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상건 시인의 '섬을 걷다'] 중국의 새벽 닭 우는 소리가 들리는 섬, 가거도

전남 신안군 가거도 편(1)-동지나해 어선들 피항
섬관리자 기자 2019-12-17 15:52:54

우리나라 국토의 최동단에는 독도가 있다. 최남단에는 마라도가 있다. 그리고 최서남단에 가거도가 있다. 

국토 최서남단 표지석


섬관리자 기자 kodesinfo@gmail.com
섬관리자 기자 kodesinfo@gmail.com가거도는 ‘가히 살만한 섬’이란 뜻으로 1896년부터 불린 이름이다. 가거도는 전라남도 신안군 흑산면에 딸린 섬으로 가거도의 다른 이름은 소흑산도이다. 현재 흑산도는 대흑산도이다. 가거도 섬 면적은 9.18㎢, 해안선 길이는 22㎞. 중국의 새벽 닭 우는 소리가 들린다는 섬으로 그만큼 국토의 최서남단에 위치한다는 뜻이다. 

가거도 1구 이정표

가거도1구 가도도항 맞은편에는 눈길을 끄는 이정표가 세워져 있다. 중국 390km, 서울 420km, 오키나와 355km, 필리핀 2,180km. 중국과의 거리가 서울과 거리보다 가깝다. 여객선이 오고가는 목포와는 145km 떨어져 있다. 가거도는 먼 바다에 속해 항해와 여행 일정에서 날씨 영향을 직접적으로 받는다. 가더라도 거센 파도를 넘어야만 갈 수 있는 섬이다. 

가거도 해역에 풍랑이 일거나 거센 폭풍우가 몰아칠 때면 인근 동지나해에서 고기를 잡던 어선들은 가거도항으로 뱃머리를 돌려 악천후를 피한다. 이 때문에 폭풍이 잦은 겨울철에는 중국 어선들도 많이 볼 수 있고 많은 배들이 폭풍우를 피해 이곳에 몰려올 때에는 파시가 형성되기도 한다. 그래서 가거도는 서남해역의 어업전진기지이자 우리 영해를 수호하는 첨병의 역할을 맡고 있다.

가거도 노을풍경

가거도는 시베리아에서 동남아까지 수천 km를 이동하는 수천만 마리의 철새들이 쉬어가는 기착지 역할을 하는 섬이기도 하다. 가거도 바다는 난류와 한류가 교차해 멸치를 비롯한 조기, 갈치, 다랑어, 돔류 등 어족자원이 풍부하다. 그래서 전국의 낚시꾼들에게는 꼭 가보고 싶은 최고의 섬이다. 

신안군에서 가장 높은 639m 독실산을 중심으로 서남쪽으로 뻗어있는 가거도는 산세가 높고 섬 전체가 절벽으로 형성되어 웅장하고 기괴한 절경과 함께 남성적인 미를 풍긴가. 길쭉한 해안선과 가파른 해안절벽 위로 늘 구름을 머금고 바다 위에 둥둥 떠 있는 듯한 모습은 신비감 그 자체이다. 

가거도등대로 가는 대숲길

가거도항에서 시계방향으로 돌아가면 녹섬 돛단바위, 기둥바위, 망부부석, 국흘도, 망향바위, 남문과 해상터널 등 기암괴석들이 감탄을 자아낸다. 섬 안에는 후박나무, 굴거리나무, 천리향이 빽빽이 우거져 있고 후박나무 약재 전국 생산량 70%가 가거도에서 나올 정도로 산에는 후박 숲이 빽빽하다. 이외에도 음양곽, 현삼, 목단피, 갈근 등의 희귀약초가 자생한다. 천연기념물인 흑비둘기, 흰 날개 해오라기, 바다 직박구리 등 희귀조류가 서식하는 자연의 낙원이기도 하다. 

500여명의 주민들이 사는 가거도는 1구를 대리, 2구를 항리, 3구를 대풍리라고 부른다. 이 3개의 자연부락으로 구성된 가거도는 마을마다 섬기는 수호신이 다르다. 1구 수호신은 스님, 2구는 치자나무, 3구는 쇠붙이로 동네 어민들의 삶과 관련이 깊은 대상들이다. 1구 대리마을에 도착하면 가거도출장소 앞의 “大韓民國 最西南段(대한민국 최서남단)”이라는 표지석이 인상적이다. 2구와 3구 부락에는 낚시인을 위한 전문 숙박시설과 낚시전문 선박이 준비돼 전국에서 찾아오는 강태공들을 맞는다. 

가거도항에서 등대로 가는 독실산길

가거도 3구에서 4km 떨어져 있는 ‘구굴도 해조류 번식지’는 뿔쇠오리, 바다제비, 슴새 등 철새들의 이동 경로상 기착지이자 철새들 번식지로써 1984년 8월 13일 천연기념물 제341호로 지정됐다. 바다제비는 한국 일본 중국 타이완 등지에서 번식하며 자바에서 인도양까지 남하하여 겨울을 보낸다. 슴새는 일본 흣카이도 북부에서 류우큐우 남쪽, 그리고 한국과 중국 해안에서 번식하며 필리핀까지 남하하여 겨울을 보낸다. 뿔쇠오리는 한국과 일본의 난류에 분포한다. 이 해역은 유명한 선상낚시 포인트이기도 하다. 

