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활정보] 추석 앞두고 국산 사과・배 출시

바로 수확한 사과 ‘홍로’, ‘아리수’, 배 ‘신화’, ‘황금배’, ‘화산’
박월선 기자 2021-09-09 11:35:54

추석 상에 빼놓을 수 없는 과일이 사과 배다. 추석을 앞두고 때마침 수확기를 맞은 싱싱한 사과 ‘홍로’, ‘아리수’, 배 ‘신화’, ‘황금배’, ‘화산’ 등 국산 품종이 전국에서 출시된다.

농촌진흥청은 올해는 지난해보다 열매 착과와 생육 상태가 양호해 싱싱한 과일 공급이 원활할 것으로 예상했다. 

추석 앞두고 출시된 홍로,아리수,신화,황금배(사진위 왼쪽부터. 농진청 제공)

대표적인 국산 사과 품종인 홍로는 사과 어깨에 굴곡이 있어 다른 사과와 구분이 쉽다. 국산 사과 1호 품종으로 당도는 14.5브릭스(Brix)로 달콤하고, 크기는 300g 정도로 큰 편이다. 홍로는 상온에서 30일 가까이 품질이 유지된다. 재배면적은 ‘후지’ 품종 다음으로 많은 5159헥타르(ha)로, 올해는 7만 4000 톤이 출하될 것으로 예상된다. 

홍로의 뒤를 잇는 추석용 품종으로는 아리수가 있다. 아리수는 당도 15.9브릭스(Brix), 산도 0.43%로 홍로보다 새콤달콤하고 모양이 굴곡 없이 매끈하다. 깎아 두었을 때 갈변현상이 적어 가공용으로도 좋다. 고온에도 껍질 색이 빨갛게 잘 드는 기후변화 대응 품종으로, 재배면적은 521헥타르(ha)이며, 올해는 약 800톤이 시중에 유통될 예정이다.

홍로

선물용으로 사과를 고를 때는 꼭지가 푸른색이 돌며 마르지 않은 것, 단단한 느낌이 있는 것을 선택한다. 또한, 밝은 느낌이 나고, 향기가 강하지 않으면서 은은한 것이 신선하다. 

추석 시즌의 제철 국산 품종으로는 신고와 화산을 교배한 신화 품종이 대표적이다. 신화는 익는 시기가 9월 10일 전후이고 신고는 9월 하순이 숙기이다. 신화는 신고보다 2주 이상 빨라 올 추석에 가장 맛있는 상태로 맛볼 수 있다.

아리수

껍질이 초록색을 띠는 황금배도 추석에 만날 수 있다. 석세포(배 알갱이)가 적고 과육이 아삭해 씹는 맛이 좋다. 초록 배는 간혹 부스럼 형태의 동록이 보일 수 있는데, 품질에는 전혀 영향을 주지 않는다. 

신화를 육성하는 데 쓰인 화산도 추석 노려볼 만한 품종이다. 익는 시기는 원래 9월 중순이지만, 올해는 꽃 피는 시기가 평년보다 10일가량 빨라 일찍 성숙했다. 당도는 약 12.9브릭스(Brix)로 높고 신맛이 적어 배의 단맛을 가장 잘 보여준다. 속살이 껍질보다 빨리 익으므로 껍질에 초록색이 조금 남아 있는 것을 고른다.

신화

배를 고를 때는 꼭지 반대편에 미세하고 검은 균열이 있거나, 병충해에 의한 흠이 있는지 꼼꼼히 살펴야 한다. 잘 자란 배는 대체로 열매 모양이 둥글고 튀어나온 곳이 없으며, 표면의 색이 맑고 선명해 선물용으로 손색이 없다. 

황금배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이지원 원장은 “사과와 배에는 식이섬유, 비타민 시(C), 폴리페놀 성분이 풍부해 항산화, 항암, 항당뇨 등의 효과가 있다.”라며 “올해는 지난해보다 추석이 빠르지만 다양한 사과, 배 품종이 시장에 나오니 몸에 좋고 맛도 좋은 국산 과일로 건강한 한가위 즐기시길 바란다.”라고 전했다.

