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수부, 충남 가로림만 해양보호구역 확대

주민들 자발적 선순환 관리 첫 사례…91.23㎢→92.04㎢로 늘어
섬관리자 기자 2019-12-22 13:32:22

해양수산부(장관 문성혁)는 2019년 12월 17일 충청남도 가로림만 해양보호구역을 약 0.8㎢ 확대 지정한다. 

가로림만 해역은 충남 서산시와 태안군 사이의 반폐쇄성 내만이다. 이번 확대 지정으로 가로림만 해양보호구역은 91.23㎢에서 92.04㎢로 늘어나게 된다. 

가로림만 전경(사진=해수부 제공)

해양수산부는 2016년 7월 해양보호생물인 점박이물범의 서식지이자 천혜의 자연환경을 유지하고 있는 충남 가로림만 해역을 해양보호구역으로 지정했다. 다만, 당시 어업활동 제한 우려 등으로 지역주민의 반대가 있던 해역을 해양보호구역에서 제외한 바 있다. 

그동안 해양수산부는 가로림만 해양보호구역의 체계적인 보전・관리를 위해 어촌계협의회, 충남지속가능발전협의회, 지역주민, 지자체 등이 참여하는 지역관리위원회를 중심으로 관리기본계획을 수립했다. 

태안군은 관리기본계획에 따라 가로림만 해양보호구역의 인식 증진을 위해 곳곳에 안내판을 설치하고 가로림만의 풍광을 즐길 수 있도록 탐방로를 조성했으며, 해양쓰레기 투기 방지를 위해 지역주민이 참여하는 명예지도원을 위촉·운영했다. 

또한 바지락 등 수산물을 세척할 수 있는 해수 저장조 조성, 조업 중 쉴 수 있는 해상 쉼터 설치, 넙치 및 조피볼락 등 주요 수산물 종묘 방류 등 지역주민 소득 증진사업과 함께 해양생태자원의 보전과 현명한 이용을 위해 노력해 왔다. 

이러한 노력은 이번 해양보호구역 확대 지정의 원동력이 되었다. 특히, 지역어촌계 등 주민으로 구성된 ‘명예지도원’의 해양보호구역 인식 증진 홍보가 큰 역할을 했다. 태안군은 명예지도원을 중심으로 지역주민 간 소통의 장을 마련하고 지역주민의 의견을 반영한 관리 사업을 추진했다. 이를 통해 해양보호구역 지정으로 인한 어업행위 제한 우려를 불식시켜 기존 해양보호구역에서 제외된 구역 주민들이 먼저 해양보호구역 확대 지정을 요청하게 됐다. 

송명달 해양수산부 해양환경정책관은 “이번 가로림만 해양보호구역 확대 지정은 주민이 자발적으로 보호구역 확대와 관리 강화를 희망한 선순환 관리구조의 첫 사례”라며, “해양보호구역이 지역경제의 활력을 높이고 주민의 삶의 질을 개선하여 해양생태계 보전의 상징으로 자리 잡을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라고 말했다. 

한편, 이번 해양보호구역 확대 지정으로 국내 해양보호구역 전체 면적은 약 1,778㎢로 늘어난다.

섬TV

서정춘, ‘랑’

서정춘, ‘랑’

랑은이음새가 좋은 말너랑 나랑 또랑물 소리로 만나서사랑하기 좋은 말 - 서정춘, '랑’ 전문 팔순 고갯마루의 서정춘 시인이 제 7시집 ‘랑&rsq
박화목, '보리밭'

박화목, '보리밭'

보리밭 사이길로 걸어가면뉘 부르는 소리 있어 나를 멈춘다옛 생각이 외로워 휘파람 불면고운노래 귓가에 들려온다 돌아보면 아무도 보이지 않고저녁
日・中, 우리바다 넘본 이유

日・中, 우리바다 넘본 이유

대한민국은 3면이 바다인 해양민족이다. 늘 푸른 바다, 드넓은 바다, 3000여 개가 넘는 섬들은 우리네 삶의 터전이자 해양사가 기록되고 해양문화가 탄
서해 끝섬, 격렬비열도

서해 끝섬, 격렬비열도

서해 끝섬, 서해의 독도인 격렬비열도. 정부가 국무회의를 통해 격렬비열도를 국가관리연안항으로 지정한 7월 4일이 ‘격렬비열도의 날’이다.
(7) 푸른 하늘, 푸른 잎의 미학

(7) 푸른 하늘, 푸른 잎의 미학

봄이 왔다. 푸른 하늘이 열리는 청명을 지나 본격적인 농경이 시작되는 곡우를 앞두고 봄비가 내렸다. 농어촌 들녘마다 새싹이 무럭무럭 자라나 올 농
(7) 떠나가고 싶은 배

(7) 떠나가고 싶은 배

코로나로 모두가 묶여 있은 세상. 떠나고 싶다. 묶인 일상을 풀고 더 넓은 바다로 떠나고 싶다. 저 저 배를 바라보면서 문득, 1930년 내 고향 강진의 시인
(6) 호미와 삽

(6) 호미와 삽

소만은 24절기 가운데 여덟 번째 절기다. 들녘은 식물이 성장하기 시작해 녹음으로 짙어진다. 소만 무렵, 여기저기 모내기 준비로 분주하다. 이른 모내
이육사, ‘청포도’

이육사, ‘청포도’

내고장 칠월은청포도가 익어 가는 계절 이 마을 전설이 주절이 주절이 열리고,먼 데 하늘이 꿈꾸며 알알이 들어와 박혀, 하늘 밑 푸른 바다가 가슴을
박상건, '꿈꾸는 격렬비열도'

박상건, '꿈꾸는 격렬비열도'

망망대해 그 너머연사흘 흰 거품 물고 칠천만 년 꾹꾹 눌러 둔 고독이 마침내 폭발하더니만, 깊고 깊어 푸른 그 그리움 더 어쩌지 못하고 파도소리 뜨
유안진, ‘지란지교를 꿈꾸며’

유안진, ‘지란지교를 꿈꾸며’

저녁을 먹고 나면 허물없이 찾아가차 한 잔을 마시고 싶다고 말할 수 있는 친구가 있었으면 좋겠다.입은 옷을 갈아입지 않고 김치냄새가 좀 나더라도
그 섬에 다시 갈 수 있을까

그 섬에 다시 갈 수 있을까

아마추어 사진동호회의 총무, K의 전화를 받은 건 며칠 전이었다. 모처럼의 통화였지만 K의 목소리는 어제 만나 소주라도 나눈 사이처럼 정겨웠다. &ldqu
하와이 제도 <7> 하와이 아일랜드

하와이 제도 <7> 하와이 아일랜드

하와이 아일랜드는 하와이 제도에서 가장 크고 제일 어린 섬이다. 빅 아일랜드라는 별명에 걸맞게 다른 하와이의 섬들을 모두 합친 것보다 거의 두 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