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장취재] 해양생태계연구 언론인회, 고래의 신비와 생태계

국립수사과학원 고래연구센터 고래세미나, 고래박물관・고래마을 답사
한민정 기자 2021-06-30 10:13:30

우리 바다에는 고래가 얼마나 사는 것일까? 어떤 고래들이 서식하고 고래의 특성은 무엇일까? 고래에 얽힌 신비스러움과 고래에 얽힌 해양생태계 현주소를 진단하는 세미나 현장을 취재하고 재밌는 관련 사진들을 소개한다. 

신문・방송・통신・잡지사 소속 언론인들의 해양포럼인 ‘해양생태계연구 언론인회’(해언회. 회장 박상건)는 지난 25일 국립수산과학원 고래연구센터에서 정기학술세미나를 개최했다. 

마지막 포경선(사진=섬문화연구소DB)

이날 발제를 맡은 손호선 고래연구센터장은 “현재 전 세계에 90여 종의 고래가 서식 중이고 ‘해양생태계 보존과 관리에 관한 법률’에 따라 보호대상해양생물 10종인데 우리바다에 유영 중인 고래는 밍크고래, 참고래, 낫돌고래, 상괭이, 남방큰돌고래가 대표적”이라고 소개했다. 

손 센터장은 “우리나라에 고래가 처음 등장한 시기는 울주군 대곡리에 있는 국보 제285호 반구대암각화를 통해 알 수 있는데 암각화에는 그림 296점이 등장하는데 동물이 193점(65.2%)이고 고래가 58점(30%)”라고 소개했다. 

울주군 현지 암각화(사진=섬문화연구소DB)

7000년 전 선사시대 암각화를 통해 울산 앞바다에는 수많은 고래가 서식했고 이를 입증하는 암각화는 유네스코 세계유산 잠정목록에 등재됐다. 

세계 포경의 역사는 이렇게 7000년 전 한반도 선사시대 포경 장면에서 시작됐다. 9세기 바스크인의 상업적 포경이 시작되고 14-17세기에는 대서양 포경시대가 열렸으며 17-20세기에는 미국 주도의 포경시대가 열렸다. 

참고래의 유영(사진=섬문화연구소DB)

포경시대는 미국과 멕시코 참지전쟁 등 해양산업을 둘러싼 각국의 국제적 분쟁으로 이어졌다. 세미나에서는 영국 BBC가 촬영한 고래 새끼가 출산하는 과정의 신비롭고 생생한 장면이 소개됐고 고래를 중심으로 펼쳐지는 크고 작은 물고기 먹이사슬의 현장은 치열한 적자생존의 상징처럼 전율했다.

미국 등 국제 포경선은 1890년 한반도 연안에 모여들어 포경이 시작됐다. 1946년 우리나라도 국내 자본으로 포경을 시작했다. 미국 주도의 포경금지조약에 가입한 우리나라는 관련 법률에 따라 1986년 우리 연안에서 상업적 포경이 막을 내렸다. 

해언회 고래생태계 현주소 세미나

세미나 후 해언회 회원들은 예정된 고래탐사선이 운항하지 않는 관계로 당시 포경 현장과 마지막 포경선이 전시된 장생포고래박물관에서 이만우 관장의 소개로 고래가 유영하는 현장 모습과 전시실을 둘러봤고 이어 장생포 고래문화마을을 답사했다. 

우리 바다에는 유난히 고래가 많았고 이 때문에 미국 포경선이 자주 등장했다. 조선왕조실록( 1827~1849)에는 “이양선(異樣船)이 경상·전라·황해·강원·함경 다섯 도의 대양에 출몰…고래를 잡아 양식으로 삼기도 하는데, 거의 그 수를 셀 수 없이 많았다.”라고 기록했다.

국립수산과학원 고래연구센터(사진=섬문화연구소DB)

손호선 고래연구센터장은 고래의 생태와 특징 등을 설명하면서 “고래와 물고기가 크게 다른 점은 꼬리지느러미가 다른 점”이라면서 “고래는 지느러미가 수평이고 물고기는 수직”이라고 설명했다. 손 센터장은 고래는 몸에 털이 있다는 사실과 고래수염의 역할은 먹이를 걸러 먹는 역할“이라며 동영상으로 자세히 소개했다. 

