섬소녀 유봉순 화가, 치유의 바다를 그리다 

바다와 교감하며 함축하는 동양철학적 작품 세계 주목
박상건 기자 2023-08-16 12:54:29
요즘 섬 출신 유봉순 작가의 작품세계가 주목받고 있다. 유 작가는 비움과 채움, 재현, 바다이야기, 시간의 흐름, 물멍, 치유의 바다 등 푸른 바다와 여백을 주제로 한 자연주의적 서정풍과 동양철학의 화두와 이미지, 간결한 선 터치를 활용한 독창적인 작품을 선보이고 있다. 
 

바다를 조망하는 유봉순 화백

그는 바닷가에서 태어났다. 바다와 소통하며 유년시절을 보냈다. 그렇게 유봉순 화가는 자연스럽게 바다와 물결치면서 사유하고 그런 공간으로써, 태어난 고향으로써 해양문화 공간을 색감으로 조형화하고 이를 감각적 색채를 분산해 분출하면서 자기만의 작품 세계를 펼쳤다.
 

유봉순 작가의 작품 특징은 여백의 공간이 넓다는 점이다. 여백은 작가의 의도를 깊게 느낄 수 있는 효과를 주면서 한편으로는 감상하는 타자의 상상력을 무한대로 넓혀주는 효과도 준다. 사실 모든 예술작품은 작가의 손을 떠나는 순간, 작가가 작품이 아니다. 그만큼 예술은 다양한 스펙트럼을 지녔고 감상하는 사람, 관객의 시각도 다양한 셈이다. 그런 면에서 유봉순 작가는 처음부터 감상하는 예술층을 크게 배려해준 셈이다.
 

유봉순 작가의 작품은 정적이면서 정중동의 미적 구성이 조화롭다. 평면이 입체적 감각을 바로 세우고 평면과 입체적 질감이 화폭 속에서 역동적이고 진취적으로 살아 꿈틀댄다. 여성의 섬세한 붓 끝에서 시작한 정적 리듬은 새로운 리듬과 색채를 타고 또 다른 상상력의 가속도를 만나 더 큰 바다를 이룬다.
 

바다를 소재로 한 '시간의 흐름'

그런 점에서 유봉순 작가의 색채와 내면의 만남은 동양철학적 요소가 큰 편이다. 그런 철학적 흐름이 작가정신과 작품세계를 촘촘하게 형성했을 터. 그 감성의 물길이 작품마다 곳곳에 스며들고 배여있다. 이를테면, 노자는 산 정상의 소나무 끝에 맺힌 한방울이 계곡으로 흘러가 물을 모으고 낙엽지는 소리, 새소리, 물소리를 모아 그 물길이 강으로 흘러간다. 강은 마른 대지를 적시면서 돌들을 만나 소쿠라지면서 새로운 리듬과 길을 내고 마침내, 바다에 이른다. 노자는 이를 도(道)라고 명명했다. 길의 길, 길이 이르는 그 길, 유봉순 작가 붓끝에서 터치한 그 한장면은 그렇게 이심전심의 물길이 되어 우리네 가슴에 감동으로 일렁여 왔던 셈이다. 
 

그는 바닷가에서 태어나 누구보다 자연의 이치와 그런 자연으로 말미암아 체감하고 안으로 숙성된 자기만의 지혜의 세계, 작품의 방향성을 작품 중심에 뒀다. 그렇게 화폭을 통해 길을 만들었고 길 떠나는 여정 속에서 자기 성찰과 철학적 사유의 공간을 만들었다. 그렇게 인간의 삶과 자연이 소통하고, 그런 자연을 은유하고, 함축하면서 내면의 심상은 자기만의 작품으로 발현되고, 생산됐다. 
 

내면의 세계를 표현한 '심상'

그 넓고 평화로운 자연의 무대에서 서로 주고받는 메시지는 은유와 함축으로 그려졌고 표현됐다. 그렇게 인간과 자연은 서로 포용하고 교감하는 관계성과 삶과 예술 만나는 방향성을 견지하게 됐다.
 

