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하대 초청 특강 박상건 섬문화연구소장...‘섬 바다 등대 치유여행’

인하대, 해양문화재단, 경기·인천씨그랜트센터 공동 주최... 해녀, 목선, 어민의 삶 재발견과 예술적 승화
최바다 기자 2025-09-11 10:32:45
10일 인하대 본관 소강당에서 100여명의 학생들이 참여한 가운데 박상건 섬문화연구소 소장의 ‘섬 바다 등대 그리고 나를 치유하는 여행’이라는 주제의 초청 특강이 열렸다. 

이날 특강은 인하대, 해양문화재단, 인하대 경기·인천씨그랜트센터가 공동 주최했다. 박상건 섬문화연구소장은 30년 동안 섬과 등대 여행을 하면서 배우고 깨달은 우리나라 섬의 자연과 환경, 삶의 지혜, 섬에서 피어난 해양문학과 예술 이야기, 현대사회의 문제와 해양과학의 다양한 스펙트럼을 접근하고 향유하는 방식을 설명했다. 

박 소장은 섬의 독특한 지리적 특성과 생태계를 통해 섬 생활 기반을 이해하는 방식으로 섬 여행의 중요성과 섬 답사 프로그램, 체험 방식을 섬답사 전문 기획자이자 경험자로서 사례별로 소개했다. 

지난 10일 수업 후 박상건 섬문화연구소 소장, 인하대 해양학과 이영태 교수, 윤병일 박사, 학생들의 기념촬영 모습(사진=섬문화연구소DB)
 

섬사람들의 삶의 지혜를 배우는 방식으로 고립된 환경에서 발전한 섬사람들 의식주와 공동체 문화 탐구 방식을 해녀, 고기잡이 장면 등을 슬라이드 영상과 함께 보여주며 3면이 바다인 우리나라 해양문화와 민속문화의 가치와 중요성을 강조했다.

 
박상건 소장은 자신이 섬에서 태어나 섬 여행을 통해 터득하고 이를 시적으로 승화한 사례, 해양문학과 예술 명작들을 소개하며 섬에서 피어난 예술과 스토리텔링 흥미성과 중요성을 설명했다. 

 
이를테면 파도에 밀려온 쓰레기 속에서 널빤지, 부표, 터진 그물코, 빈 조개껍질이 상징하는 기호를 분석해 해양과학과 해양생태계 측면에서 섬사람의 기억과 흔적, 해양문화 역사를 재발견하고 정신적, 예술적, 철학적으로 승화하는 방식을 소개했다. 


인하대 해양학과, 경기인천씨그랜트센터, 해양문화재단 주최 박상건 섬문화연구소 소장 초청 특강(사진=섬문화연구소DB)

마지막으로 박 소장은 현대 사회에서 섬 문제를 관광, 환경 등 직면한 해양문제와 과학적으로 접근하는 탐색 과정으로서 섬박람회, 국제 섬포럼 등 중요성과 의미를 설명했다.

 
수업 후 학생들은 “가볼만한 가장 좋은 섬은?”, “왜 섬을 좋아하고 섬 전문가의 길을 걷게 되었는가?”, “등대원이 되려면 어떤 준비를 해야 하는가?”, “섬의 고령화, 개발과 환경 문제에 대한 견해” 등 섬에 대한 다양한 궁금증을 질문하며 우리나라 섬, 등대, 섬사람들의 삶에 대한 높은 관심을 보였다.


인하대 캠퍼스 해양정책 세미나 플래카드(사진=섬문화연구소DB)

섬TV

서정춘, ‘랑’

서정춘, ‘랑’

랑은이음새가 좋은 말너랑 나랑 또랑물 소리로 만나서사랑하기 좋은 말 - 서정춘, '랑’ 전문 팔순 고갯마루의 서정춘 시인이 제 7시집 ‘랑&rsq
박화목, '보리밭'

박화목, '보리밭'

보리밭 사이길로 걸어가면뉘 부르는 소리 있어 나를 멈춘다옛 생각이 외로워 휘파람 불면고운노래 귓가에 들려온다 돌아보면 아무도 보이지 않고저녁
日・中, 우리바다 넘본 이유

日・中, 우리바다 넘본 이유

대한민국은 3면이 바다인 해양민족이다. 늘 푸른 바다, 드넓은 바다, 3000여 개가 넘는 섬들은 우리네 삶의 터전이자 해양사가 기록되고 해양문화가 탄
(7) 푸른 하늘, 푸른 잎의 미학

(7) 푸른 하늘, 푸른 잎의 미학

봄이 왔다. 푸른 하늘이 열리는 청명을 지나 본격적인 농경이 시작되는 곡우를 앞두고 봄비가 내렸다. 농어촌 들녘마다 새싹이 무럭무럭 자라나 올 농
(7) 떠나가고 싶은 배

(7) 떠나가고 싶은 배

코로나로 모두가 묶여 있은 세상. 떠나고 싶다. 묶인 일상을 풀고 더 넓은 바다로 떠나고 싶다. 저 저 배를 바라보면서 문득, 1930년 내 고향 강진의 시인
(6) 호미와 삽

(6) 호미와 삽

소만은 24절기 가운데 여덟 번째 절기다. 들녘은 식물이 성장하기 시작해 녹음으로 짙어진다. 소만 무렵, 여기저기 모내기 준비로 분주하다. 이른 모내
이육사, ‘청포도’

이육사, ‘청포도’

내고장 칠월은청포도가 익어 가는 계절 이 마을 전설이 주절이 주절이 열리고,먼 데 하늘이 꿈꾸며 알알이 들어와 박혀, 하늘 밑 푸른 바다가 가슴을
박상건, '꿈꾸는 격렬비열도'

박상건, '꿈꾸는 격렬비열도'

망망대해 그 너머연사흘 흰 거품 물고 칠천만 년 꾹꾹 눌러 둔 고독이 마침내 폭발하더니만, 깊고 깊어 푸른 그 그리움 더 어쩌지 못하고 파도소리 뜨
유안진, ‘지란지교를 꿈꾸며’

유안진, ‘지란지교를 꿈꾸며’

저녁을 먹고 나면 허물없이 찾아가차 한 잔을 마시고 싶다고 말할 수 있는 친구가 있었으면 좋겠다.입은 옷을 갈아입지 않고 김치냄새가 좀 나더라도
그 섬에 다시 갈 수 있을까

그 섬에 다시 갈 수 있을까

아마추어 사진동호회의 총무, K의 전화를 받은 건 며칠 전이었다. 모처럼의 통화였지만 K의 목소리는 어제 만나 소주라도 나눈 사이처럼 정겨웠다. &ldqu
하와이 제도 <7> 하와이 아일랜드

하와이 제도 <7> 하와이 아일랜드

하와이 아일랜드는 하와이 제도에서 가장 크고 제일 어린 섬이다. 빅 아일랜드라는 별명에 걸맞게 다른 하와이의 섬들을 모두 합친 것보다 거의 두 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