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조선업 수주 세계 4개월째 1위 랭크

지난달 전 세계 선박 발주량 66척 중 20척 수주
한규택 기자 2021-02-10 10:00:34

우리나라 조선업 수주량의 고공행진이 계속되고 있다. 세계적 경쟁력에 가속도가 붙었다. 한국은 올해 1월 선박 수주량에서 세계 1위 자리를 4개월째 유지하고 있다. 

산업부와 영국의 조선·해운 시황 분석업체 클락슨리서치에 따르면 한국은 지난달 전 세계 선박 발주량 170만CGT(66척) 중 91만CGT(20척)를 수주하며 1위를 차지했다. 

지난해 1월 수주량인 7만CGT(2척)와 비교하면 13배 증가한 수치로, 수주 점유율도 54%에 이른다. 특히 한국은 지난달 발주된 대형 컨테이너선(1만2000TEU급 이상) 8척, 대형 액화천연가스(LNG) 운반선(14만㎥ 이상) 2척, 초대형 유조선(VLCC) 2척 등을 모두 수주하며 주력 선종에서 100%의 점유율을 보였다. 

30만톤급 초대형 원유운반선(사진=한국조선해양 제공)

지난달 말 기준 세계 수주잔량은 6978만CGT로 1개월 전보다 192만CGT(3%) 감소했다. 

국가별 수주잔량은 중국(2459만CGT), 한국(2188만CGT), 일본(839만CGT) 순이었지만, 중국과 일본과 비교해 한국의 감소 폭은 비교적 작았다. 

지난해 다소 떨어졌던 선가도 회복세를 보였다. 선가는 지난해 12월 대비 유조선과 컨테이너선, LNG선이 모두 반등해 클락슨 선가지수가 126포인트에서 127포인트로 소폭 올랐다. 2개월 연속 상승세다. 

선종별 선가 추이를 살펴보면 VLCC는 8500만 달러에서 8800만 달러로, 수에즈막스(S-max)급 유조선이 5600만 달러에서 5750만 달러로 올랐다. 

컨테이너선은 1억200만 달러에서 1억400만 달러로, LNG선(17만4000㎥)은 1억8600만 달러에서 1억 8650만 달러로 상승했다. 

클락슨리서치에 따르면 올해 해상물동량은 지난해 113억t보다 많은 119억t으로 전망된다. 

산업부 관계자는 “우리나라 조선산업이 경쟁국 대비 높은 기술력을 바탕으로 고부가 가치 선종에 대한 경쟁 우위를 지속한 덕분”이라고 분석 하고 “우리나라 조선업계가 세계 1위를 수성할 수 있도록 스마트 선박 및 친환경 선박 등에 대한 기술 개발 지원을 지속하면서 생산성 향상을 위한 스마트 한국형 야드 개발도 지원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섬TV

서정춘, ‘랑’

서정춘, ‘랑’

랑은이음새가 좋은 말너랑 나랑 또랑물 소리로 만나서사랑하기 좋은 말 - 서정춘, '랑’ 전문 팔순 고갯마루의 서정춘 시인이 제 7시집 ‘랑&rsq
박화목, '보리밭'

박화목, '보리밭'

보리밭 사이길로 걸어가면뉘 부르는 소리 있어 나를 멈춘다옛 생각이 외로워 휘파람 불면고운노래 귓가에 들려온다 돌아보면 아무도 보이지 않고저녁
日・中, 우리바다 넘본 이유

日・中, 우리바다 넘본 이유

대한민국은 3면이 바다인 해양민족이다. 늘 푸른 바다, 드넓은 바다, 3000여 개가 넘는 섬들은 우리네 삶의 터전이자 해양사가 기록되고 해양문화가 탄
(7) 푸른 하늘, 푸른 잎의 미학

(7) 푸른 하늘, 푸른 잎의 미학

봄이 왔다. 푸른 하늘이 열리는 청명을 지나 본격적인 농경이 시작되는 곡우를 앞두고 봄비가 내렸다. 농어촌 들녘마다 새싹이 무럭무럭 자라나 올 농
(7) 떠나가고 싶은 배

(7) 떠나가고 싶은 배

코로나로 모두가 묶여 있은 세상. 떠나고 싶다. 묶인 일상을 풀고 더 넓은 바다로 떠나고 싶다. 저 저 배를 바라보면서 문득, 1930년 내 고향 강진의 시인
(6) 호미와 삽

(6) 호미와 삽

소만은 24절기 가운데 여덟 번째 절기다. 들녘은 식물이 성장하기 시작해 녹음으로 짙어진다. 소만 무렵, 여기저기 모내기 준비로 분주하다. 이른 모내
이육사, ‘청포도’

이육사, ‘청포도’

내고장 칠월은청포도가 익어 가는 계절 이 마을 전설이 주절이 주절이 열리고,먼 데 하늘이 꿈꾸며 알알이 들어와 박혀, 하늘 밑 푸른 바다가 가슴을
박상건, '꿈꾸는 격렬비열도'

박상건, '꿈꾸는 격렬비열도'

망망대해 그 너머연사흘 흰 거품 물고 칠천만 년 꾹꾹 눌러 둔 고독이 마침내 폭발하더니만, 깊고 깊어 푸른 그 그리움 더 어쩌지 못하고 파도소리 뜨
유안진, ‘지란지교를 꿈꾸며’

유안진, ‘지란지교를 꿈꾸며’

저녁을 먹고 나면 허물없이 찾아가차 한 잔을 마시고 싶다고 말할 수 있는 친구가 있었으면 좋겠다.입은 옷을 갈아입지 않고 김치냄새가 좀 나더라도
그 섬에 다시 갈 수 있을까

그 섬에 다시 갈 수 있을까

아마추어 사진동호회의 총무, K의 전화를 받은 건 며칠 전이었다. 모처럼의 통화였지만 K의 목소리는 어제 만나 소주라도 나눈 사이처럼 정겨웠다. &ldqu
하와이 제도 <7> 하와이 아일랜드

하와이 제도 <7> 하와이 아일랜드

하와이 아일랜드는 하와이 제도에서 가장 크고 제일 어린 섬이다. 빅 아일랜드라는 별명에 걸맞게 다른 하와이의 섬들을 모두 합친 것보다 거의 두 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