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갈라파고스’ 굴업도에서의 자연 회복 체험과 힐링

2030세대 겨냥한 아웃도어 여행 프로그램으로 꾸며진 ‘특별한 주말’
한규택 기자 2025-07-31 17:21:15
굴업도는 인천에서 서남방으로 90km, 덕적도에서 남서쪽으로 13km 떨어져 있다. 행정구역상 주소지는 인천광역시 옹진군 덕적면 굴업리다. 굴업도의 면적은 1.71㎢, 해안선 길이는 12㎞이다. 인구는 8세대에 17명의 주민(1999년 12월 현재)이 거주하고 있다. 최고점은 덕물산(德物山:122m)이다.

굴업도(掘業島)는 섬의 형태가 사람이 구부리고 엎드려서 일하는 것처럼 생겼다 해서 붙여진 이름이다. 토질은 세사토(細沙土)로서 고구마나 땅콩 이외에 별다른 농작물은 재배되지 않으나 주변 해변의 수산물이 풍부하다. 폭 40m 길이 800m의 고운 모래로 이루어진 백사장과 시원한 그늘을 제공하는 임야지대가 있고 해변 좌우편으로 비스듬한 해변이 2개 더 있다. 피서지와 낚시를 겸할 수 있다. 특히, 흑염소, 둥굴레, 산더덕 등이 많이 난다.

굴업도 캠핑(사진=인천관광공사 제공)


굴업도는 ‘한국의 갈라파고스’로 불리며, 때묻지 않은 신비한 섬이다. 섬 대부분이 산지로 둘러싸여 있어서 자연적인 분위기가 강하고, 인구가 많지 않아서 편의시설이나 인공적인 시설은 드물거나 없는 편이다. 하지만 덕분에 천혜의 수려한 자연환경이 고스란히 남아있는 생태 명소이고, 불빛이 적어 여름밤에는 은하수를 고스란히 감상할 수 있어 개머리 언덕을 중심으로 캠핑족들의 발길이 끊이지 않고 있는 곳이다.

이런 굴업도의 특성을 살려 젊은 세대들을 대상으로 백패킹과 트레킹 체험행사가 열려 화제다. 

인천시와 인천관광공사가 오는 8월 2일부터 3일까지 1박 2일간 덕적군도 굴업도에서 체험형 섬 관광 프로그램인 ‘2025 인천 섬 도도하게 살아보기’를 운영한다고 30일 밝혔다. 

굴업도 개머리언덕 트레킹(사진=인천관광공사 제공)


이 프로그램은 인천 섬의 자연자원을 MZ세대에게 알리고 섬 관광에 대한 관심을 높이기 위해 기획됐다. 특히 2030세대를 중심으로 확산 중인 아웃도어 여행 트렌드에 맞춰 백패킹, 트레킹 등 체험형 콘텐츠로 구성됐다. 참가자들은 코끼리바위, 개머리언덕, 연평산 등을 걸으며 자연 속 회복과 휴식을 만끽할 수 있다.

숙박은 굴업도의 특성을 살려 백패킹(텐트)과 펜션 중 선택 가능하며, 지역 식재료를 활용한 현지 식사도 제공된다. 라이프스타일 스포츠 브랜드 ‘아키클래식’이 협찬사로 참여해 참가자 전원에게 정가 9만원 상당의 컴포트화 ‘범퍼’를 증정한다.

굴업도 전경(사진=인천관광공사 제공)


인천관광공사 김태후 섬해양관광팀장은 “최근 2030세대는 자연에서의 체험과 휴식을 중시하는 여행을 선호하고 있다”며 “이번 프로그램은 단순 관광을 넘어 지역에 활력을 불어넣는 전략적 시도”라고 설명했다. 이어 “앞으로도 인천 섬의 특색을 살린 다양한 아웃도어 프로그램을 선보일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이번 상품은 인천시민 기준 백패킹 참가비 13만 9000원으로, 왕복 선박, 숙박, 식사가 모두 포함된다. 자세한 정보는 ‘인천 섬 포털’ 또는 ‘산봉우리 여행사’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다.