섬TV

서정춘, ‘랑’

서정춘, ‘랑’

랑은이음새가 좋은 말너랑 나랑 또랑물 소리로 만나서사랑하기 좋은 말 - 서정춘, '랑’ 전문 팔순 고갯마루의 서정춘 시인이 제 7시집 ‘랑&rsq
박화목, '보리밭'

박화목, '보리밭'

보리밭 사이길로 걸어가면뉘 부르는 소리 있어 나를 멈춘다옛 생각이 외로워 휘파람 불면고운노래 귓가에 들려온다 돌아보면 아무도 보이지 않고저녁
日・中, 우리바다 넘본 이유

日・中, 우리바다 넘본 이유

대한민국은 3면이 바다인 해양민족이다. 늘 푸른 바다, 드넓은 바다, 3000여 개가 넘는 섬들은 우리네 삶의 터전이자 해양사가 기록되고 해양문화가 탄
서해 끝섬, 격렬비열도

서해 끝섬, 격렬비열도

서해 끝섬, 서해의 독도인 격렬비열도. 정부가 국무회의를 통해 격렬비열도를 국가관리연안항으로 지정한 7월 4일이 ‘격렬비열도의 날’이다.
(7) 푸른 하늘, 푸른 잎의 미학

(7) 푸른 하늘, 푸른 잎의 미학

봄이 왔다. 푸른 하늘이 열리는 청명을 지나 본격적인 농경이 시작되는 곡우를 앞두고 봄비가 내렸다. 농어촌 들녘마다 새싹이 무럭무럭 자라나 올 농
(7) 떠나가고 싶은 배

(7) 떠나가고 싶은 배

코로나로 모두가 묶여 있은 세상. 떠나고 싶다. 묶인 일상을 풀고 더 넓은 바다로 떠나고 싶다. 저 저 배를 바라보면서 문득, 1930년 내 고향 강진의 시인
(6) 호미와 삽

(6) 호미와 삽

소만은 24절기 가운데 여덟 번째 절기다. 들녘은 식물이 성장하기 시작해 녹음으로 짙어진다. 소만 무렵, 여기저기 모내기 준비로 분주하다. 이른 모내
이육사, ‘청포도’

이육사, ‘청포도’

내고장 칠월은청포도가 익어 가는 계절 이 마을 전설이 주절이 주절이 열리고,먼 데 하늘이 꿈꾸며 알알이 들어와 박혀, 하늘 밑 푸른 바다가 가슴을
박상건, '꿈꾸는 격렬비열도'

박상건, '꿈꾸는 격렬비열도'

망망대해 그 너머연사흘 흰 거품 물고 칠천만 년 꾹꾹 눌러 둔 고독이 마침내 폭발하더니만, 깊고 깊어 푸른 그 그리움 더 어쩌지 못하고 파도소리 뜨
유안진, ‘지란지교를 꿈꾸며’

유안진, ‘지란지교를 꿈꾸며’

저녁을 먹고 나면 허물없이 찾아가차 한 잔을 마시고 싶다고 말할 수 있는 친구가 있었으면 좋겠다.입은 옷을 갈아입지 않고 김치냄새가 좀 나더라도
그 섬에 다시 갈 수 있을까

그 섬에 다시 갈 수 있을까

아마추어 사진동호회의 총무, K의 전화를 받은 건 며칠 전이었다. 모처럼의 통화였지만 K의 목소리는 어제 만나 소주라도 나눈 사이처럼 정겨웠다. &ldqu
하와이 제도 <7> 하와이 아일랜드

하와이 제도 <7> 하와이 아일랜드

하와이 아일랜드는 하와이 제도에서 가장 크고 제일 어린 섬이다. 빅 아일랜드라는 별명에 걸맞게 다른 하와이의 섬들을 모두 합친 것보다 거의 두 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