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화제] 바다 사람들 애환, 해양문화특별전 '바다, 배船, 신앙'

"간 날은 있건마는 돌아올 날 언제인가....", 11월 20일까지 목포해양유물전시관
한규택 기자 2022-07-29 15:34:17

섬이나 해안가에서 살아가는 사람들에게 바다는 삶의 터전이다. 어민들에게 바다는 곧 두렵고도 경이로운 자연이자 무사안녕과 풍어(豐漁)를 기원하는 신앙의 대상이다.

바다 사람들의 생존의 공간이자 무한한 자원의 보고인 바다에는 해양문화의 자취가 고스란히 남아 있다. 특히, 삼면이 바다로 둘러싸인 우리나라는 각 해역을 따라 다양한 해양 신앙이 제사와 의례 형태로 토착화되어 전해오고 있다.

홍성 수룡동 풍어제-뱃고사(사진=국립민속박물관 민속아카이브 제공)

“간 날은 있건마는 돌아올 날 언제인가 돈 벌어 온다고 나가놓고 백수가 흩날리는 엄마를 두고 자식이 먼저 가니 기가 찰 일이다…아이고 불쌍한 것 이 영가야…” 고기잡이 갔다가 파도에 휩쓸려 목숨 잃은 어부들의 원혼을 씻어내는 경북 울진군 후포의 전통 굿인 오구굿의 한 대목이다. 

또 충남 서해안의 작은 어촌마을인 안섬에서는 400년 전부터 매년 새해 아침에 마을 당산(堂山)에서 수호신에게 풍어와 고깃배의 안전을 기원하는 의식인 당제(堂祭)가 열리고 있다.

이처럼 우리나라 곳곳에 남아 있는 해양 신앙 관련 각종 자료와 연구 성과물 등이 한자리에 모이는 특별 전시가 열린다.

동해 오구굿(사진=국립민속박물관 민속아카이브 제공)

문화재청 국립해양문화재연구소는 제3회 섬의 날(8월8일)을 맞아 7월 29일부터 11월 20일까지 목포해양유물전시관 기획전시실에서 전통 해양 신앙 관련 자료 100여 점을 전시하는 특별전「바다, 배船, 신앙」(Sea, Ship, Belief)을 개최한다.

연구소는 연구자들의 자문을 통해 모은 역사·민속 자료(아카이브)와 연구성과물, 현장의 유·무형 수집자료를 통해 관람객들이 바다공간의 서사(敍事), 그리고 바닷사람들의 삶과 애환을 이해할 수 있도록 총 4부로 전시를 구성했다. 

먼저 1부 ‘배(船)-삶과 두려움의 바다를 넘나들다’에서는 ①배와 뱃고사, ②배의 수호신 ‘배서낭’, ③출항의 상징 ‘뱃기’, ④두려움의 바다 ‘해난사고’로 세부 주제를 구분하여 관람객들이 바다의 특수성을 공감할 수 있도록 했다.

특히, 민속자료 외에도 수중발굴 고려시대 난파선(12세기, 태안선)의 '뱃사람 인골', 1825년 위도진(현 전북 부안 위도) 해역의 해난사고가 기록된 '사변일기(事變日記)'(1723~1848년,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1818년 바닷길 운송 중 태풍으로 표류됐던 '대흥사 천불상(千佛像)'(전라남도 유형문화재) 등의 작품을 만날 수 있다.

* 뱃고사 : 선주(船主)가 배에서 배서낭(船王, 船神) 또는 용왕에게 올리는 제사
* 배서낭 : 승선자와 뱃사람들의 무사안녕(안전)을 지켜주는 수호신으로, 배의 기관실이나 조타실, 선장실에 신체(神体)를 만들어 모심
* 뱃기 : 배의 출항을 상징하는 깃발로, 진수식·뱃고사·풍어제·마을 당제 등 바다신에게 올리는 제사와 지역에 따라 상징 깃발이 있음

충남 안섬의 풍어제 벽화(사진=섬문화연구소DB)

2부 ‘바다의 신(海神)-국가와 백성의 수호신이 되다’에서는 ①바다의 신, ②국가의 해신제라는 세부 주제로, 온 바다를 관장하는 '용신도(龍神圖)'(국립해양박물관), 서해의 고기잡이신 '조선 임경업(林慶業) 장군 초상화'(국립중앙박물관), 남해의 어로신 '고려 최영(崔瑩) 장군 무신도'(국립민속박물관) 등 해신도(海神圖)를 선보인다.

아울러 조선 정조가 쓴 '해신 제문(海神 祭文)'(1788년,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조선 후기 국가 해신당(海神堂)이 그려진 고지도 '양양읍지도(襄陽邑地圖)', '풍천부 고적도(豊川府古蹟圖)'(1872년, 규장각 한국학연구원) 등을 통해 민간뿐만 아니라 고대부터 조선시대까지 국가 및 관에서도 왕실의 안녕과 국가 해양방어, 항해 안전 등을 위해 바다신을 모셔왔다는 것을 보여주고자 했다.