섬TV

서정춘, ‘랑’

서정춘, ‘랑’

랑은이음새가 좋은 말너랑 나랑 또랑물 소리로 만나서사랑하기 좋은 말 - 서정춘, '랑’ 전문 팔순 고갯마루의 서정춘 시인이 제 7시집 ‘랑&rsq
박화목, '보리밭'

박화목, '보리밭'

보리밭 사이길로 걸어가면뉘 부르는 소리 있어 나를 멈춘다옛 생각이 외로워 휘파람 불면고운노래 귓가에 들려온다 돌아보면 아무도 보이지 않고저녁
日・中, 우리바다 넘본 이유

日・中, 우리바다 넘본 이유

대한민국은 3면이 바다인 해양민족이다. 늘 푸른 바다, 드넓은 바다, 3000여 개가 넘는 섬들은 우리네 삶의 터전이자 해양사가 기록되고 해양문화가 탄
서해 끝섬, 격렬비열도

서해 끝섬, 격렬비열도

서해 끝섬, 서해의 독도인 격렬비열도. 정부가 국무회의를 통해 격렬비열도를 국가관리연안항으로 지정한 7월 4일이 ‘격렬비열도의 날’이다.
(7) 푸른 하늘, 푸른 잎의 미학

(7) 푸른 하늘, 푸른 잎의 미학

봄이 왔다. 푸른 하늘이 열리는 청명을 지나 본격적인 농경이 시작되는 곡우를 앞두고 봄비가 내렸다. 농어촌 들녘마다 새싹이 무럭무럭 자라나 올 농
(7) 떠나가고 싶은 배

(7) 떠나가고 싶은 배

코로나로 모두가 묶여 있은 세상. 떠나고 싶다. 묶인 일상을 풀고 더 넓은 바다로 떠나고 싶다. 저 저 배를 바라보면서 문득, 1930년 내 고향 강진의 시인
(6) 호미와 삽

(6) 호미와 삽

소만은 24절기 가운데 여덟 번째 절기다. 들녘은 식물이 성장하기 시작해 녹음으로 짙어진다. 소만 무렵, 여기저기 모내기 준비로 분주하다. 이른 모내
이육사, ‘청포도’

이육사, ‘청포도’

내고장 칠월은청포도가 익어 가는 계절 이 마을 전설이 주절이 주절이 열리고,먼 데 하늘이 꿈꾸며 알알이 들어와 박혀, 하늘 밑 푸른 바다가 가슴을
박상건, '꿈꾸는 격렬비열도'

박상건, '꿈꾸는 격렬비열도'

망망대해 그 너머연사흘 흰 거품 물고 칠천만 년 꾹꾹 눌러 둔 고독이 마침내 폭발하더니만, 깊고 깊어 푸른 그 그리움 더 어쩌지 못하고 파도소리 뜨
유안진, ‘지란지교를 꿈꾸며’

유안진, ‘지란지교를 꿈꾸며’

저녁을 먹고 나면 허물없이 찾아가차 한 잔을 마시고 싶다고 말할 수 있는 친구가 있었으면 좋겠다.입은 옷을 갈아입지 않고 김치냄새가 좀 나더라도
그 섬에 다시 갈 수 있을까

그 섬에 다시 갈 수 있을까

아마추어 사진동호회의 총무, K의 전화를 받은 건 며칠 전이었다. 모처럼의 통화였지만 K의 목소리는 어제 만나 소주라도 나눈 사이처럼 정겨웠다. &ldqu
하와이 제도 <7> 하와이 아일랜드

하와이 제도 <7> 하와이 아일랜드

하와이 아일랜드는 하와이 제도에서 가장 크고 제일 어린 섬이다. 빅 아일랜드라는 별명에 걸맞게 다른 하와이의 섬들을 모두 합친 것보다 거의 두 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