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화제] 지난해 마산만에서 336톤 쓰레기 수거

다시 숨 쉬는 바다…마산해수청, 깨끗한 마산만 만들기 이어가
한규택 기자 2021-01-27 08:05:17

급속한 산업화와 도시화로 공장폐수와 생활하수가 쏟아지면서 ‘죽음의 바다’로 불렸던 마산만이 다시금 ‘생명이 숨 쉬는 바다’로 바뀌고 있다. 

마산해수청은 지난 한 해 동안 해안가 쓰레기 정화사업 등 4개 사업을 추진하여 마산만에서 약 566톤의 해양쓰레기를 수거·처리했다고 밝혔다. 

마산만에서 수거한 쓰레기(사진=마산해수청 제공)

바다에 떠다니는 부유쓰레기는 청항선 2척을 주3회 이상 투입하여 250톤을 수거했고, 선박 접근이 어려운 해안가 쓰레기는 환경단체·해양경찰서·해군 등 민관이 협력하여 육상 정화활동으로 50톤을 수거했다. 

폐타이어, 방충재 등 바다 속에 묻혀있는 쓰레기는 침적쓰레기 정화사업과 항내 준설사업을 통해 다이버와 장비를 투입하여 266톤을 수거했다. 

그밖에 마산해양신도시 조성으로 해수유동이 원활하지 않은 마산만 안쪽의 오염퇴적물을 정화하기 위한 실시설계도 추진했다. 

이런 다양한 정화사업과 더불어 오염물질이 바다로 흘러들어가지 않도록 육상오염원의 해양유입을 줄이기 위한 노력도 더해졌다. 

폐그물에 걸린 쓰레기를 절단하는 해양수산청 직원들)

창원시는 ‘수영하는 海맑은 마산만 부활 프로젝트’를 야심차게 추진해 ‘연안오염총량관리 장기목표 2020년 COD 2.0’을 달성했다. 

이런 다양한 노력의 결실로 지난 6월에는 마산만에서 자취를 감췄던 해양보호생물인 잘피의 서식이 확인됐고, 10월에는 마산만 내만에서 법정보호종인 기수갈고둥의 서식이 확인됐다. 

마산지방해양수산청장은 “건강하고 깨끗한 마산 바다 실현을 위해 최선의 노력을 다할 것”이라며 "머문 해안가를 깨끗하게 사용하고 정리하는 건전한 시민의식 실현도 부탁 한다”고 말했다.

섬TV

서정춘, ‘랑’

서정춘, ‘랑’

랑은이음새가 좋은 말너랑 나랑 또랑물 소리로 만나서사랑하기 좋은 말 - 서정춘, '랑’ 전문 팔순 고갯마루의 서정춘 시인이 제 7시집 ‘랑&rsq
박화목, '보리밭'

박화목, '보리밭'

보리밭 사이길로 걸어가면뉘 부르는 소리 있어 나를 멈춘다옛 생각이 외로워 휘파람 불면고운노래 귓가에 들려온다 돌아보면 아무도 보이지 않고저녁
日・中, 우리바다 넘본 이유

日・中, 우리바다 넘본 이유

대한민국은 3면이 바다인 해양민족이다. 늘 푸른 바다, 드넓은 바다, 3000여 개가 넘는 섬들은 우리네 삶의 터전이자 해양사가 기록되고 해양문화가 탄
서해 끝섬, 격렬비열도

서해 끝섬, 격렬비열도

서해 끝섬, 서해의 독도인 격렬비열도. 정부가 국무회의를 통해 격렬비열도를 국가관리연안항으로 지정한 7월 4일이 ‘격렬비열도의 날’이다.
(7) 푸른 하늘, 푸른 잎의 미학

(7) 푸른 하늘, 푸른 잎의 미학

봄이 왔다. 푸른 하늘이 열리는 청명을 지나 본격적인 농경이 시작되는 곡우를 앞두고 봄비가 내렸다. 농어촌 들녘마다 새싹이 무럭무럭 자라나 올 농
(7) 떠나가고 싶은 배

(7) 떠나가고 싶은 배

코로나로 모두가 묶여 있은 세상. 떠나고 싶다. 묶인 일상을 풀고 더 넓은 바다로 떠나고 싶다. 저 저 배를 바라보면서 문득, 1930년 내 고향 강진의 시인
(6) 호미와 삽

(6) 호미와 삽

소만은 24절기 가운데 여덟 번째 절기다. 들녘은 식물이 성장하기 시작해 녹음으로 짙어진다. 소만 무렵, 여기저기 모내기 준비로 분주하다. 이른 모내
이육사, ‘청포도’

이육사, ‘청포도’

내고장 칠월은청포도가 익어 가는 계절 이 마을 전설이 주절이 주절이 열리고,먼 데 하늘이 꿈꾸며 알알이 들어와 박혀, 하늘 밑 푸른 바다가 가슴을
박상건, '꿈꾸는 격렬비열도'

박상건, '꿈꾸는 격렬비열도'

망망대해 그 너머연사흘 흰 거품 물고 칠천만 년 꾹꾹 눌러 둔 고독이 마침내 폭발하더니만, 깊고 깊어 푸른 그 그리움 더 어쩌지 못하고 파도소리 뜨
유안진, ‘지란지교를 꿈꾸며’

유안진, ‘지란지교를 꿈꾸며’

저녁을 먹고 나면 허물없이 찾아가차 한 잔을 마시고 싶다고 말할 수 있는 친구가 있었으면 좋겠다.입은 옷을 갈아입지 않고 김치냄새가 좀 나더라도
그 섬에 다시 갈 수 있을까

그 섬에 다시 갈 수 있을까

아마추어 사진동호회의 총무, K의 전화를 받은 건 며칠 전이었다. 모처럼의 통화였지만 K의 목소리는 어제 만나 소주라도 나눈 사이처럼 정겨웠다. &ldqu
하와이 제도 <7> 하와이 아일랜드

하와이 제도 <7> 하와이 아일랜드

하와이 아일랜드는 하와이 제도에서 가장 크고 제일 어린 섬이다. 빅 아일랜드라는 별명에 걸맞게 다른 하와이의 섬들을 모두 합친 것보다 거의 두 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