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성형 블루이코노미 날개달다…벌교권 관광 테마로드 조성

소설 태백산맥에서부터 갯벌, 뻘배, 꼬막 등 벌교색깔 만들기
김충호 기자 2020-12-16 15:19:37

보성군의 보성형 블루이코노미 추진에 가속도가 붙을 것으로 보인다. 보성군에 따르면 해양갯벌 생태 네트워크 구축 및 탐방로 조성사업과 내년도 어촌뉴딜300사업이 정부 예산 추가 반영이 확정됐다고 밝혔다. 

특히, 이번 예산 확보로 회천 득량만에서 벌교 여자만까지 이어지는 광역 해양 거점이 건설되고, 벌교 태백산맥 문학관에서 장도까지 이어지는 1천억 원 대 벌교권역 통합 관광로드 개발도 탄력을 받을 것으로 보인다. 

보성 해양레저 관광거점 조성사업 조감도

해양갯벌 생태 네트워크 조성사업은 보성군 벌교읍 장암리 및 장도리 일원에 350억 원을 투입하여 해상 탐방로 3.5km, 해안 탐방로 6.6km를 조성하고, 습지보전센터를 건립하는 사업으로 여자만 벌교 갯벌의 생태학적인 우수성을 알리는데 목적이 있다. 

보성군은 기존 해양레저관광 거점 조성사업 430억 원을 확보해 회천면 일원에 국내 최대 인피니티풀, 최장 깊이의 스쿠버다이빙 시설을 갖춘 종합해양레저센터 건립이 진행되고 있으며, 308억 원 규모의 전라남도 교직원 교육문화 시설도 추진 중이다. 

군은 낙후된 어촌지역의 활성화 및 소득 증대를 위하여 지난해와 올해 어촌뉴딜300사업으로 각 2개소씩 358억 원을 확보했으며 올해 12월 득량 청암항이 선정되어 추가로 60억 원의 예산을 확보했다. 

보성군은 이번에 추가로 확보한 해양관광사업 및 어촌뉴딜300사업을 통해 보성군 어촌지역의 관광자원이 활성화되고 농어가 소득 증대가 실현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김철우 보성군수는 “현재 추진하고 있는 각종 단위사업을 통합해 광역 해양 관광 거점으로 키우고, 벌교 권역의 자랑인 소설 태백산맥에서부터 갯벌, 국가중요어업유산 뻘배, 꼬막 등 문화와 자연 모두를 섭렵할 수 있는 통합 관광 로드를 만들어 가장 벌교다운 색깔을 지닌 관광 자원으로 키워갈 것”이라고 말했다.

 

 

섬TV

서정춘, ‘랑’

서정춘, ‘랑’

랑은이음새가 좋은 말너랑 나랑 또랑물 소리로 만나서사랑하기 좋은 말 - 서정춘, '랑’ 전문 팔순 고갯마루의 서정춘 시인이 제 7시집 ‘랑&rsq
박화목, '보리밭'

박화목, '보리밭'

보리밭 사이길로 걸어가면뉘 부르는 소리 있어 나를 멈춘다옛 생각이 외로워 휘파람 불면고운노래 귓가에 들려온다 돌아보면 아무도 보이지 않고저녁
日・中, 우리바다 넘본 이유

日・中, 우리바다 넘본 이유

대한민국은 3면이 바다인 해양민족이다. 늘 푸른 바다, 드넓은 바다, 3000여 개가 넘는 섬들은 우리네 삶의 터전이자 해양사가 기록되고 해양문화가 탄
서해 끝섬, 격렬비열도

서해 끝섬, 격렬비열도

서해 끝섬, 서해의 독도인 격렬비열도. 정부가 국무회의를 통해 격렬비열도를 국가관리연안항으로 지정한 7월 4일이 ‘격렬비열도의 날’이다.
(7) 푸른 하늘, 푸른 잎의 미학

(7) 푸른 하늘, 푸른 잎의 미학

봄이 왔다. 푸른 하늘이 열리는 청명을 지나 본격적인 농경이 시작되는 곡우를 앞두고 봄비가 내렸다. 농어촌 들녘마다 새싹이 무럭무럭 자라나 올 농
(7) 떠나가고 싶은 배

(7) 떠나가고 싶은 배

코로나로 모두가 묶여 있은 세상. 떠나고 싶다. 묶인 일상을 풀고 더 넓은 바다로 떠나고 싶다. 저 저 배를 바라보면서 문득, 1930년 내 고향 강진의 시인
(6) 호미와 삽

(6) 호미와 삽

소만은 24절기 가운데 여덟 번째 절기다. 들녘은 식물이 성장하기 시작해 녹음으로 짙어진다. 소만 무렵, 여기저기 모내기 준비로 분주하다. 이른 모내
이육사, ‘청포도’

이육사, ‘청포도’

내고장 칠월은청포도가 익어 가는 계절 이 마을 전설이 주절이 주절이 열리고,먼 데 하늘이 꿈꾸며 알알이 들어와 박혀, 하늘 밑 푸른 바다가 가슴을
박상건, '꿈꾸는 격렬비열도'

박상건, '꿈꾸는 격렬비열도'

망망대해 그 너머연사흘 흰 거품 물고 칠천만 년 꾹꾹 눌러 둔 고독이 마침내 폭발하더니만, 깊고 깊어 푸른 그 그리움 더 어쩌지 못하고 파도소리 뜨
유안진, ‘지란지교를 꿈꾸며’

유안진, ‘지란지교를 꿈꾸며’

저녁을 먹고 나면 허물없이 찾아가차 한 잔을 마시고 싶다고 말할 수 있는 친구가 있었으면 좋겠다.입은 옷을 갈아입지 않고 김치냄새가 좀 나더라도
그 섬에 다시 갈 수 있을까

그 섬에 다시 갈 수 있을까

아마추어 사진동호회의 총무, K의 전화를 받은 건 며칠 전이었다. 모처럼의 통화였지만 K의 목소리는 어제 만나 소주라도 나눈 사이처럼 정겨웠다. &ldqu
하와이 제도 <7> 하와이 아일랜드

하와이 제도 <7> 하와이 아일랜드

하와이 아일랜드는 하와이 제도에서 가장 크고 제일 어린 섬이다. 빅 아일랜드라는 별명에 걸맞게 다른 하와이의 섬들을 모두 합친 것보다 거의 두 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