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류의 바다, 연결의 시작’... '국립인천해양박물관' 개관

수도권 첫 국립해양문화시설...해양 관련 유물 등 890여점 전시
한규택 기자 2024-12-16 16:10:19
수도권 첫 해양문화시설인 국립인천해양박물관이 지난 11일 인천 월미도에 문을 열고 본격 운영에 들어갔다. 그동안 우리나라에서 해양 문화와 관련된 박물관은 지난 2012년 부산 영도구에 문을 연 국립해양박물관이 유일했다. 이번 인천해양박물관 개관으로 수도권 시민들에게 해양문화체험 기회를 폭넓게 제공할 것으로 기대를 모으고 있다. 

해양수산부는 수도권에 처음 설립된 해양문화시설인 국립인천해양박물관이 지난 11일 개관식을 갖고 본격적인 운영에 들어갔다고 13일 밝혔다.

국립인천해양박물관 전경(사진=인천광역시 제공)


해양수산부는 인천항 갑문 매립지 2만5809㎡ 부지에 지상 4층, 연면적 1만7318㎡ 규모의 국립해양박물관이 지난 11일 개관식을 갖고 본격적인 운영에 들어갔다고 13일 밝혔다. 국비 1,016억원을 투입해 2021년 11월 착공한 지 3년 만이다.

박물관 외관은 인근 월미산의 능선과 바다의 물결을 이어주는 곡선 디자인으로 구성됐다. 실내는 인천 앞바다와 인천대교를 조망할 수 있는 구조로 만들어졌다. 한국이민사박물관과 월미 문화의거리가 인근에 있다.

박물관은 '교류의 바다, 연결의 시작'이라는 주제로 선사시대부터 현재까지 이어진 우리나라 해양 교류의 역사와 해운·항만의 발전, 삶의 터전으로서 바다와 관련한 문화예술을 전시한다.

국립인천해양박물관 해양교류사실(사진=국립인천해양박물관 제공)


아울러 개관을 기념해 박물관에 유물을 기증하신 분들을 위한 '기증특별전-순항'이 열리고 있다. 기증특별전에서는 박물관 개관을 위해 소중한 해양유산을 기증한 기증자 33인의 주요 유물 341점이 최초로 선보인다. 특히 오는 13일부터 15일까지 어린이들을 위한 구연동화, 마술공연, 페이스페인팅, 공예체험 등 다채로운 부대행사가 진행된다. 18일에는 ‘해양문화와 지속가능성’을 주제로 학술대회가 개최될 예정이다.

주요 시설로는 어린이박물관(1층)과 디지털실감영상실(1·2층), 해양교류사실, 해운항만실과 도서자료실(2층), 해양문화실과 기획전시실(3층), 유물을 보관하는 수장고 시설과 카페 등 방문객 편의시설(4층)이 있다. 

1층 전시관은 어린이박물관과 바다 이야기를 몰입형 영상으로 경험할 수 있도록 꾸몄다. 2층 전시관은 선사시대부터 개항기까지 해양 교류사, 현대 해운물류, 스마트 항만 등의 이야기를 담고 있다. 3층은 해양민속과 어촌 변화상을 담은 해양문화실을 4층에는 카페와 수장고가 있다.

국립인천해양박물관 해운항만실(사진=국립인천해양박물과


박물관 전시 주제는 ‘교류의 바다, 연결의 시작’이다. 한반도에서 바다를 이용한 ‘교류’ 역사와 현재의 해운 물류 발전까지 보여준다는 의미다. 더불어 바다를 배경으로 하는 어업인과 어촌의 변화를 보여주면서 관람객과 ‘연결’한다는 뜻을 담았다.

연결의 시작’은 바다를 배경으로 살아가는 사람들의 삶과 삶이 어촌의 변화 과정 속에서 어떻게 연결되는지 살펴볼 수 있도록 해양민속과 산업화로 변화된 어촌의 모습 등을 담았다

강도형 해수부 장관은 기념사를 통해 "런던, 암스테르담, 싱가포르 등 세계적인 해양도시들은 해양박물관을 통해 해양 역사를 기념하고, 이를 도시의 정체성과 문화로 계승해 지속적으로 번영하고 있다"며 "국립인천해양박물관이 인천을 세계적인 해양도시로 도약시키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해주길 바란다"고 밝혔다.

섬TV

신경림, '갈대'

신경림, '갈대'

언제부턴가 갈대는 속으로 조용히 울고 있었다. 그런 어느 밤이었을 것이다. 갈대는 그의 온몸이 흔들리고 있는 것을 알았다. 바람도 달빛도 아닌
日・中, 우리바다 넘본 이유

日・中, 우리바다 넘본 이유

대한민국은 3면이 바다인 해양민족이다. 늘 푸른 바다, 드넓은 바다, 3000여 개가 넘는 섬들은 우리네 삶의 터전이자 해양사가 기록되고 해양문화가 탄
화성시 서신면 전곡항 등대

화성시 서신면 전곡항 등대

화성시 전곡항은 시화방조제가 조성되면서 시화호 이주민을 위해 조성한 다기능어항이다. 항구는 화성시 서신면과 안산시 대부도를 잇는 방파제가 건
충남 당진시 송악읍 안섬포구 등대

충남 당진시 송악읍 안섬포구 등대

아산만 당진시 안섬포구는 서해안 간척 시대의 어제와 오늘, 서해 어촌이 걸어온 길과 관광 대중화에 발맞춰 섬과 포구가 어떻게 달라지는지를 보여주
군산시 옥도면 무녀도

군산시 옥도면 무녀도

새만금방조제를 지나 신시도에서 고군산대교를 지나면 무녀도다. 무녀도는 선유대교를 통해 선유도와 장자도와 연결돼 차량으로 고군산군도를 여행
(7) 푸른 하늘, 푸른 잎의 미학

(7) 푸른 하늘, 푸른 잎의 미학

봄이 왔다. 푸른 하늘이 열리는 청명을 지나 본격적인 농경이 시작되는 곡우를 앞두고 봄비가 내렸다. 농어촌 들녘마다 새싹이 무럭무럭 자라나 올 농
(7) 떠나가고 싶은 배

(7) 떠나가고 싶은 배

코로나로 모두가 묶여 있은 세상. 떠나고 싶다. 묶인 일상을 풀고 더 넓은 바다로 떠나고 싶다. 저 저 배를 바라보면서 문득, 1930년 내 고향 강진의 시인
(6) 호미와 삽

(6) 호미와 삽

소만은 24절기 가운데 여덟 번째 절기다. 들녘은 식물이 성장하기 시작해 녹음으로 짙어진다. 소만 무렵, 여기저기 모내기 준비로 분주하다. 이른 모내
신경림, '갈대'

신경림, '갈대'

언제부턴가 갈대는 속으로 조용히 울고 있었다. 그런 어느 밤이었을 것이다. 갈대는 그의 온몸이 흔들리고 있는 것을 알았다. 바람도 달빛도 아닌
그 섬에 다시 갈 수 있을까

그 섬에 다시 갈 수 있을까

아마추어 사진동호회의 총무, K의 전화를 받은 건 며칠 전이었다. 모처럼의 통화였지만 K의 목소리는 어제 만나 소주라도 나눈 사이처럼 정겨웠다. &ldqu
하와이 제도 <7> 하와이 아일랜드

하와이 제도 <7> 하와이 아일랜드

하와이 아일랜드는 하와이 제도에서 가장 크고 제일 어린 섬이다. 빅 아일랜드라는 별명에 걸맞게 다른 하와이의 섬들을 모두 합친 것보다 거의 두 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