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8년간 제주 바다 밝힌 우도등대 체험관 리모델링·재개관

한규택 기자 2024-04-18 15:41:30
우도는 제주 성산포에서 북동쪽으로 3.8km 해상에 위치한다. 행정구역상 제주도 북제주군 우도면에 속해있다. 면적은 5.9㎢, 해안선 길이는 16.1㎞이다. 우도는 대부분 평탄한 용암삼각주로 되어 있는 화산도이다. 섬의 높이가 대부분 30m 이내일 정도로 구릉지와 평지로 이루어져 있다. 우도는 섬 모양새가 마치 드러누운 소와 같다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우도 앞바다 중간 지점에서 섬을 바라보면 이러한 소의 모양을 확인할 수 있다.

우도 정상에 우뚝선 우도등대 전경(사진=제주도 공식관광정보포털 '비짓제주' 제공)

우도등대는 우도 정상인 우도봉(132m)에 우뚝 서 있다. 1906년에 불을 밝히기 시작한 제주에서 최초로 세워진 등대다. 당시 일본은 러일전쟁 중에 우도와 성산포 사이 우도해협의 거센 물살로 인해 군수물자를 운반하면서 잇따라 조난사고를 당했다. 이에 일본은 등대를 건립하도록 조선 정부에 명령했고, 공사가 늦어지자 일본군이 직접 우도 사람을 강제로 동원해 등대를 세웠다.

1906년 3월에 첫 불을 밝힌 우도등대는 우리나라에서 6번째로 세워진 등대다. 맨 처음에는 우도봉 튀어나온 절벽 위에 목재로 세워져 석유 등불을 기둥에 매단 형태였다. 성산포와 대한해협 남동쪽 바다의 야간 항해를 돕는 표지 역할 수준이었다. 그러다가 해방 이후 1960년 3월에 축전지 및 발전기를 사용하여 전원을 공급할 수 있는 등명기를 달았고, 안개 등으로 불을 밝힐 수 없을 상황에 대비해 무신호기(에어사이렌)를 설치했다. 

우도등대와 등대공원(사진=제주도 공식관광정보포털 '비짓제주' 제공)


2003년 12월에는 높이 16m의 원형 대리석 구조물로 최신 등대를 옛 등대 옆에 신축했고, 국내 기술로 개발한 대형 회전식 등명기를 설치해 50km 밖에서도 확인 가능한 불빛을 비추고 있다. 2006년에는 우리나라 최초로 등대를 테마로 한 등대공원을 조성하여 지역 경제 발전에 기여하고 있다. 등대공원에서는 홍보 전시실 및 항로 표지 3D체험관과 세계 7대 불가사의 중 하나인 파로스 등대 등 국내외 유명한 등대 모형 14점을 전시하여 우도봉에 오른 사람들에게 즐거움을 주고 있다. 

이 우도등대는 해녀들의 항일봉기 역사를 간직한 역사문화적 유산이기도 하다. 1932년 우도 해녀들은 자신들이 채취한 해산물을 상인들이 조합과 야합해 착취하자, 이에 격분해 수백 명이 항일봉기를 일으켰고, 이 유례없는 여성들의 항일운동을 기리기 위해 현재 우도 포구에는 해녀상과 해녀노래비가 세워져 있다. 

우도등대에서 바라본 우도 전경(사진=섬문화연구소DB)


이 우도등대의 체험관이 20년 만에 리모델링 후 재개관한다. 부산지방해양수산청 제주해양수산관리단은 우도등대에 8억 원을 들여 체험관을 리모델링한다고 15일 밝혔다.

우도등대는 높이 16m의 등탑과 홍보관이 있는 등대동, 국내·외 주요 등대 미니어처가 전시된 등대공원 및 체험관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지난 2004년 조성된 체험관은 열악한 해상환경으로 인해 철골조 부식과 내부 누수로 약 2년 동안 운영이 중지됐다. 제주해양수산관리단은 이에 따라 지난해 우도등대 체험관 구조변경을 위한 리모델링 설계를 마치고 올해 사업을 추진하게 됐다. 오는 12월 완료 시 기존의 영상과 스케치 등 체험 콘텐츠는 물론 실내 전시동으로 연중 개방된다.

