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화제] 바다가 열리는 섬…내년 바다 갈라짐 예보 정보

실미도・선재도・제부도・웅도・무창포・대섬・소매물도 등
박상건 기자 2020-12-28 12:56:01

신비의 바닷길, 모세의 기적으로 불리며 바다가 갈라지는 날에 맞춰 섬과 바다로 찾는 여행자들이 늘고 있다. 

바다가 갈라지는 것은 해수면이 낮아질 때 주변보다 수심이 얕은 지형이 해수면 위로 드러나 육지와 섬 또는 섬과 섬 사이에 길이 생기는 현상으로, 서·남해안 지역과 같이 조수간만의 차가 큰 곳에서 발생한다.

제부도 가는 길(사진=섬문화연구소DB)

바다갈라지는 날에는 평소 바닷물로 덮여 있던 바닷길을 직접 밟아볼 수 있어서 여행자들에게는 색다른 경험이고 추억이 된다. 그러나 정확한 바다갈라짐 예보시간을 알지 못하면 순식간에 불어나는 바닷물로 바닷길이 닫혀 고립될 수 있기 때문에 사전에 바다갈라짐 예보시간을 확인하는 것이 중요하다. 

국립해양조사원은 매년 주기적인 현황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정보를 최신화하여 안내책자를 제작하고, 누리집(www.khoa.go.kr)과 안내전화(1588-9822)를 통해서도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특히, 진도에서는 바다갈라짐을 기념하여 매년 초 ‘신비의 바닷길’ 또는 ‘영등살’이라는 축제가 열리고 있는데, 조선 초기 호랑이를 피해 모도로 피신한 가족들과 마을사람들을 그리워하는 뽕할머니를 위해 용왕이 진도 회동리와 모도 사이에 무지개처럼 바닷길을 열어주어 가족들을 만났다는 전설이 내려져오고 있다. 

해양수산부 국립해양조사원은 국민의 안전한 바닷길 체험 및 해양활동 지원을 위해 내년 바다갈라짐 예보를 담은 ‘바다 위를 걷다, 신비의 바다갈라짐’ 책자를 발간하고 무료로 배포한다.

바다갈라짐 예보 위치도(자료=해수부 제공)

바다가 갈라지는 섬과 바다는 인천지역에서는 실미도, 선재도, 소야도가 있고 경기도는 제부도, 충청남도에는 웅도, 무창포, 전북에는 하섬, 전남에는 화도, 진도, 대섬, 우도, 제주도에는 서건도, 경남에는 소매물도, 동섬 등이 있다. 

특히, 올해 진행된 현황조사를 바탕으로 충남 보령시 무창포 예보자료를 기존 목여~무창포에서 석대도~목여~무창포까지로 확대하여 제공하고, 충남 서산시 웅도와 모개섬을 잇는 침수교의 통행시간도 추가로 안내하여 통행 안전을 확보하도록 했였다. 

바다갈라짐 책자는 총 250부가 발간되며, 26일부터 31일까지 국립해양조사원 블로그( http://blog.naver.com/ocean_khoa)에서 신청 접수를 받아 선착순으로 제공할 예정이다. 또한, 예년과 같이 누리집(www.khoa.go.kr)과 안내전화(1588-9822)를 통해서도 예보 서비스를 제공할 예정이다. 

홍래형 국립해양조사원장은 “바다갈라짐 예보자료는 안전한 해양활동을 위해 반드시 필요한 지표이다.”라며, “앞으로도 국민들이 안전하게 해양활동을 할 수 있도록 다양한 방면으로 지원해 나가겠다.”라고 말했다.

    박상건(시인. 섬문화연구소장)

섬TV

서정춘, ‘랑’

서정춘, ‘랑’

랑은이음새가 좋은 말너랑 나랑 또랑물 소리로 만나서사랑하기 좋은 말 - 서정춘, '랑’ 전문 팔순 고갯마루의 서정춘 시인이 제 7시집 ‘랑&rsq
박화목, '보리밭'

박화목, '보리밭'

보리밭 사이길로 걸어가면뉘 부르는 소리 있어 나를 멈춘다옛 생각이 외로워 휘파람 불면고운노래 귓가에 들려온다 돌아보면 아무도 보이지 않고저녁
日・中, 우리바다 넘본 이유

日・中, 우리바다 넘본 이유

대한민국은 3면이 바다인 해양민족이다. 늘 푸른 바다, 드넓은 바다, 3000여 개가 넘는 섬들은 우리네 삶의 터전이자 해양사가 기록되고 해양문화가 탄
서해 끝섬, 격렬비열도

서해 끝섬, 격렬비열도

서해 끝섬, 서해의 독도인 격렬비열도. 정부가 국무회의를 통해 격렬비열도를 국가관리연안항으로 지정한 7월 4일이 ‘격렬비열도의 날’이다.
(7) 푸른 하늘, 푸른 잎의 미학

(7) 푸른 하늘, 푸른 잎의 미학

봄이 왔다. 푸른 하늘이 열리는 청명을 지나 본격적인 농경이 시작되는 곡우를 앞두고 봄비가 내렸다. 농어촌 들녘마다 새싹이 무럭무럭 자라나 올 농
(7) 떠나가고 싶은 배

(7) 떠나가고 싶은 배

코로나로 모두가 묶여 있은 세상. 떠나고 싶다. 묶인 일상을 풀고 더 넓은 바다로 떠나고 싶다. 저 저 배를 바라보면서 문득, 1930년 내 고향 강진의 시인
(6) 호미와 삽

(6) 호미와 삽

소만은 24절기 가운데 여덟 번째 절기다. 들녘은 식물이 성장하기 시작해 녹음으로 짙어진다. 소만 무렵, 여기저기 모내기 준비로 분주하다. 이른 모내
이육사, ‘청포도’

이육사, ‘청포도’

내고장 칠월은청포도가 익어 가는 계절 이 마을 전설이 주절이 주절이 열리고,먼 데 하늘이 꿈꾸며 알알이 들어와 박혀, 하늘 밑 푸른 바다가 가슴을
박상건, '꿈꾸는 격렬비열도'

박상건, '꿈꾸는 격렬비열도'

망망대해 그 너머연사흘 흰 거품 물고 칠천만 년 꾹꾹 눌러 둔 고독이 마침내 폭발하더니만, 깊고 깊어 푸른 그 그리움 더 어쩌지 못하고 파도소리 뜨
유안진, ‘지란지교를 꿈꾸며’

유안진, ‘지란지교를 꿈꾸며’

저녁을 먹고 나면 허물없이 찾아가차 한 잔을 마시고 싶다고 말할 수 있는 친구가 있었으면 좋겠다.입은 옷을 갈아입지 않고 김치냄새가 좀 나더라도
그 섬에 다시 갈 수 있을까

그 섬에 다시 갈 수 있을까

아마추어 사진동호회의 총무, K의 전화를 받은 건 며칠 전이었다. 모처럼의 통화였지만 K의 목소리는 어제 만나 소주라도 나눈 사이처럼 정겨웠다. &ldqu
하와이 제도 <7> 하와이 아일랜드

하와이 제도 <7> 하와이 아일랜드

하와이 아일랜드는 하와이 제도에서 가장 크고 제일 어린 섬이다. 빅 아일랜드라는 별명에 걸맞게 다른 하와이의 섬들을 모두 합친 것보다 거의 두 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