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문화적 가치 보유한 5개 등대 ‘등대문화유산’ 지정

해수부, 소록도등대, 한산항등표, 암태도등대, 어룡도등대, 하조도등대 추가 지정
한규택 기자 2023-08-23 15:55:30
지난 120년 이상 우리의 바다를 비추던 등대가 지닌 역사적 의미를 되새기고 그 사회·문화적 가치를 보존하기 위한 ‘등대문화유산’ 지정 작업이 꾸준히 추진되고 있다. 

해양수산부는 전라남도 고흥군 소록도등대 등 5개 등대를 등대문화유산으로 추가 지정했다고 지난 3일 밝혔다.

진도 하조도등대(사진=섬문화연구소DB)


해양수산부는 지어진 지 50년이 넘어 역사·문화·예술·사회적 가치가 있는 등대를 체계적이고 효율적으로 보존‧관리하기 위해 2006년부터 팔미도등대, 가덕도등대, 호미곶등대, 어청도등대 등 24개를 등대문화유산으로 지정해오고 있다.

올해는 건축‧역사‧해양문화 등 다양한 분야의 내·외부 전문가로 구성된 등대문화유산위원회의 현장 조사와 관련 자료 연구 등을 바탕으로 ▲전라남도 고흥군 소록도등대, ▲경상남도 통영시 한산항등표, ▲전라남도 신안군 암태도등대, ▲전라남도 완도군 어룡도등대, ▲전라남도 진도군 하조도등대 등 5개를 추가 지정하기로 결정했다.

고흥 소록도등대(사진=해양수산부 제공)


이번에 추가 지정된 등대들은 건립 당시 시대상과 우리나라 건축 기술의 발전을 보여주는 소중한 유산으로, 특히 지금까지 원형을 그대로 유지하고 있다는 점에서 그 가치를 더욱 인정받았다. 이에 따라 등대문화유산은 총 29개로 늘어나게 되었다. 

소록도 등대(1937년 10월 건립)는 소록도 한센병 환자들의 강제 노역으로 지어진 등대(벽돌조)로, 건립 당시 시대상을 엿볼 수 있다.

통영 한산항등표(사진=해양수산부 제공)


한산항등표(1953년 12월 건립)는 올해로 건립 60년이 되었다. 우리나라 최초 조형 등대로서의 의미가 있다, 특히 이 지역에서 일어난 한산대첩 기념하기 위해 등탑 하부가 거북선 형태를 띠고 있다.

암태도등대(1913년 11월 건립)는 올 11월에 건립 100주년을 맞게 된다. 벽돌로 지어졌는데 원형이 훼손되지 않고 그대로 유지되어 있어 건립 당시의 기술을 이해하는데 도움을 준다.

완도 어룡도등대(사진=섬문화연구소DB)


어룡도등대(1910년 10월 건립)는 우리나라 초기 콘크리트 타설 기법이 적용되어 당시 항로표지 건축 발전상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자료로 평가된다.

하조도등대(1909년 2월 건립)는 등탑 입구의 바로크식 아치는 건립 당시 시대를 이해할 수 있는 단초 제공한다를 평가를 받고 있다.

신안 암태도등대(사진=해양수산부 제공)


조승환 해양수산부 장관은 “등대문화유산이 해양관광 자원 등으로 적극 활용될 수 있도록 더욱 체계적으로 관리하고, 등대의 가치를 국민들께서 함께 공감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는 등 등대가 해양문화 발전에 밑거름이 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라고 말했다.


등대문화유산 등대 위치(사진=해양수산부 제공)

섬TV

서정춘, ‘랑’

서정춘, ‘랑’

랑은이음새가 좋은 말너랑 나랑 또랑물 소리로 만나서사랑하기 좋은 말 - 서정춘, '랑’ 전문 팔순 고갯마루의 서정춘 시인이 제 7시집 ‘랑&rsq
박화목, '보리밭'

박화목, '보리밭'

보리밭 사이길로 걸어가면뉘 부르는 소리 있어 나를 멈춘다옛 생각이 외로워 휘파람 불면고운노래 귓가에 들려온다 돌아보면 아무도 보이지 않고저녁
日・中, 우리바다 넘본 이유

日・中, 우리바다 넘본 이유

대한민국은 3면이 바다인 해양민족이다. 늘 푸른 바다, 드넓은 바다, 3000여 개가 넘는 섬들은 우리네 삶의 터전이자 해양사가 기록되고 해양문화가 탄
(7) 푸른 하늘, 푸른 잎의 미학

(7) 푸른 하늘, 푸른 잎의 미학

봄이 왔다. 푸른 하늘이 열리는 청명을 지나 본격적인 농경이 시작되는 곡우를 앞두고 봄비가 내렸다. 농어촌 들녘마다 새싹이 무럭무럭 자라나 올 농
(7) 떠나가고 싶은 배

(7) 떠나가고 싶은 배

코로나로 모두가 묶여 있은 세상. 떠나고 싶다. 묶인 일상을 풀고 더 넓은 바다로 떠나고 싶다. 저 저 배를 바라보면서 문득, 1930년 내 고향 강진의 시인
(6) 호미와 삽

(6) 호미와 삽

소만은 24절기 가운데 여덟 번째 절기다. 들녘은 식물이 성장하기 시작해 녹음으로 짙어진다. 소만 무렵, 여기저기 모내기 준비로 분주하다. 이른 모내
이육사, ‘청포도’

이육사, ‘청포도’

내고장 칠월은청포도가 익어 가는 계절 이 마을 전설이 주절이 주절이 열리고,먼 데 하늘이 꿈꾸며 알알이 들어와 박혀, 하늘 밑 푸른 바다가 가슴을
박상건, '꿈꾸는 격렬비열도'

박상건, '꿈꾸는 격렬비열도'

망망대해 그 너머연사흘 흰 거품 물고 칠천만 년 꾹꾹 눌러 둔 고독이 마침내 폭발하더니만, 깊고 깊어 푸른 그 그리움 더 어쩌지 못하고 파도소리 뜨
유안진, ‘지란지교를 꿈꾸며’

유안진, ‘지란지교를 꿈꾸며’

저녁을 먹고 나면 허물없이 찾아가차 한 잔을 마시고 싶다고 말할 수 있는 친구가 있었으면 좋겠다.입은 옷을 갈아입지 않고 김치냄새가 좀 나더라도
그 섬에 다시 갈 수 있을까

그 섬에 다시 갈 수 있을까

아마추어 사진동호회의 총무, K의 전화를 받은 건 며칠 전이었다. 모처럼의 통화였지만 K의 목소리는 어제 만나 소주라도 나눈 사이처럼 정겨웠다. &ldqu
하와이 제도 <7> 하와이 아일랜드

하와이 제도 <7> 하와이 아일랜드

하와이 아일랜드는 하와이 제도에서 가장 크고 제일 어린 섬이다. 빅 아일랜드라는 별명에 걸맞게 다른 하와이의 섬들을 모두 합친 것보다 거의 두 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