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120년 이상 우리의 바다를 비추던 등대가 지닌 역사적 의미를 되새기고 그 사회·문화적 가치를 보존하기 위한 ‘등대문화유산’ 지정 작업이 꾸준히 추진되고 있다.
해양수산부는 전라남도 고흥군 소록도등대 등 5개 등대를 등대문화유산으로 추가 지정했다고 지난 3일 밝혔다.
진도 하조도등대(사진=섬문화연구소DB)
해양수산부는 지어진 지 50년이 넘어 역사·문화·예술·사회적 가치가 있는 등대를 체계적이고 효율적으로 보존‧관리하기 위해 2006년부터 팔미도등대, 가덕도등대, 호미곶등대, 어청도등대 등 24개를 등대문화유산으로 지정해오고 있다.
올해는 건축‧역사‧해양문화 등 다양한 분야의 내·외부 전문가로 구성된 등대문화유산위원회의 현장 조사와 관련 자료 연구 등을 바탕으로 ▲전라남도 고흥군 소록도등대, ▲경상남도 통영시 한산항등표, ▲전라남도 신안군 암태도등대, ▲전라남도 완도군 어룡도등대, ▲전라남도 진도군 하조도등대 등 5개를 추가 지정하기로 결정했다.
고흥 소록도등대(사진=해양수산부 제공)
이번에 추가 지정된 등대들은 건립 당시 시대상과 우리나라 건축 기술의 발전을 보여주는 소중한 유산으로, 특히 지금까지 원형을 그대로 유지하고 있다는 점에서 그 가치를 더욱 인정받았다. 이에 따라 등대문화유산은 총 29개로 늘어나게 되었다.
소록도 등대(1937년 10월 건립)는 소록도 한센병 환자들의 강제 노역으로 지어진 등대(벽돌조)로, 건립 당시 시대상을 엿볼 수 있다.
통영 한산항등표(사진=해양수산부 제공)
한산항등표(1953년 12월 건립)는 올해로 건립 60년이 되었다. 우리나라 최초 조형 등대로서의 의미가 있다, 특히 이 지역에서 일어난 한산대첩 기념하기 위해 등탑 하부가 거북선 형태를 띠고 있다.
암태도등대(1913년 11월 건립)는 올 11월에 건립 100주년을 맞게 된다. 벽돌로 지어졌는데 원형이 훼손되지 않고 그대로 유지되어 있어 건립 당시의 기술을 이해하는데 도움을 준다.
완도 어룡도등대(사진=섬문화연구소DB)
어룡도등대(1910년 10월 건립)는 우리나라 초기 콘크리트 타설 기법이 적용되어 당시 항로표지 건축 발전상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자료로 평가된다.
하조도등대(1909년 2월 건립)는 등탑 입구의 바로크식 아치는 건립 당시 시대를 이해할 수 있는 단초 제공한다를 평가를 받고 있다.
신안 암태도등대(사진=해양수산부 제공)
조승환 해양수산부 장관은 “등대문화유산이 해양관광 자원 등으로 적극 활용될 수 있도록 더욱 체계적으로 관리하고, 등대의 가치를 국민들께서 함께 공감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는 등 등대가 해양문화 발전에 밑거름이 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