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에는 죽도라는 이름을 가진 섬이 60개에 이른다. 대부분 섬에 시누대나 참대나무가 많아서 죽도라고 불렀다. 다른 식물도 함께 자생하는데 굳이 대나무에 의미를 부여했던 이유는 무엇일까?. 섬사람들은 세상에서 가장 빠르게 자라나는 상록식물이 대나무이고 대나무는 기후와 토양이 잘 맞아야 성장한다는 점을 들었다. 주민들의 희구하는 삶과 연관된 일종의 상징적 기호를 내포한 셈이다.
또 대나무는 저항과 지조의 상징이고, 대나무가 많아서 봉황새가 찾아온다는 전설 때문에 죽도라고 불렀다는 설도 있다. 또한 임진왜란 때 죽창을 만들어 대항하는 섬이어서, 대나무가 집과 고기잡이, 김을 양식하는 어구 소재였다는 점에서 주민 삶과 뗄레야 뗄 수 없었다는 점을 꼽기도 했다. 죽도 섬의 또 다른 공통점은 부산 앞바다 죽도를 제외하고는 모든 섬이 내륙과 1km 내외 지점에 자리 잡고 있다는 점도 특징이다.
60개에 달하는 죽도 중에서 보물섬으로 불리는 섬이 있다. 바로 충남 보령시 남포면 월전리 앞바다에 있는 섬 죽도다. 예부터 대나무가 울창했던 섬이라 하여 대섬 또는 죽도(竹島)라고 불린다.
죽도는 보령시 남포면 소재지에서 서남쪽으로 8.1km 떨어져 있다. 길이 약 100m에, 면적은 11,901㎡이고, 최고점은 50m이다.
이 충남 보령시 주교면에 있는 죽도가 해양수산부 ‘12월의 무인도서’로 선정됐다.
섬 둘레는 울퉁불퉁한 화강암 바위로 이루어져 있고, 오랜 세월 풍화와 침식을 겪으며 구멍이 뚫리는 타포니 현상도 보인다. 섬 남쪽 좌우로는 대천해수욕장과 무창포해수욕장이 펼쳐진다.
죽도는 보물섬으로도 불린다. 1987년 고려청자 등 유물 34점이 인양되면서 붙여진 애칭이다. 남포를 잇는 죽도 앞바다는 삼국시대부터 중국과 교역이 빈번했는데 풍랑이 매우 심하고 해식애가 발달한 해안에서 교역선이 침몰하면서 많은 유물이 매장된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유물 발견 후 정부는 70만 평에 이르는 이 앞바다를 1987년 9월 사적(史蹟) 제321호 ‘죽도 앞바다 고려청자 매장 해역’으로 지정하여 관리하고 있다.
죽도는 해저 보물뿐만 아니라 땅 위에도 보물을 품고 있다. 죽도는 해안에서 섬까지 직선거리가 약 850m로 썰물일 때에는 걸어서도 가볼 수 있다. 주변의 갯벌은 밀물과 썰물로 인해 모래와 갯벌, 바스러진 조개껍데기가 적절히 섞여 있는 천혜의 바지락 밭이기도 하다. 이런 풍요로운 환경 때문에 주변 어민들의 소득원을 제공함과 동시에 봄과 가을엔 도요새, 겨울에는 기러기와 가창오리 같은 철새의 먹잇감 있어 해양생태계가 잘 조성된 곳이다. 최근에는 안면도를 종단하는 77번 국도가 대천항까지 해저터널로 이어져 접근성이 편리해졌다.
죽도는 또한 한국식 휴양 정원인 ‘상화원’으로 유명하다. '상화원'은 섬 전체가 하나의 정원으로서 천혜의 섬 죽도가 지닌 자연미를 그대로 살린 한국식 전통정원이다.
지난 20여 년간 한국식 정원에 대한 밑그림을 그려오면서 대규모 상업적 개발을 멀리하고 가능한 한 아름다운 자연을 훼손하지 않고 나무 한 그루, 돌 한 조각까지 소중히 여기는 마음으로 오늘의 '상화원'을 이루었다. 점차 사라져가는 우리 전통 한옥을 충실하게 이건·복원한 '한옥마을', 죽림과 해송 숲에 둘러싸인 '빌라단지', 섬 전체를 빙 둘러가며 연결된 '회랑' 과 '석양정원'등이 한데 어우러져 한국적 미를 발산하고 있다.
죽도(대섬)를 포함한 무인도서 정보는 해양수산부 무인도서 종합정보제공시스템( http://uii.mof.go.kr )에서 확인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