무인도 구굴도와 개린도

가거도 ‘멸치잡이’노래는 지방무형 문화재 제22호로 야간에 멸치잡이를 나갈 때는 파도위에서 횃불을 켜들고 섬 주위를 돌다가 멸치 떼가 발견되면 소리를 지르고 뱃전을 두드리며 갯창으로 몰아 그물을 치고 멸치를 잡았다. 이 과정에서 노를 젓고 그물을 당기는 고된 작업의 피로를 덜어주고 일체감 조성을 위해 불렀던 노래로써 81년 지방무형문화재 제22호로 지정됐다. 

‘멸치잡이’는 음력 6월 중순에서 9월 중순까지 한철이다. 어부들은 초저녁에 바다로 나가 다음날 동트기 전까지 작업을 한다. 이 민요는 노를 저을 때 부르는 놋소리, 멸치가 발견되었을 때 횃불을 켜들고 멸치를 모는 멸치 모는 소리, 바다에다 그물을 넣는 그물 넣는 소리, 멸치를 가래로 퍼 올리는 술비소리, 그물을 끌어올리는 그물 올리는 소리, 그물을 올리고 귀향하면서 부르는 빠른 놋 소리, 배가 가득 차 포구로 돌아올 때 부르는 풍장소리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다음호에 계속) 사진: 박상건(시인. 섬문화연구소장)

섬TV

신경림, '갈대'

신경림, '갈대'

언제부턴가 갈대는 속으로 조용히 울고 있었다. 그런 어느 밤이었을 것이다. 갈대는 그의 온몸이 흔들리고 있는 것을 알았다. 바람도 달빛도 아닌
타인의 섬으로 여행을 떠나자

타인의 섬으로 여행을 떠나자

‘몰디브, 보라보라, 발리......’ 신문에서 자주 접하는 섬들이다. 이곳에는 무성한 야자수와 금가루 같은 백사장, 그리고 돈 많은 관광객이 있다
日・中, 우리바다 넘본 이유

日・中, 우리바다 넘본 이유

대한민국은 3면이 바다인 해양민족이다. 늘 푸른 바다, 드넓은 바다, 3000여 개가 넘는 섬들은 우리네 삶의 터전이자 해양사가 기록되고 해양문화가 탄
화성시 서신면 전곡항 등대

화성시 서신면 전곡항 등대

화성시 전곡항은 시화방조제가 조성되면서 시화호 이주민을 위해 조성한 다기능어항이다. 항구는 화성시 서신면과 안산시 대부도를 잇는 방파제가 건
충남 당진시 송악읍 안섬포구 등대

충남 당진시 송악읍 안섬포구 등대

아산만 당진시 안섬포구는 서해안 간척 시대의 어제와 오늘, 서해 어촌이 걸어온 길과 관광 대중화에 발맞춰 섬과 포구가 어떻게 달라지는지를 보여주
군산시 옥도면 무녀도

군산시 옥도면 무녀도

새만금방조제를 지나 신시도에서 고군산대교를 지나면 무녀도다. 무녀도는 선유대교를 통해 선유도와 장자도와 연결돼 차량으로 고군산군도를 여행
(7) 푸른 하늘, 푸른 잎의 미학

(7) 푸른 하늘, 푸른 잎의 미학

봄이 왔다. 푸른 하늘이 열리는 청명을 지나 본격적인 농경이 시작되는 곡우를 앞두고 봄비가 내렸다. 농어촌 들녘마다 새싹이 무럭무럭 자라나 올 농
(7) 떠나가고 싶은 배

(7) 떠나가고 싶은 배

코로나로 모두가 묶여 있은 세상. 떠나고 싶다. 묶인 일상을 풀고 더 넓은 바다로 떠나고 싶다. 저 저 배를 바라보면서 문득, 1930년 내 고향 강진의 시인
(6) 호미와 삽

(6) 호미와 삽

소만은 24절기 가운데 여덟 번째 절기다. 들녘은 식물이 성장하기 시작해 녹음으로 짙어진다. 소만 무렵, 여기저기 모내기 준비로 분주하다. 이른 모내
신경림, '갈대'

신경림, '갈대'

언제부턴가 갈대는 속으로 조용히 울고 있었다. 그런 어느 밤이었을 것이다. 갈대는 그의 온몸이 흔들리고 있는 것을 알았다. 바람도 달빛도 아닌
그 섬에 다시 갈 수 있을까

그 섬에 다시 갈 수 있을까

아마추어 사진동호회의 총무, K의 전화를 받은 건 며칠 전이었다. 모처럼의 통화였지만 K의 목소리는 어제 만나 소주라도 나눈 사이처럼 정겨웠다. &ldqu
하와이 제도 <7> 하와이 아일랜드

하와이 제도 <7> 하와이 아일랜드

하와이 아일랜드는 하와이 제도에서 가장 크고 제일 어린 섬이다. 빅 아일랜드라는 별명에 걸맞게 다른 하와이의 섬들을 모두 합친 것보다 거의 두 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