일 등대원과 함께 하는 섬사랑시인학교 캠프가 열렸던 등대이기도 하다. 


오동도 등대(사진=섬문화연구소DB)

 
여수의 심장, 오동도 정상에 자리한 오동도등대는 동백꽃의 붉은 물결이 장관을 이루는 곳이다. 1952년부터 여수 바다를 지켜온 상징적 존재로, 2011년 해양문화공간 개방 이후 전망대용 엘리베이터로 쉽게 방문할 수 있게 됐다. 홍보관과 전시실에서는 등대와 바다의 흥미로운 역사를 만날 수 있으며, 드넓은 등대광장과 야외무대에서는 계절마다 다채로운 문화행사가 열려 사시사철 눈과 귀가 즐겁다. 특히 가을에는 푸른 오동나무 숲과 동백꽃 군락이 만들어내는 산책로를 걷는 것만으로도 힐링을 선사한다.
 

등대에서 가까운 여수 해상케이블카를 타고 바다를 가로지르거나, 밤에는 낭만포차 거리에서 특별한 추억을 만들 수도 있다. 여수 학생, 학부모들과 함께 하는 섬사랑시인학교 가을캠프가 열린 등대이기도 하다.
 

한반도에서 가장 먼저 해가 뜨는 곳으로 유명한 간절곶등대는 ‘해맞이 명소’로 불리며 오랜기간 사랑받아 왔다. 2001년부터 전망대와 홍보관을 통해 항로표지 장비, 디오라마, 아름다운 등대 사진 등 다양한 전시물을 선보이고 있으며, 등탑 주변의 감각적인 조형 작품들은 야외 갤러리에 온 듯한 느낌을 주고, 탁 트인 동해의 시원한 풍광은 명절연휴의 여유를 만끽하기에 더할 나위 없는 명소다.


해 뜨는 간절곶등대(사진=섬문화연구소DB)

 

인근에는 해돋이를 보며 소원을 빌기 위해 많은 이들이 찾는 ‘해맞이 광장’과 한반도의 역사를 엿볼 수 있는 ‘서생포 왜성’, 맑고 푸른 바다가 펼쳐진 ‘진하 해수욕장’이 있어 함께 방문하기 좋다.
 

울산 울기등대는 숲과 바다가 어우러진 힐링 스팟이다. 1906년 처음 점등된 이 등대는 영상체험관, 선박조종 체험관, 무신호기 전시실 등 다양한 시설이 아이들의 호기심을 자극하며, 문학전망대에서 바라보는 대왕암의 절경을 파노라마로 감상할 수 있다. 특히, 국가등록문화재 제106호로 지정된 구등탑이 시간의 무게를 고스란히 간직한 채 신등탑 옆에 보존돼 있어, 역사적 가치도 느낄 수 있다.


울기등대(사진=섬문화연구소DB)

 

대왕암공원 숲길을 따라 산책을 즐기며 울기등대를 둘러본 후, 303m의 출렁다리도 만나볼 수 있다. 시원한 바다와 함께 가족 여행객들에게 사랑받는 여행코스다.
 

박광열 한국항로표지기술원 원장은 “등대는 더이상 바다 위의 길잡이 역할만이 아닌, 문화와 휴식이 공존하는 특별한 등대해양문화공간으로 자리잡고 있다”며 “이번 추석 연휴에는 가족과 함께 가까운 아름다운 등대를 찾아 바다의 역사와 문화를 체험하며 잊지 못할 추억을 만들어 보길 바란다”고 말했다.
    박상건(시인. 섬문화연구소장)

섬TV

서정춘, ‘랑’

서정춘, ‘랑’

랑은이음새가 좋은 말너랑 나랑 또랑물 소리로 만나서사랑하기 좋은 말 - 서정춘, '랑’ 전문 팔순 고갯마루의 서정춘 시인이 제 7시집 ‘랑&rsq
박화목, '보리밭'

박화목, '보리밭'

보리밭 사이길로 걸어가면뉘 부르는 소리 있어 나를 멈춘다옛 생각이 외로워 휘파람 불면고운노래 귓가에 들려온다 돌아보면 아무도 보이지 않고저녁
日・中, 우리바다 넘본 이유

日・中, 우리바다 넘본 이유

대한민국은 3면이 바다인 해양민족이다. 늘 푸른 바다, 드넓은 바다, 3000여 개가 넘는 섬들은 우리네 삶의 터전이자 해양사가 기록되고 해양문화가 탄
등대 노을 낚시 명소, 신진도

등대 노을 낚시 명소, 신진도

신진도는 충남 태안반도 가장자리 끝지점에 위치한 섬으로 해안선 길이가 7km이다. 신진도에는 312 가구에 683명이 거주하고 국가어항이다. 안흥항에서
(7) 푸른 하늘, 푸른 잎의 미학

(7) 푸른 하늘, 푸른 잎의 미학

봄이 왔다. 푸른 하늘이 열리는 청명을 지나 본격적인 농경이 시작되는 곡우를 앞두고 봄비가 내렸다. 농어촌 들녘마다 새싹이 무럭무럭 자라나 올 농
(7) 떠나가고 싶은 배

(7) 떠나가고 싶은 배

코로나로 모두가 묶여 있은 세상. 떠나고 싶다. 묶인 일상을 풀고 더 넓은 바다로 떠나고 싶다. 저 저 배를 바라보면서 문득, 1930년 내 고향 강진의 시인
(6) 호미와 삽

(6) 호미와 삽

소만은 24절기 가운데 여덟 번째 절기다. 들녘은 식물이 성장하기 시작해 녹음으로 짙어진다. 소만 무렵, 여기저기 모내기 준비로 분주하다. 이른 모내
이육사, ‘청포도’

이육사, ‘청포도’

내고장 칠월은청포도가 익어 가는 계절 이 마을 전설이 주절이 주절이 열리고,먼 데 하늘이 꿈꾸며 알알이 들어와 박혀, 하늘 밑 푸른 바다가 가슴을
박상건, '꿈꾸는 격렬비열도'

박상건, '꿈꾸는 격렬비열도'

망망대해 그 너머연사흘 흰 거품 물고 칠천만 년 꾹꾹 눌러 둔 고독이 마침내 폭발하더니만, 깊고 깊어 푸른 그 그리움 더 어쩌지 못하고 파도소리 뜨
유안진, ‘지란지교를 꿈꾸며’

유안진, ‘지란지교를 꿈꾸며’

저녁을 먹고 나면 허물없이 찾아가차 한 잔을 마시고 싶다고 말할 수 있는 친구가 있었으면 좋겠다.입은 옷을 갈아입지 않고 김치냄새가 좀 나더라도
그 섬에 다시 갈 수 있을까

그 섬에 다시 갈 수 있을까

아마추어 사진동호회의 총무, K의 전화를 받은 건 며칠 전이었다. 모처럼의 통화였지만 K의 목소리는 어제 만나 소주라도 나눈 사이처럼 정겨웠다. &ldqu
하와이 제도 <7> 하와이 아일랜드

하와이 제도 <7> 하와이 아일랜드

하와이 아일랜드는 하와이 제도에서 가장 크고 제일 어린 섬이다. 빅 아일랜드라는 별명에 걸맞게 다른 하와이의 섬들을 모두 합친 것보다 거의 두 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