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섬문화연구소] 2020년도 사업 및 결산 보고

정혜진 기자 2021-03-04 08:22:36
* 코로나19의 여파로 일상적인 생활이 제한되고 사회적 거리두기가 시행되고 있습니다.
(사)섬문화연구소는 코로나사태가 진정되는 대로 회원 및 섬과 문학을 사랑하는 시민들과 다양한 활동을 펼쳐나가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사단법인 섬문화연구소의 2020년 사업 및 결산을 공개합니다.

(사)섬문화연구소 2020년도 업무 및 결산 보고

  1. 2020년 사업 및 결산

 

(1) 정기총회

  • 일시 : 2020.2.20.(목) 저녁6시30분
  • 장소 : 줌을 통한 온라인 회의
  • 참석 : 섬문화연구소 회원 22여명 참가(위임 8명 포함)

- 내용 : 섬문화연구소 2019년도 사업 결산 및 2020년도 사업계획 및 예산 승인

 

(2) 온라인 ‘시와 시인의 만남’

  • 일시 : 2020.9.24.(목) 저녁6시30분
  • 장소 : 줌을 통한 온라인 회의
  • 참석 : 섬문화연구소 회원, 전국 시인 등 15여명 참가

- 행사 내용 : 전국 시인들과 섬문화연구소 회원들이 온라인 회의를 통해 코로나시대에 알맞은 문학 활동, 섬 여행, 랜선 여행 등에 대한 의견을 교환

 

(3) 고군산열도 섬사랑시인학교 특별캠프 : 코로나로 인한 사업 보류

* 애초 사업계획

- 일시 : 2020. 5. 2-3일(1박2일)

  • 장소 : 고군산열도 일원
  • 주최 : (사)섬문화연구소, 사회적 협동조합 키움

- 주제 : 해맑은 섬과 바다 그리고 시

  • 내용 : 고군산열도와 함께 하는 해양문화체험(섬 여행, 시낭송 및 해변백일장, 낚시 및 조개 줍기, 청소년 멘토링 등)
  • 대상 : 문화예술인, 전국 관광객, 전북지역 청소년
  • 추진방향 :

○ 문학을 통한 서남해지역 섬 이미지 제고 및 해양문화의 대중화를 추구

○ 고군산열도 역사와 문화의 다양한 가치와 정서 함양

○ 시인들의 참여로 일반인과 우리 문화유적과 해양문학의 예술적 가치 재발견

○ 시인과 어린이들이 함께 만족할 수 있는 문학예술프로그램 제시 및 향유

○ 전북일보 전북도민일보 전라일보 등 지역 언론 동행 취재보도

○ 스포츠전문지 데일리스포츠한국, 여행전문채널 리빙TV 현장 취재 및 방송 예정

---> 코로나19로 인해 사업 진행이 불가하여 보류됨

(4) 섬사랑 온라인 활동

- 홈페이지 주소 : http://www.sumlove.co.kr/

  • 유튜브채널 <섬과 등대TV>운영, 섬 자료 대중화 指向
  • 인터넷신문 <섬> 발간, 다양한 해양뉴스 실시간 제공

- 홈페이지를 통해 섬과 등대, 해양 관련 주요 이슈, 섬과 등대, 해안선, 세계의 섬, 해양 문학, 포토 뉴스와 섬문화연구소 관련 공지, 동영상 등을 게재






      2. 2021년도 사업 계획

(1) 섬사랑시인학교 특별캠프(2020년도 보류사업을 승계하여 진행)

  • 일시 : 2021. 10. 22-23일(1박2일)
  • 장소 : 고군산열도 일원
  • 주최 : (사)섬문화연구소, 사회적 협동조합 키움

- 주제 : 해맑은 섬과 바다 그리고 시

  • 내용 : 고군산열도와 함께 하는 해양문화체험(섬 여행, 시낭송 및 해변백일장, 낚시 및 조개 줍기, 청소년 멘토링등)
  • 대상 : 섬문화연구소 회원, 문화예술인, 지역 청소년 등
  • 추진방향 :

○ 문학을 통한 서남해지역 섬 이미지 제고 및 해양문화의 대중화를 추구

○ 고군산열도 역사와 문화의 다양한 가치와 정서 함양

○ 시인들의 참여로 일반인과 우리 문화유적과 해양문학의 예술적 가치 재발견

○ 시인과 어린이들이 함께 만족할 수 있는 문학예술프로그램 제시 및 향유

○ 전북일보 전북도민일보 전라일보 등 지역 언론 동행 취재보도

○ 스포츠전문지 데일리스포츠한국, 여행전문채널 리빙TV 현장 취재 및 방송 예정

 

