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최대 빙산이 몇 주 안에 사라진다

메가버그 ‘A23a’ 빠르게 녹는 중...기후변화 영향 분석
한규택 기자 2025-09-04 16:46:27
지구온난화로 인한 심각한 위기 징후가 곳곳에서 터져 나오고 있다. 급기야 세계 최대 빙산이 녹아 없어질 것이라는 분석이 나와 충격을 주고 있다. 

영국 남극조사국(BAS)은 앞으로 몇 주 안에 세계 최대 빙산 ‘A23a’가 바다에서 사라질 것으로 보인다고 CNN과 AFP통신 등 외신이 3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서울 면적의 6배 되는 세계 최대의 빙산 A23a(사진 출처: 로이터 연합뉴스)


빙산(氷山, iceberg)은 사전적 정의로 물에 떠 있는 얼음조각으로 물 위에 나타난 높이가 최소 5m 이상 되는 것을 일컫는다. 그 미만의 높이라면 유빙(流氷)이라고 한다. 주로 빙붕이 무너져서 생기거나 빙하가 바다까지 흘러가서 자연스럽게 끊어져서 생기는 경우가 있다. 모양에 따라 크게 탁상형 빙산과 불규칙한 빙산으로 나뉜다. 

영국 남극조사국(BAS) 물리 해양학자 앤드류 마이어스 박사는 인터뷰를 통해 A23a가 북쪽으로 이동하면서 “상당히 빠른 속도로 분해되고 있다"며, "물이 너무 따뜻해서 유지할 수 없다. 끊임없이 녹고 있다”고 밝혔다. 

A23a 빙산은 1986년 서남극 대륙 필크너-론(Filchner-Ronne) 빙붕에서 떨어져나왔다. 무게는 약 1조 톤, 면적은 3,672㎢으로 서울 면적의 6배에 달해 세계 최대의 빙산으로 알려졌다. 이후 30년 넘게 남극 웨델해 해저에 갇혀있었다. 그러다가 2020년 해류에 휩쓸려 이동하기 시작했고, 이후 해저 산맥에 의해 형성된 워터 볼텍스(회전하는 물 소용돌이)인 ‘테일러 기둥(Taylor Column)’에 다시 갇혀있었다. 하지만 2023년 12월 다시 움직이면서 지난 3월에는 대륙붕에 걸렸다가 5월 떠올랐다. 

현재 A23a의 면적은 런던 대도시권과 비슷한 크기인 약 1,770㎢로 줄었다. 이는 원래 떨어져 나왔던 크기의 절반이다. 하지만 최근 몇 주 동안 400㎢에 달하는 거대한 덩어리가 떨어져 나갔고, 크고작은 조작으로 쪼개지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남극 대륙 앞바다보다 수온이 크게 높은 해류을 만나면서 빠르게 녹기 시작한 것이다.

빙산이 녹는 속도가 전례없이 매우 빨라진 이번 ‘사건’은 과학계의 연구 대상이 될 것으로 보인다. 그 원인이 기후변화 때문에 발생한 해수 온난화에 있기 때문이다.

NASA 테라 위성이 찍은 지난 4월 A23a의 모습(사진 출처=MODIS Land Rapid Response Team, NASA GSFC)


마이어스는 "A23a는 현재 세계 두 번째로 큰 빙산이지만, 앞으로 몇 주 안에 빠르게 조각나 이 지위도 곧 바뀌게 될 것"이라며 "해수가 따뜻해지고 남반구에 봄이 찾아오면서 곧 추적할 수 없을 정도로 작은 빙산들로 쪼개질 것"이라고 전망했다.

그는 "'초대형 빙산'(megabergs)의 사례가 충분히 많지 않아 기후변화로 이런 현상이 늘어나고 있는지는 알 수 없다"면서도 "지난 수십 년간 해수 온난화와 해류 변화로 빙붕에서 빙산이 떨어져 나가고 용해되면서 수조 톤의 얼음이 사라졌다"고 덧붙였다.

섬TV

서정춘, ‘랑’

서정춘, ‘랑’

랑은이음새가 좋은 말너랑 나랑 또랑물 소리로 만나서사랑하기 좋은 말 - 서정춘, '랑’ 전문 팔순 고갯마루의 서정춘 시인이 제 7시집 ‘랑&rsq
박화목, '보리밭'

박화목, '보리밭'

보리밭 사이길로 걸어가면뉘 부르는 소리 있어 나를 멈춘다옛 생각이 외로워 휘파람 불면고운노래 귓가에 들려온다 돌아보면 아무도 보이지 않고저녁
日・中, 우리바다 넘본 이유

日・中, 우리바다 넘본 이유

대한민국은 3면이 바다인 해양민족이다. 늘 푸른 바다, 드넓은 바다, 3000여 개가 넘는 섬들은 우리네 삶의 터전이자 해양사가 기록되고 해양문화가 탄
(7) 푸른 하늘, 푸른 잎의 미학

(7) 푸른 하늘, 푸른 잎의 미학

봄이 왔다. 푸른 하늘이 열리는 청명을 지나 본격적인 농경이 시작되는 곡우를 앞두고 봄비가 내렸다. 농어촌 들녘마다 새싹이 무럭무럭 자라나 올 농
(7) 떠나가고 싶은 배

(7) 떠나가고 싶은 배

코로나로 모두가 묶여 있은 세상. 떠나고 싶다. 묶인 일상을 풀고 더 넓은 바다로 떠나고 싶다. 저 저 배를 바라보면서 문득, 1930년 내 고향 강진의 시인
(6) 호미와 삽

(6) 호미와 삽

소만은 24절기 가운데 여덟 번째 절기다. 들녘은 식물이 성장하기 시작해 녹음으로 짙어진다. 소만 무렵, 여기저기 모내기 준비로 분주하다. 이른 모내
이육사, ‘청포도’

이육사, ‘청포도’

내고장 칠월은청포도가 익어 가는 계절 이 마을 전설이 주절이 주절이 열리고,먼 데 하늘이 꿈꾸며 알알이 들어와 박혀, 하늘 밑 푸른 바다가 가슴을
박상건, '꿈꾸는 격렬비열도'

박상건, '꿈꾸는 격렬비열도'

망망대해 그 너머연사흘 흰 거품 물고 칠천만 년 꾹꾹 눌러 둔 고독이 마침내 폭발하더니만, 깊고 깊어 푸른 그 그리움 더 어쩌지 못하고 파도소리 뜨
유안진, ‘지란지교를 꿈꾸며’

유안진, ‘지란지교를 꿈꾸며’

저녁을 먹고 나면 허물없이 찾아가차 한 잔을 마시고 싶다고 말할 수 있는 친구가 있었으면 좋겠다.입은 옷을 갈아입지 않고 김치냄새가 좀 나더라도
그 섬에 다시 갈 수 있을까

그 섬에 다시 갈 수 있을까

아마추어 사진동호회의 총무, K의 전화를 받은 건 며칠 전이었다. 모처럼의 통화였지만 K의 목소리는 어제 만나 소주라도 나눈 사이처럼 정겨웠다. &ldqu
하와이 제도 <7> 하와이 아일랜드

하와이 제도 <7> 하와이 아일랜드

하와이 아일랜드는 하와이 제도에서 가장 크고 제일 어린 섬이다. 빅 아일랜드라는 별명에 걸맞게 다른 하와이의 섬들을 모두 합친 것보다 거의 두 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