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양쓰레기는 일반적으로 ‘인간이 제조, 가공한 것으로 바다에 버려진 모든 고형물’을 지칭한다. 해양쓰레기의 발생 원인은 그 유발 장소에 따라 육상기안과 해상기인으로 분류할 수 있고, 해양쓰레기로 인한 피해는 크게 해양 생태계 파괴, 해양 안전 저해, 해양경관 훼손으로 나눌 수 있다.
그렇다면 해양쓰레기로 해양 오염을 일으키는 주범들은 어떤 것들일까? 최근 한 환경단체에서 실제 해양쓰레기를 수거, 분석한 조사 결과를 발표해 주목을 끌고 있다.
환경 전문 공익재단인 ‘환경재단’은 '바다쓰담' 캠페인을 통해 수거한 해양쓰레기 15톤(t)을 분석한 성상조사(특정 지역에서 발견되는 쓰레기 종류, 양, 분포 조사) 결과를 발표했다고 4일 밝혔다.
환경재단과 글로벌 코카-콜라 재단이 함께 진행하는 바다쓰담은 해양쓰레기 문제의 심각성을 알리고 다양한 해양보호 활동을 지원하는 캠페인으로, 지난 5월부터 10월까지 전국 각지에서 총 1662명의 시민이 참여해 해양쓰레기 15톤(총 4만6436개)을 수거한 바 있다.
이번 성상조사 결과는 지난달 30일 열린 '2023 바다쓰담' 활동결과 보고회 '바다작당'에서 발표한 내용이다.
경기, 충청, 전라, 경상, 강원 등 전국에서 수거한 쓰레기를 육상 기인(육지에서 발생한 폐기물이 바다로 흘러든 쓰레기)과 해상 기인(선박, 어업 등 인간 활동으로 해양에서 발생한 쓰레기)으로 구분한 결과, 육상·해상 모두에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한 쓰레기는 플라스틱(1만6403개)과 스티로폼(7684개)이었다.
분류별 쓰레기 내역은 ▲육상 기인 해양쓰레기(총 2만5651개)는 플라스틱 (HDPE, PVC, PET, 파편 등 8381개) ▲유리 음료수병·식기류(3188개) ▲스티로폼 음식용기(2650개) ▲담배꽁초(2368개) 순으로 가장 많았다.
해양쓰레기 66% 이상이 육상에서 기인하며 대부분 빗물에 휩쓸려 바다로 떠내려오는 것으로 추정할 수 있는 결과다.
해상 기인 해양쓰레기(총 2만376개)는 ▲플라스틱(HDPE, PVC, PET, 파편 등 8022개) ▲스티로폼 부표(5034개) ▲통발·그물·밧줄 등 어구(2660개) ▲낚시용품(2204개) 순서로 많았다.
가장 눈에 띄는 결과는 낚시용품으로, 최근 낚시인구가 폭발적으로 늘면서 낚시찌나 낚싯대 등 관련 해양쓰레기가 부쩍 증가하고 있다. 낚시용품은 바다 오염은 물론 해양생물을 위협한다는 점에서 각별한 인식 변화가 필요한 해양쓰레기다. 낚시바늘과 폐그물 등 관련 쓰레기로 피해를 보는 생물이 500종에 이르고 그중 15%는 멸종위기종이다.
환경재단 관계자는 "해양환경은 우리의 소중한 자산인만큼 지속적인 관심이 필요하다. 바다쓰담 캠페인은 개인 참여는 물론 지역사회와 단체가 협력 네트워크를 구축해 함께 할 수 있다는 점에서 매우 의미 있는 활동"이라며 "단순히 쓰레기를 줍는 것을 넘어 지속적인 모니터링 활동에 힘쓰고, 수거된 쓰레기의 재순환 방안 마련에 더욱 목소리를 내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