우도등대 체험관 개축 후 조감도(사진=제주해양수산관리단 제공)


이승두 제주해양수산관리단장은 “등대의 기능과 역할을 알리기 위해 지속적으로 우도등대 해양문화공간의 안전과 편의성을 개선하고, 더욱 다양한 볼거리를 제공하겠다”고 밝혔다.

섬TV

신경림, '갈대'

신경림, '갈대'

언제부턴가 갈대는 속으로 조용히 울고 있었다. 그런 어느 밤이었을 것이다. 갈대는 그의 온몸이 흔들리고 있는 것을 알았다. 바람도 달빛도 아닌
타인의 섬으로 여행을 떠나자

타인의 섬으로 여행을 떠나자

‘몰디브, 보라보라, 발리......’ 신문에서 자주 접하는 섬들이다. 이곳에는 무성한 야자수와 금가루 같은 백사장, 그리고 돈 많은 관광객이 있다
日・中, 우리바다 넘본 이유

日・中, 우리바다 넘본 이유

대한민국은 3면이 바다인 해양민족이다. 늘 푸른 바다, 드넓은 바다, 3000여 개가 넘는 섬들은 우리네 삶의 터전이자 해양사가 기록되고 해양문화가 탄
화성시 서신면 전곡항 등대

화성시 서신면 전곡항 등대

화성시 전곡항은 시화방조제가 조성되면서 시화호 이주민을 위해 조성한 다기능어항이다. 항구는 화성시 서신면과 안산시 대부도를 잇는 방파제가 건
충남 당진시 송악읍 안섬포구 등대

충남 당진시 송악읍 안섬포구 등대

아산만 당진시 안섬포구는 서해안 간척 시대의 어제와 오늘, 서해 어촌이 걸어온 길과 관광 대중화에 발맞춰 섬과 포구가 어떻게 달라지는지를 보여주
군산시 옥도면 무녀도

군산시 옥도면 무녀도

새만금방조제를 지나 신시도에서 고군산대교를 지나면 무녀도다. 무녀도는 선유대교를 통해 선유도와 장자도와 연결돼 차량으로 고군산군도를 여행
(7) 푸른 하늘, 푸른 잎의 미학

(7) 푸른 하늘, 푸른 잎의 미학

봄이 왔다. 푸른 하늘이 열리는 청명을 지나 본격적인 농경이 시작되는 곡우를 앞두고 봄비가 내렸다. 농어촌 들녘마다 새싹이 무럭무럭 자라나 올 농
(7) 떠나가고 싶은 배

(7) 떠나가고 싶은 배

코로나로 모두가 묶여 있은 세상. 떠나고 싶다. 묶인 일상을 풀고 더 넓은 바다로 떠나고 싶다. 저 저 배를 바라보면서 문득, 1930년 내 고향 강진의 시인
(6) 호미와 삽

(6) 호미와 삽

소만은 24절기 가운데 여덟 번째 절기다. 들녘은 식물이 성장하기 시작해 녹음으로 짙어진다. 소만 무렵, 여기저기 모내기 준비로 분주하다. 이른 모내
신경림, '갈대'

신경림, '갈대'

언제부턴가 갈대는 속으로 조용히 울고 있었다. 그런 어느 밤이었을 것이다. 갈대는 그의 온몸이 흔들리고 있는 것을 알았다. 바람도 달빛도 아닌
그 섬에 다시 갈 수 있을까

그 섬에 다시 갈 수 있을까

아마추어 사진동호회의 총무, K의 전화를 받은 건 며칠 전이었다. 모처럼의 통화였지만 K의 목소리는 어제 만나 소주라도 나눈 사이처럼 정겨웠다. &ldqu
하와이 제도 <7> 하와이 아일랜드

하와이 제도 <7> 하와이 아일랜드

하와이 아일랜드는 하와이 제도에서 가장 크고 제일 어린 섬이다. 빅 아일랜드라는 별명에 걸맞게 다른 하와이의 섬들을 모두 합친 것보다 거의 두 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