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라져가는 섬 문화를 기록한 ‘신시모도 섬마을박물관’ 개관

인천 최초 섬마을 박물관에 펼쳐진 신도, 시도, 모도의 이야기
한규택 기자 2023-12-15 16:36:38
섬 문화는 고유함과 독특함을 갖고 있다. 육지와 떨어져 생활하는 섬사람들만의 삶의 방식과 문화적 양식이 배어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세월이 흐르고 최근 섬에서 거주하는 인구가 급격히 감소하면서 섬에서 살아온 사람들의 민속과 생활문화를 기록하고 남기는 일은 우리 해양 문화의 보존과 계승을 위한 시급한 과제가 되었다. 

이와 관련 인천광역시 관내 최초로 섬 박물관이 문을 열어 관심을 끌고 있다.

섬마을박물관 내부 전시 전경(사진=인천광역시 제공)


인천광역시 시립박물관은 옹진군 북도면 시도분교 터에 신시모도 ‘섬마을박물관’을 조성하고15일 개관식을 개최한다고 밝혔다.

신시모도는 인천광역시 옹진군 북도면에 위치한 섬이다. 신도·시도·모도 세 개의 섬이 연도교로 이어져 있어 한번에 둘러볼 수 있는 삼둥이 섬으로 각 섬의 앞 글자만 따서 ‘신시모도’라고 불린다. 

신시모도의 전체 면적은 10.19㎢. 해안선 길이는 16㎞이다. 인천 중구 영종도 삼목선착장에서 배를 타야 갈 수 있다. 현재 영종도~신도 연륙교가 건설돼 2025년 개통되면 승용차로도 갈 수 있다. 그렇게 되면 접근성은 좋아지겠지만 섬으로서의 특성을 잃게 될 수도 있다. 또한 신시모도는 한때 2,700명 이상의 주민이 거주했던 섬이지만 젊은이들이 일자리를 찾아 섬을 떠나면서 현재는 1,152명의 주민이 거주하고 있다. 

섬마을박물관 전경(사진=인천광역시 제공)


이처럼 인구가 급격히 감소하거나 연육되어 섬의 특성이 사라질 위기에 처한 도서 지역은 우리가 미처 알지 못한 섬의 이야기가 더 빠르게 잊혀질 수 있다. 이런 문제의식 속에 옹진군, 인천시립미술관, 인천문화재단은 지난 2021년 12월「섬 조사․연구 및 섬마을박물관 조성(운영)에 관한 협약」을 체결하고 매년 하나의 도서를 선정해서 조사, 연구를 통해 해양문화유산을 보존 기록하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섬마을 박물관을 조성하는 사업을 진행했다. 그리고 그 첫 번째 결실이 이번에 북도면 시도 분교 자리에 개관하는 신시모도 ‘섬마을박물관’이다.

옹진군은 섬 조사 연구를 위한 행정지원과 섬마을박물관 운영 및 시설 확보를 담당하고, 인천문화재단은 섬 조사 연구를 바탕으로 보고서 발간, 시립박물관은 섬마을박물관 조성을 위한 전시 기획 등으로 업무를 분담해 진행했다.

문 닫은 학교의 흔적과 사진 전시(사진=인천시립박물관 블로그 제공)


박물관 전시는 크게 2부로 구성돼 있다. 1부 ‘살아가다’에서는 땅을 일구고, 바다와 더불어 살아온 신도, 시도, 모도의 이야기를 담았다. 농업이 주를 이루던 신도의 모습을 ‘땅을 일구는 신도’라는 소주제로 옛 사진과 농업상황 등의 자료로 알려주고, 북도면사무소서 등 관공서가 많았던 시도는 ‘주민과 함께하는 시도’라는 주제로 사진 행정 기록으로 보여준다. 또 모도 주민이 기증한 ‘굴뜨락’ , ‘낙지호미’, ‘조세’ 등의 어업 도구 등을 ‘바다와 함께한 모도’라는 주제로 소개한다.