위도 띠뱃놀이(사진=전북 부안군 제공)

3부 ‘바닷사람들- 신(神)에게 풍어와 무사안녕을 기원하다’에서는 ①바다제사-신과의 만남, 그리고 바닷사람들의 축제, ②바닷사람들의 제물‘띠배’, ③바다로 가는 연락책‘허수아비’라는 세부 주제로, 바다제사 관련 무형문화재 보존회의 협조로 '서해안 배연신굿 및 대동굿', '남해안 별신굿', '동해안 별신굿', '제주 칠머리당 영등굿', '위도 띠뱃놀이', '충남 당진 안섬 풍어굿' 등의 자료를 선보인다.

4부 ‘배(船)-바다영혼을 극락세계로 인도하다’에서는 ①어촌사람들의 바다영혼 의례, ② 바다영혼을 위한 배 ‘용선과 넋배’라는 세부 주제로, 죽은 자와 산 자 모두를 위한 추모이자 기억의 시간으로 죽음을 바라보는 무속의례의 시선을 엿볼 수 있는 영상자료와 의례품을 함께 소개한다.

*바다영혼 : 해난사고나 어떠한 이유로 바다에서 생명을 잃은 사람(水死者, 亡者)의 영혼

'바다, 배, 신앙' 특별전 포스터(사진=국립해양문화연구소 제공)

전시는 휴관일인 월요일을 제외하고 오전 9시부터 오후 6시까지 운영하며, 더 자세한 사항은 국립해양문화재연구소(061-270-3001)로 문의하면 된다.

풍요와 두려움이 공존하는 바다서 선조들의 삶을 지탱해준 전통 해양 민속신앙과 의례를 소개하는 이번 전시를 통해 풍어와 무사안녕의 염원을 축제로 승화시킨 바닷사람들의 생생한 삶을 느낄 수 있을 것이다.

섬TV

신경림, '갈대'

신경림, '갈대'

언제부턴가 갈대는 속으로 조용히 울고 있었다. 그런 어느 밤이었을 것이다. 갈대는 그의 온몸이 흔들리고 있는 것을 알았다. 바람도 달빛도 아닌
타인의 섬으로 여행을 떠나자

타인의 섬으로 여행을 떠나자

‘몰디브, 보라보라, 발리......’ 신문에서 자주 접하는 섬들이다. 이곳에는 무성한 야자수와 금가루 같은 백사장, 그리고 돈 많은 관광객이 있다
日・中, 우리바다 넘본 이유

日・中, 우리바다 넘본 이유

대한민국은 3면이 바다인 해양민족이다. 늘 푸른 바다, 드넓은 바다, 3000여 개가 넘는 섬들은 우리네 삶의 터전이자 해양사가 기록되고 해양문화가 탄
화성시 서신면 전곡항 등대

화성시 서신면 전곡항 등대

화성시 전곡항은 시화방조제가 조성되면서 시화호 이주민을 위해 조성한 다기능어항이다. 항구는 화성시 서신면과 안산시 대부도를 잇는 방파제가 건
충남 당진시 송악읍 안섬포구 등대

충남 당진시 송악읍 안섬포구 등대

아산만 당진시 안섬포구는 서해안 간척 시대의 어제와 오늘, 서해 어촌이 걸어온 길과 관광 대중화에 발맞춰 섬과 포구가 어떻게 달라지는지를 보여주
군산시 옥도면 무녀도

군산시 옥도면 무녀도

새만금방조제를 지나 신시도에서 고군산대교를 지나면 무녀도다. 무녀도는 선유대교를 통해 선유도와 장자도와 연결돼 차량으로 고군산군도를 여행
(7) 푸른 하늘, 푸른 잎의 미학

(7) 푸른 하늘, 푸른 잎의 미학

봄이 왔다. 푸른 하늘이 열리는 청명을 지나 본격적인 농경이 시작되는 곡우를 앞두고 봄비가 내렸다. 농어촌 들녘마다 새싹이 무럭무럭 자라나 올 농
(7) 떠나가고 싶은 배

(7) 떠나가고 싶은 배

코로나로 모두가 묶여 있은 세상. 떠나고 싶다. 묶인 일상을 풀고 더 넓은 바다로 떠나고 싶다. 저 저 배를 바라보면서 문득, 1930년 내 고향 강진의 시인
(6) 호미와 삽

(6) 호미와 삽

소만은 24절기 가운데 여덟 번째 절기다. 들녘은 식물이 성장하기 시작해 녹음으로 짙어진다. 소만 무렵, 여기저기 모내기 준비로 분주하다. 이른 모내
신경림, '갈대'

신경림, '갈대'

언제부턴가 갈대는 속으로 조용히 울고 있었다. 그런 어느 밤이었을 것이다. 갈대는 그의 온몸이 흔들리고 있는 것을 알았다. 바람도 달빛도 아닌
그 섬에 다시 갈 수 있을까

그 섬에 다시 갈 수 있을까

아마추어 사진동호회의 총무, K의 전화를 받은 건 며칠 전이었다. 모처럼의 통화였지만 K의 목소리는 어제 만나 소주라도 나눈 사이처럼 정겨웠다. &ldqu
하와이 제도 <7> 하와이 아일랜드

하와이 제도 <7> 하와이 아일랜드

하와이 아일랜드는 하와이 제도에서 가장 크고 제일 어린 섬이다. 빅 아일랜드라는 별명에 걸맞게 다른 하와이의 섬들을 모두 합친 것보다 거의 두 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