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화제] 재난방송에 이어도 등 태풍 관문 해양 CCTV 활용

한규택 기자 2022-09-27 15:58:59

우리나라는 주로 늦여름부터 초가을까지 태풍의 영향을 받는다. 올해도 어김없이 태풍 힌남노와 난마돌이 한반도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막대한 피해를 입은 바 있다. 육지의 재난에는 전국 각지에 설치된 교통 CCTV를 확인하면 되지만, 바다 한가운데서 엄청난 비바람을 몰고 휘몰아치는 태풍의 상황을 실시간으로 생생하게 전달할 수 있는 수단은 극히 제한적이다.

제주, 부산, 목포, 포항 등 섬이나 해안 도시에서 태풍의 피해 상황을 전달하는 재난방송은 태풍이 해당 지역 육지로 상륙하는 시점에서야 본격화될 수 있기 때문에, 취재에서의 위험이 크고, 태풍의 위력과 특성을 선제적으로 파악하는 데 어려움이 따른다. 육지에서처럼 해양 CCTV를 활용해야 할 필요성이 대두되는 이유다.

국토 최남단 이어도 종합해양과학기지(사진=국립해양조사원 제공) 

이와 관련 최근 관련 정부 기관에서 해양 CCTV 실시간 영상을 방송사에 제공하기로 해서 관심을 끌고 있다. 방송통신위원회(이하‘방통위’)와 해양수산부 국립해양조사원(이하 ‘해양조사원’)은 국민에게 생생한 재난방송을 전달하기 위해 해양조사원이 보유한 17개 지역의 실시간 폐쇄회로 텔레비전(CCTV) 영상(21개)을 20개 재난방송사업자에게 제공한다고 26일 밝혔다.

이번에 제공하는 폐쇄회로 텔레비전(CCTV) 영상은 이어도 해양과학기지 및 옹진소청초 해양과학기지와 동ㆍ서ㆍ남해안 해무관측소 및 조위관측소(바닷물의 높이(조위)를 측정하는 국가 해양시설)로 총 17개 지역의 21개 영상이 실시간으로 방송사에 제공된다.

이어도는 마라도에서 149Km 떨어진 대한민국 최남단에 위치하여 태풍 상륙의 주요 관문으로, 방송사업자들이 재난상황을 방송하기 위한 중요한 거점이다.

이어도 기지(좌)와 옹진소청초 기지(우) 옥상 CCTV 영상(사진=국립해양조사원 제공)

또한, 섬 지역 및 바다ㆍ해안가에 대한 폐쇄회로 텔레비전(CCTV) 영상을 재난방송에 활용하여 태풍, 해일 등 재난상황 발생 시 생생한 현장 화면을 통해 신속ㆍ정확한 재난정보를 전달하여 국민들에게 전달력을 높일 수 있게 되었다.

이번 폐쇄회로 텔레비전(CCTV) 영상은 전체 66개 재난방송사업자 중에 사용을 신청한 20개 사업자인 KBS, MBC, JTBC, MBN, TV조선, YTN, 연합뉴스TV, 광주MBC, 여수MBC, 대전MBC, 전주MBC, 강원영동MBC, 제주MBC, KNN, 광주방송, 전주방송, 울산방송, G1방송, 제주방송, OBS경인TV에게 제공된다.

비바람속 옹진소청초 해양과학기지(사진=국립해양조사원 제공)

해양조사원은 이번에 제공되지 않는 신안가거초 해양과학기지의 폐쇄회로 텔레비전(CCTV) 영상에 대해서는 올해 말까지 송출 점검을 완료하고 추가 제공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방통위는 앞으로도 지자체, 공공기관 등이 보유한 폐쇄회로 텔레비전(CCTV)을 재난방송사업자들이 재난방송을 위해 적극 활용할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노력할 예정이다.

 

섬TV

서정춘, ‘랑’

서정춘, ‘랑’

랑은이음새가 좋은 말너랑 나랑 또랑물 소리로 만나서사랑하기 좋은 말 - 서정춘, '랑’ 전문 팔순 고갯마루의 서정춘 시인이 제 7시집 ‘랑&rsq
박화목, '보리밭'

박화목, '보리밭'

보리밭 사이길로 걸어가면뉘 부르는 소리 있어 나를 멈춘다옛 생각이 외로워 휘파람 불면고운노래 귓가에 들려온다 돌아보면 아무도 보이지 않고저녁
日・中, 우리바다 넘본 이유

日・中, 우리바다 넘본 이유

대한민국은 3면이 바다인 해양민족이다. 늘 푸른 바다, 드넓은 바다, 3000여 개가 넘는 섬들은 우리네 삶의 터전이자 해양사가 기록되고 해양문화가 탄
서해 끝섬, 격렬비열도

서해 끝섬, 격렬비열도

서해 끝섬, 서해의 독도인 격렬비열도. 정부가 국무회의를 통해 격렬비열도를 국가관리연안항으로 지정한 7월 4일이 ‘격렬비열도의 날’이다.
(7) 푸른 하늘, 푸른 잎의 미학

(7) 푸른 하늘, 푸른 잎의 미학

봄이 왔다. 푸른 하늘이 열리는 청명을 지나 본격적인 농경이 시작되는 곡우를 앞두고 봄비가 내렸다. 농어촌 들녘마다 새싹이 무럭무럭 자라나 올 농
(7) 떠나가고 싶은 배

(7) 떠나가고 싶은 배

코로나로 모두가 묶여 있은 세상. 떠나고 싶다. 묶인 일상을 풀고 더 넓은 바다로 떠나고 싶다. 저 저 배를 바라보면서 문득, 1930년 내 고향 강진의 시인
(6) 호미와 삽

(6) 호미와 삽

소만은 24절기 가운데 여덟 번째 절기다. 들녘은 식물이 성장하기 시작해 녹음으로 짙어진다. 소만 무렵, 여기저기 모내기 준비로 분주하다. 이른 모내
이육사, ‘청포도’

이육사, ‘청포도’

내고장 칠월은청포도가 익어 가는 계절 이 마을 전설이 주절이 주절이 열리고,먼 데 하늘이 꿈꾸며 알알이 들어와 박혀, 하늘 밑 푸른 바다가 가슴을
박상건, '꿈꾸는 격렬비열도'

박상건, '꿈꾸는 격렬비열도'

망망대해 그 너머연사흘 흰 거품 물고 칠천만 년 꾹꾹 눌러 둔 고독이 마침내 폭발하더니만, 깊고 깊어 푸른 그 그리움 더 어쩌지 못하고 파도소리 뜨
유안진, ‘지란지교를 꿈꾸며’

유안진, ‘지란지교를 꿈꾸며’

저녁을 먹고 나면 허물없이 찾아가차 한 잔을 마시고 싶다고 말할 수 있는 친구가 있었으면 좋겠다.입은 옷을 갈아입지 않고 김치냄새가 좀 나더라도
그 섬에 다시 갈 수 있을까

그 섬에 다시 갈 수 있을까

아마추어 사진동호회의 총무, K의 전화를 받은 건 며칠 전이었다. 모처럼의 통화였지만 K의 목소리는 어제 만나 소주라도 나눈 사이처럼 정겨웠다. &ldqu
하와이 제도 <7> 하와이 아일랜드

하와이 제도 <7> 하와이 아일랜드

하와이 아일랜드는 하와이 제도에서 가장 크고 제일 어린 섬이다. 빅 아일랜드라는 별명에 걸맞게 다른 하와이의 섬들을 모두 합친 것보다 거의 두 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