소형고래 사냥 장면(사진=손호선 고래연구센터장)

해언회 박상건 회장은 “코로나19 방역수칙으로 많은 회원들이 함께 할 수 없는 현실이 너무 안타까울 정도로 매우 유용하고 생생한 현장세미나였다”면서 “앞으로도 우리나라 섬, 바다, 등대 등 우리나라 해양생태계 전반을 연구하고 나아가 우리나라 섬과 해양의 가치를 널리 알리는 언론인의 역할을 다하고자 한다”라고 말했다. 

해양생태계연구 언론인회는 매월 해양학술세미나와 현장답사를 진행하는 데 지난달에는 프레스센터에서 해양수산부 인천해양수산청 소속 이영태 항로표지과장의 ‘등대의 역할과 의미’라는 주제의 세미나를 개최했다.

반구대 암각화(자료=손호선 고래연구센터장 제공)

섬TV

신경림, '갈대'

신경림, '갈대'

언제부턴가 갈대는 속으로 조용히 울고 있었다. 그런 어느 밤이었을 것이다. 갈대는 그의 온몸이 흔들리고 있는 것을 알았다. 바람도 달빛도 아닌
타인의 섬으로 여행을 떠나자

타인의 섬으로 여행을 떠나자

‘몰디브, 보라보라, 발리......’ 신문에서 자주 접하는 섬들이다. 이곳에는 무성한 야자수와 금가루 같은 백사장, 그리고 돈 많은 관광객이 있다
日・中, 우리바다 넘본 이유

日・中, 우리바다 넘본 이유

대한민국은 3면이 바다인 해양민족이다. 늘 푸른 바다, 드넓은 바다, 3000여 개가 넘는 섬들은 우리네 삶의 터전이자 해양사가 기록되고 해양문화가 탄
화성시 서신면 전곡항 등대

화성시 서신면 전곡항 등대

화성시 전곡항은 시화방조제가 조성되면서 시화호 이주민을 위해 조성한 다기능어항이다. 항구는 화성시 서신면과 안산시 대부도를 잇는 방파제가 건
충남 당진시 송악읍 안섬포구 등대

충남 당진시 송악읍 안섬포구 등대

아산만 당진시 안섬포구는 서해안 간척 시대의 어제와 오늘, 서해 어촌이 걸어온 길과 관광 대중화에 발맞춰 섬과 포구가 어떻게 달라지는지를 보여주
군산시 옥도면 무녀도

군산시 옥도면 무녀도

새만금방조제를 지나 신시도에서 고군산대교를 지나면 무녀도다. 무녀도는 선유대교를 통해 선유도와 장자도와 연결돼 차량으로 고군산군도를 여행
(7) 푸른 하늘, 푸른 잎의 미학

(7) 푸른 하늘, 푸른 잎의 미학

봄이 왔다. 푸른 하늘이 열리는 청명을 지나 본격적인 농경이 시작되는 곡우를 앞두고 봄비가 내렸다. 농어촌 들녘마다 새싹이 무럭무럭 자라나 올 농
(7) 떠나가고 싶은 배

(7) 떠나가고 싶은 배

코로나로 모두가 묶여 있은 세상. 떠나고 싶다. 묶인 일상을 풀고 더 넓은 바다로 떠나고 싶다. 저 저 배를 바라보면서 문득, 1930년 내 고향 강진의 시인
(6) 호미와 삽

(6) 호미와 삽

소만은 24절기 가운데 여덟 번째 절기다. 들녘은 식물이 성장하기 시작해 녹음으로 짙어진다. 소만 무렵, 여기저기 모내기 준비로 분주하다. 이른 모내
신경림, '갈대'

신경림, '갈대'

언제부턴가 갈대는 속으로 조용히 울고 있었다. 그런 어느 밤이었을 것이다. 갈대는 그의 온몸이 흔들리고 있는 것을 알았다. 바람도 달빛도 아닌
그 섬에 다시 갈 수 있을까

그 섬에 다시 갈 수 있을까

아마추어 사진동호회의 총무, K의 전화를 받은 건 며칠 전이었다. 모처럼의 통화였지만 K의 목소리는 어제 만나 소주라도 나눈 사이처럼 정겨웠다. &ldqu
하와이 제도 <7> 하와이 아일랜드

하와이 제도 <7> 하와이 아일랜드

하와이 아일랜드는 하와이 제도에서 가장 크고 제일 어린 섬이다. 빅 아일랜드라는 별명에 걸맞게 다른 하와이의 섬들을 모두 합친 것보다 거의 두 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