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커스] 자치단체마다 걷기, 트레킹 코스 개발 혼란 가중

양양군 걷기코스 전수조사 실시…관리체계 등 중점점검
박상건 기자 2020-11-12 13:29:30

전국적으로 다양한 이름의 걷기코스가 혼재한다. 지역 지치단체마다 걷기, 트레킹 코스가 서로 개발되거나 기존 산악인과 여행자들이 불러온 이름들이 개칭되기도 한다. 자연을 통한 치유문화가 사회적 트렌드로 각광받고 있지만 우후죽순처럼 늘어나는 길 이름과 새로운 명소 짓기 붐에 대한 논란도 적지 않는 게 사실이다. 

이런 가운데 강원도 양양군이 걷는 길 전수조사를 통해 관광자원 연계 개발 방안을 모색키로 했다. 

양양의 트래킹 코스(사진=양양군 제공)


양양군 관계자는 “걷는 길을 중요한 관광자원이자 변화하는 관광 패러다임의 필수적인 관광요소라고 보고, 지난달부터 걷는 길 전수조사를 내부적으로 진행 중에 있다”고 밝혔다. 

기존에 각종 사업 추진을 통해 지역 내 다양한 걷는 길이 개설됐으나, 길에 대한 총괄 자료 및 관리 체계가 부재하고, 홍보 부족으로 인지도 역시 부족한 상황이라고 판단했다. 또한 코로나19 상황에서 비대면 관광이 떠오르고 있고, 코로나19 장기화로 지친 관광객들에게 힐링 장소로 걷는 길이 각광 받고 있는 현실이다. 

이에 따라 양양군은 이달까지 구룡령 옛길, 38선 숨길, 디모테오길, 해파랑길 등 걷는 길 20개 코스를 대상으로 주 1회 현장 점검의 날을 운영하여 담당 부서인 관광과 및 관리부서 직원, 참여 희망 직원 등이 직접 현장 점검 후 기본 현황, 시설 현황, 주변 관광정보 조사 결과를 정리하여 길에 대한 특징과 여행자 정보 등 현황을 정비하고 있다. 

군은 현장 조사를 마치고 각종 관광홍보물 제작 시 기초자료로 활용하는 한편, 관광시설물 유지관리 및 홍보 계획을 수립하여 장기적으로는 군 관광자원 개발·홍보에 활용할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박상건(시인. 섬문화연구소장)

섬TV

서정춘, ‘랑’

서정춘, ‘랑’

랑은이음새가 좋은 말너랑 나랑 또랑물 소리로 만나서사랑하기 좋은 말 - 서정춘, '랑’ 전문 팔순 고갯마루의 서정춘 시인이 제 7시집 ‘랑&rsq
박화목, '보리밭'

박화목, '보리밭'

보리밭 사이길로 걸어가면뉘 부르는 소리 있어 나를 멈춘다옛 생각이 외로워 휘파람 불면고운노래 귓가에 들려온다 돌아보면 아무도 보이지 않고저녁
日・中, 우리바다 넘본 이유

日・中, 우리바다 넘본 이유

대한민국은 3면이 바다인 해양민족이다. 늘 푸른 바다, 드넓은 바다, 3000여 개가 넘는 섬들은 우리네 삶의 터전이자 해양사가 기록되고 해양문화가 탄
서해 끝섬, 격렬비열도

서해 끝섬, 격렬비열도

서해 끝섬, 서해의 독도인 격렬비열도. 정부가 국무회의를 통해 격렬비열도를 국가관리연안항으로 지정한 7월 4일이 ‘격렬비열도의 날’이다.
(7) 푸른 하늘, 푸른 잎의 미학

(7) 푸른 하늘, 푸른 잎의 미학

봄이 왔다. 푸른 하늘이 열리는 청명을 지나 본격적인 농경이 시작되는 곡우를 앞두고 봄비가 내렸다. 농어촌 들녘마다 새싹이 무럭무럭 자라나 올 농
(7) 떠나가고 싶은 배

(7) 떠나가고 싶은 배

코로나로 모두가 묶여 있은 세상. 떠나고 싶다. 묶인 일상을 풀고 더 넓은 바다로 떠나고 싶다. 저 저 배를 바라보면서 문득, 1930년 내 고향 강진의 시인
(6) 호미와 삽

(6) 호미와 삽

소만은 24절기 가운데 여덟 번째 절기다. 들녘은 식물이 성장하기 시작해 녹음으로 짙어진다. 소만 무렵, 여기저기 모내기 준비로 분주하다. 이른 모내
이육사, ‘청포도’

이육사, ‘청포도’

내고장 칠월은청포도가 익어 가는 계절 이 마을 전설이 주절이 주절이 열리고,먼 데 하늘이 꿈꾸며 알알이 들어와 박혀, 하늘 밑 푸른 바다가 가슴을
박상건, '꿈꾸는 격렬비열도'

박상건, '꿈꾸는 격렬비열도'

망망대해 그 너머연사흘 흰 거품 물고 칠천만 년 꾹꾹 눌러 둔 고독이 마침내 폭발하더니만, 깊고 깊어 푸른 그 그리움 더 어쩌지 못하고 파도소리 뜨
유안진, ‘지란지교를 꿈꾸며’

유안진, ‘지란지교를 꿈꾸며’

저녁을 먹고 나면 허물없이 찾아가차 한 잔을 마시고 싶다고 말할 수 있는 친구가 있었으면 좋겠다.입은 옷을 갈아입지 않고 김치냄새가 좀 나더라도
그 섬에 다시 갈 수 있을까

그 섬에 다시 갈 수 있을까

아마추어 사진동호회의 총무, K의 전화를 받은 건 며칠 전이었다. 모처럼의 통화였지만 K의 목소리는 어제 만나 소주라도 나눈 사이처럼 정겨웠다. &ldqu
하와이 제도 <7> 하와이 아일랜드

하와이 제도 <7> 하와이 아일랜드

하와이 아일랜드는 하와이 제도에서 가장 크고 제일 어린 섬이다. 빅 아일랜드라는 별명에 걸맞게 다른 하와이의 섬들을 모두 합친 것보다 거의 두 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