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로운 미래 관광 콘텐츠로 급부상하고 있는 ‘해양치유’를 활성화하기 위한 각 지자체의 노력이 뜨겁다. 지난해 11월 국내 최초로 전남 완도에 ‘해양치유센터’가 개관했고, 지금도 태안군, 울진군, 경남 고성군에 권역별로 설치된 해양치유시범센터가 운영 중이다.
제주 성산읍 해안(사진=제주특별자치도 제공)
해양치유산업 발전의 핵심 요소는 좋은 해양치유 자원을 얼마나 많이 보유했는가에 달려있다. 이런 점에서 천혜의 자연환경으로 이미 세계적인 관광지로 자리매김한 제주도는 해양치유산업을 발전시키는 데 적합한 장소 중의 하나다. 때마침 최근 제주 성산읍에 ‘해양치유센터’가 들어선다는 소식이 전해져 화제다.
제주특별자치도는 서귀포시 성산읍 시흥리 일원에 제주 해양치유센터를 건립한다고 15일 밝혔다. 올해부터 2026년까지 3년간 국비 240억 원·도비 240억 원 등 모두 480억 원이 투입될 예정이다. 제주도에 따르면, 시흥리는 제주올레의 시작점인 1코스가 지나고, 3km 거리에 유네스코 세계자연유산인 성산일출봉이 바라보는 천혜의 해안 풍광을 앞에 두고 있어 해양치유의 최적지로 평가된다.
성산일출봉(사진=섬문화연구소DB)
해양치유센터는 지하 1층·지상 3층에 연면적 5,500㎡ 규모의 지하 1층, 지상 3층으로 건립될 예정이다. 용암해수를 활용한 치유시설, 수중 보행과 운동이 가능한 해수풀, 스트레스 완화 등을 위한 치유실, 요가와 명상 공간 등이 들어선다.
제주도는 올해 상반기 중 해양치유센터 건립을 위한 타당성 조사를 시행하고, 하반기에 기본 및 실시설계용역을 추진한다는 방침이다. 내년에 공사에 돌입해 2026년 완공을 목표로 하고 있다.
제주올레1코스 시흥해안도로(사진=제주공식블로그 '비짓제주' 제공)
제주도는 또 서귀포시 서귀포항만 부지에 해양레저체험센터를 조성 중이라고 밝혔다. 해양레저체험센터에는 스쿠버 교육생을 위한 실내 다이빙 체험교육장, 서핑보드 체험장, 해양레저 전시 홍보관, 강의실 등이 들어선다. 해양레저체험센터는 현재 공사 중으로, 내년 말 완공을 목표로 하고 있다.
해양레저체험센터가 완료되면 도민과 관광객 모두 사계절 내내 실내외에서 해양레저 체험을 할 수 있게 된다. 제주도는 또 문섬과 서귀포항 주변의 발전에 도움을 되도록 해양레저체험센터를 연계한 관광상품도 개발할 계획이다.
제주 성산읍에 들어설 해양치유센터 위치도(사진=제주특별자치도 제공)
제주도 관계자는 “해양자원을 활용한 새로운 산업 육성이 필요하다”면서 “특히 청정한 제주바다의 가치를 적극 활용할 것”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