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커스] 방파제등대 QR코드로 정보 제공

인천항・덕적도항・용기포항・선진포항방파제등대 등
박상건 기자 2021-09-24 08:55:47

바다의 신호등 역할을 하는 등대 중에서 방파제등대는 항만의 소재 또는 항구를 알리기 위하여 방파제에 설치하는 등대다. 

인천지방해양수산청은 방파제등대를 찾는 여행객들이 보다 손쉽게 정보를 접할 수 있도록 QR코드를 활용한 등대 안내판을 오는 10월 설치한다. 

안내판이 설치될 장소는 방문객들이 많이 찾고 접근이 쉬운 방파제등대 7곳으로 위치 및 기능, 최초 점등일, 도색의 의미 등 등대와 관련된 기본 정보들을 담아 제작할 예정이다. 

위에서 시계방향으로 인천항역무선,인천항갑문북,덕적도항,용기포항서방파제등대(사진=인천해수청)

7곳은 인천항역무선방파제등대, 인천항갑문북방파제등대, 덕적도항방파제등대, 용기포항서방파제등대, 답동항방파제등대, 선진포항방파제등대, 선진포항방사제등대 등이다. 

인천항역무선방파제등대는 1998년 2월 20일에 첫 불을 밝혔다. 홍색 우현표지인데 선박이 항구로 들어올 때를 오른쪽에 장애물이 있어 왼쪽으로 통항할 것을 의미하는 표시다. 등대 높이는 14m이다. 

인천항갑문북방파제등대 최초 점등일이 1977년 11월 17일. 백색 등대 좌현표지로써 왼쪽에 장애물이 있어 오른쪽으로 통항할 것을 안내한다. 등대 높이는 9m. 

덕적도항방파제등대 최초 점등일은 1964년 12월 22일. 홍색 우현표지로써 오른쪽에 장애물이 있어 왼쪽으로 통항할 것을 안내한다. 등대 높이는 7.5m. 

인천해수청 자료 재편집

용기포항서방파제등대 최초 점등일은 2011년 11월 2일. 백색 좌현표지로써 선박이 항구로 들어올 때 왼쪽에 장애물이 있어 오른쪽으로 통항할 것을 안내한다. 등대 높이는 9m.

답동항방파제등대 최초 점등일은 2015년 9월 10일. 백색 좌현표지로써 선박이 항구로 들어올 때 왼쪽에 장애물이 있어 오른쪽으로 통항할 것을 안내한다. 등대 높이는 8.4m 

선진포항방사제등대 최초 점등일은 2009년 7월 7일. 홍색 우현표지로써 선박이 항구로 들어올 때 오른쪽에 장애물이 있어 왼쪽으로 통항할 것을 안내한다. 등대 높이는 10m이다. 

방파제등대 위치도

이 7개 방파제등대는 스마트폰을 이용해 QR코드를 인식하면 인천지방해양수산청 홈페이지로 자동 연결돼 손쉽게 정보 확인이 가능하다. 주변의 다른 등대정보도 찾아 볼 수 있어 등대 여행의 만족도 향상과 인상적인 볼거리를 조성할 것으로 기대된다. 

인천지방해양수산청 관계자는 “관광객들이 자주 찾는 등대를 지속적으로 발굴하여 등대 안내판을 확대 설치하는 등 등대에 관하여 필요한 정보를 적극적으로 제공 하겠다”고 말했다.

    박상건(시인. 섬문화연구소장)

섬TV

서정춘, ‘랑’

서정춘, ‘랑’

랑은이음새가 좋은 말너랑 나랑 또랑물 소리로 만나서사랑하기 좋은 말 - 서정춘, '랑’ 전문 팔순 고갯마루의 서정춘 시인이 제 7시집 ‘랑&rsq
박화목, '보리밭'

박화목, '보리밭'

보리밭 사이길로 걸어가면뉘 부르는 소리 있어 나를 멈춘다옛 생각이 외로워 휘파람 불면고운노래 귓가에 들려온다 돌아보면 아무도 보이지 않고저녁
日・中, 우리바다 넘본 이유

日・中, 우리바다 넘본 이유

대한민국은 3면이 바다인 해양민족이다. 늘 푸른 바다, 드넓은 바다, 3000여 개가 넘는 섬들은 우리네 삶의 터전이자 해양사가 기록되고 해양문화가 탄
서해 끝섬, 격렬비열도

서해 끝섬, 격렬비열도

서해 끝섬, 서해의 독도인 격렬비열도. 정부가 국무회의를 통해 격렬비열도를 국가관리연안항으로 지정한 7월 4일이 ‘격렬비열도의 날’이다.
(7) 푸른 하늘, 푸른 잎의 미학

(7) 푸른 하늘, 푸른 잎의 미학

봄이 왔다. 푸른 하늘이 열리는 청명을 지나 본격적인 농경이 시작되는 곡우를 앞두고 봄비가 내렸다. 농어촌 들녘마다 새싹이 무럭무럭 자라나 올 농
(7) 떠나가고 싶은 배

(7) 떠나가고 싶은 배

코로나로 모두가 묶여 있은 세상. 떠나고 싶다. 묶인 일상을 풀고 더 넓은 바다로 떠나고 싶다. 저 저 배를 바라보면서 문득, 1930년 내 고향 강진의 시인
(6) 호미와 삽

(6) 호미와 삽

소만은 24절기 가운데 여덟 번째 절기다. 들녘은 식물이 성장하기 시작해 녹음으로 짙어진다. 소만 무렵, 여기저기 모내기 준비로 분주하다. 이른 모내
이육사, ‘청포도’

이육사, ‘청포도’

내고장 칠월은청포도가 익어 가는 계절 이 마을 전설이 주절이 주절이 열리고,먼 데 하늘이 꿈꾸며 알알이 들어와 박혀, 하늘 밑 푸른 바다가 가슴을
박상건, '꿈꾸는 격렬비열도'

박상건, '꿈꾸는 격렬비열도'

망망대해 그 너머연사흘 흰 거품 물고 칠천만 년 꾹꾹 눌러 둔 고독이 마침내 폭발하더니만, 깊고 깊어 푸른 그 그리움 더 어쩌지 못하고 파도소리 뜨
유안진, ‘지란지교를 꿈꾸며’

유안진, ‘지란지교를 꿈꾸며’

저녁을 먹고 나면 허물없이 찾아가차 한 잔을 마시고 싶다고 말할 수 있는 친구가 있었으면 좋겠다.입은 옷을 갈아입지 않고 김치냄새가 좀 나더라도
그 섬에 다시 갈 수 있을까

그 섬에 다시 갈 수 있을까

아마추어 사진동호회의 총무, K의 전화를 받은 건 며칠 전이었다. 모처럼의 통화였지만 K의 목소리는 어제 만나 소주라도 나눈 사이처럼 정겨웠다. &ldqu
하와이 제도 <7> 하와이 아일랜드

하와이 제도 <7> 하와이 아일랜드

하와이 아일랜드는 하와이 제도에서 가장 크고 제일 어린 섬이다. 빅 아일랜드라는 별명에 걸맞게 다른 하와이의 섬들을 모두 합친 것보다 거의 두 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