이어 2부 ‘기억하다’에서는 지금은 사라져 버린 시도해수욕장, 북도양조장, 학교 등에 관한 이야기를 소개하고 있다. 전시의 시작과 끝은 주민이 제공한 하머리 선착장 사진을 비롯해서 사라진 학교, 북도 양조장 간판과 막걸리 용기, 술을 담던 항아리 등 섬 생활상을 반영한 다양한 사진으로 꾸며져 있다.

신도 선착장과 도선(사진=섬문화연구소DB)


섬에 대한 추억을 만들고 싶다면 서울과 수도권에서 접근성이 좋은 신시모도 섬마을박물관에서 신시모도만이 간직했던 섬 이야기를 직접 들어보는 것은 어떨까.

섬TV

신경림, '갈대'

신경림, '갈대'

언제부턴가 갈대는 속으로 조용히 울고 있었다. 그런 어느 밤이었을 것이다. 갈대는 그의 온몸이 흔들리고 있는 것을 알았다. 바람도 달빛도 아닌
타인의 섬으로 여행을 떠나자

타인의 섬으로 여행을 떠나자

‘몰디브, 보라보라, 발리......’ 신문에서 자주 접하는 섬들이다. 이곳에는 무성한 야자수와 금가루 같은 백사장, 그리고 돈 많은 관광객이 있다
日・中, 우리바다 넘본 이유

日・中, 우리바다 넘본 이유

대한민국은 3면이 바다인 해양민족이다. 늘 푸른 바다, 드넓은 바다, 3000여 개가 넘는 섬들은 우리네 삶의 터전이자 해양사가 기록되고 해양문화가 탄
화성시 서신면 전곡항 등대

화성시 서신면 전곡항 등대

화성시 전곡항은 시화방조제가 조성되면서 시화호 이주민을 위해 조성한 다기능어항이다. 항구는 화성시 서신면과 안산시 대부도를 잇는 방파제가 건
충남 당진시 송악읍 안섬포구 등대

충남 당진시 송악읍 안섬포구 등대

아산만 당진시 안섬포구는 서해안 간척 시대의 어제와 오늘, 서해 어촌이 걸어온 길과 관광 대중화에 발맞춰 섬과 포구가 어떻게 달라지는지를 보여주
군산시 옥도면 무녀도

군산시 옥도면 무녀도

새만금방조제를 지나 신시도에서 고군산대교를 지나면 무녀도다. 무녀도는 선유대교를 통해 선유도와 장자도와 연결돼 차량으로 고군산군도를 여행
(7) 푸른 하늘, 푸른 잎의 미학

(7) 푸른 하늘, 푸른 잎의 미학

봄이 왔다. 푸른 하늘이 열리는 청명을 지나 본격적인 농경이 시작되는 곡우를 앞두고 봄비가 내렸다. 농어촌 들녘마다 새싹이 무럭무럭 자라나 올 농
(7) 떠나가고 싶은 배

(7) 떠나가고 싶은 배

코로나로 모두가 묶여 있은 세상. 떠나고 싶다. 묶인 일상을 풀고 더 넓은 바다로 떠나고 싶다. 저 저 배를 바라보면서 문득, 1930년 내 고향 강진의 시인
(6) 호미와 삽

(6) 호미와 삽

소만은 24절기 가운데 여덟 번째 절기다. 들녘은 식물이 성장하기 시작해 녹음으로 짙어진다. 소만 무렵, 여기저기 모내기 준비로 분주하다. 이른 모내
신경림, '갈대'

신경림, '갈대'

언제부턴가 갈대는 속으로 조용히 울고 있었다. 그런 어느 밤이었을 것이다. 갈대는 그의 온몸이 흔들리고 있는 것을 알았다. 바람도 달빛도 아닌
그 섬에 다시 갈 수 있을까

그 섬에 다시 갈 수 있을까

아마추어 사진동호회의 총무, K의 전화를 받은 건 며칠 전이었다. 모처럼의 통화였지만 K의 목소리는 어제 만나 소주라도 나눈 사이처럼 정겨웠다. &ldqu
하와이 제도 <7> 하와이 아일랜드

하와이 제도 <7> 하와이 아일랜드

하와이 아일랜드는 하와이 제도에서 가장 크고 제일 어린 섬이다. 빅 아일랜드라는 별명에 걸맞게 다른 하와이의 섬들을 모두 합친 것보다 거의 두 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