(2) 잡지 <섬> 발간

- 잡지 <섬> 발간 : ‘섬’에 대한 다양한 접근을 유도하고 관심을 提高하는 커뮤니케이션 통로로써 매체 發刊. 회원, 외국인기관, 여행사, 기관, 애호가에 배포. 우리나라 아름다운 섬과 해양공간을 널리 소개하고 보존 役割

 

(3) 섬사랑 온라인 활동

  • 유튜브채널 <섬과등대TV>운영, 섬 자료 대중화 指向
  • 인터넷신문 <섬> 발간, 다양한 해양뉴스 실시간 제공

 

(4) 학술 연구 및 조사활동

 

(5) 해양 생태 관리 및 바다 섬 환경 보존에 관한 세미나 개최

 

(6) 섬, 문학 관련 기관, 단체와 공동 행사(세미나, 포럼 등)



 

섬TV

서정춘, ‘랑’

서정춘, ‘랑’

랑은이음새가 좋은 말너랑 나랑 또랑물 소리로 만나서사랑하기 좋은 말 - 서정춘, '랑’ 전문 팔순 고갯마루의 서정춘 시인이 제 7시집 ‘랑&rsq
박화목, '보리밭'

박화목, '보리밭'

보리밭 사이길로 걸어가면뉘 부르는 소리 있어 나를 멈춘다옛 생각이 외로워 휘파람 불면고운노래 귓가에 들려온다 돌아보면 아무도 보이지 않고저녁
日・中, 우리바다 넘본 이유

日・中, 우리바다 넘본 이유

대한민국은 3면이 바다인 해양민족이다. 늘 푸른 바다, 드넓은 바다, 3000여 개가 넘는 섬들은 우리네 삶의 터전이자 해양사가 기록되고 해양문화가 탄
서해 끝섬, 격렬비열도

서해 끝섬, 격렬비열도

서해 끝섬, 서해의 독도인 격렬비열도. 정부가 국무회의를 통해 격렬비열도를 국가관리연안항으로 지정한 7월 4일이 ‘격렬비열도의 날’이다.
(7) 푸른 하늘, 푸른 잎의 미학

(7) 푸른 하늘, 푸른 잎의 미학

봄이 왔다. 푸른 하늘이 열리는 청명을 지나 본격적인 농경이 시작되는 곡우를 앞두고 봄비가 내렸다. 농어촌 들녘마다 새싹이 무럭무럭 자라나 올 농
(7) 떠나가고 싶은 배

(7) 떠나가고 싶은 배

코로나로 모두가 묶여 있은 세상. 떠나고 싶다. 묶인 일상을 풀고 더 넓은 바다로 떠나고 싶다. 저 저 배를 바라보면서 문득, 1930년 내 고향 강진의 시인
(6) 호미와 삽

(6) 호미와 삽

소만은 24절기 가운데 여덟 번째 절기다. 들녘은 식물이 성장하기 시작해 녹음으로 짙어진다. 소만 무렵, 여기저기 모내기 준비로 분주하다. 이른 모내
이육사, ‘청포도’

이육사, ‘청포도’

내고장 칠월은청포도가 익어 가는 계절 이 마을 전설이 주절이 주절이 열리고,먼 데 하늘이 꿈꾸며 알알이 들어와 박혀, 하늘 밑 푸른 바다가 가슴을
박상건, '꿈꾸는 격렬비열도'

박상건, '꿈꾸는 격렬비열도'

망망대해 그 너머연사흘 흰 거품 물고 칠천만 년 꾹꾹 눌러 둔 고독이 마침내 폭발하더니만, 깊고 깊어 푸른 그 그리움 더 어쩌지 못하고 파도소리 뜨
유안진, ‘지란지교를 꿈꾸며’

유안진, ‘지란지교를 꿈꾸며’

저녁을 먹고 나면 허물없이 찾아가차 한 잔을 마시고 싶다고 말할 수 있는 친구가 있었으면 좋겠다.입은 옷을 갈아입지 않고 김치냄새가 좀 나더라도
그 섬에 다시 갈 수 있을까

그 섬에 다시 갈 수 있을까

아마추어 사진동호회의 총무, K의 전화를 받은 건 며칠 전이었다. 모처럼의 통화였지만 K의 목소리는 어제 만나 소주라도 나눈 사이처럼 정겨웠다. &ldqu
하와이 제도 <7> 하와이 아일랜드

하와이 제도 <7> 하와이 아일랜드

하와이 아일랜드는 하와이 제도에서 가장 크고 제일 어린 섬이다. 빅 아일랜드라는 별명에 걸맞게 다른 하와이의 섬들을 모두 합친 것보다 거의 두 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