이제 유봉순 작가는 이런 바다를 통해 또 다른 관점인 ‘치유’라는 주제를 통해 새로운 의미의 자연주의를 접근해 모색하고자 한다. 그렇게 푸른 바다풍경은 가일층 푸른 에너지원으로써 그의 화폭에서 새롭게 출렁일 터이다. 
 

'바다이야기' 연작 시리즈

유봉순 작가는 조선대 미술학 박사과정을 졸업했고 전남대, 조선대, 호남대에서 15년 동안 학생들을 가르쳤다. 개인전 24회, 기획 단체 초대전이 320여회에 이르며 미술대전 등 다수의 문화예술작품 심사위원으로 활동했고 현재 한국미술협회와 광주미술협회 회원으로서 작품활동에만 전념하고 있다. 

전남 보성 백민미술관 유봉순 작가

한편, 유봉순 작가는 오는 30일까지 보성 군립백민미술관에서 기후 위기와 환경을 주제로 ‘풍조우순 - 재생의 미학' 이라는 제목의 8인전을 열고 있다. 
 

박상건(시인. 섬문화연구소장. 동국대 언론정보대학원 겸임교수)
    박상건(시인. 섬문화연구소장)

섬TV

신경림, '갈대'

신경림, '갈대'

언제부턴가 갈대는 속으로 조용히 울고 있었다. 그런 어느 밤이었을 것이다. 갈대는 그의 온몸이 흔들리고 있는 것을 알았다. 바람도 달빛도 아닌
타인의 섬으로 여행을 떠나자

타인의 섬으로 여행을 떠나자

‘몰디브, 보라보라, 발리......’ 신문에서 자주 접하는 섬들이다. 이곳에는 무성한 야자수와 금가루 같은 백사장, 그리고 돈 많은 관광객이 있다
日・中, 우리바다 넘본 이유

日・中, 우리바다 넘본 이유

대한민국은 3면이 바다인 해양민족이다. 늘 푸른 바다, 드넓은 바다, 3000여 개가 넘는 섬들은 우리네 삶의 터전이자 해양사가 기록되고 해양문화가 탄
화성시 서신면 전곡항 등대

화성시 서신면 전곡항 등대

화성시 전곡항은 시화방조제가 조성되면서 시화호 이주민을 위해 조성한 다기능어항이다. 항구는 화성시 서신면과 안산시 대부도를 잇는 방파제가 건
충남 당진시 송악읍 안섬포구 등대

충남 당진시 송악읍 안섬포구 등대

아산만 당진시 안섬포구는 서해안 간척 시대의 어제와 오늘, 서해 어촌이 걸어온 길과 관광 대중화에 발맞춰 섬과 포구가 어떻게 달라지는지를 보여주
군산시 옥도면 무녀도

군산시 옥도면 무녀도

새만금방조제를 지나 신시도에서 고군산대교를 지나면 무녀도다. 무녀도는 선유대교를 통해 선유도와 장자도와 연결돼 차량으로 고군산군도를 여행
(7) 푸른 하늘, 푸른 잎의 미학

(7) 푸른 하늘, 푸른 잎의 미학

봄이 왔다. 푸른 하늘이 열리는 청명을 지나 본격적인 농경이 시작되는 곡우를 앞두고 봄비가 내렸다. 농어촌 들녘마다 새싹이 무럭무럭 자라나 올 농
(7) 떠나가고 싶은 배

(7) 떠나가고 싶은 배

코로나로 모두가 묶여 있은 세상. 떠나고 싶다. 묶인 일상을 풀고 더 넓은 바다로 떠나고 싶다. 저 저 배를 바라보면서 문득, 1930년 내 고향 강진의 시인
(6) 호미와 삽

(6) 호미와 삽

소만은 24절기 가운데 여덟 번째 절기다. 들녘은 식물이 성장하기 시작해 녹음으로 짙어진다. 소만 무렵, 여기저기 모내기 준비로 분주하다. 이른 모내
신경림, '갈대'

신경림, '갈대'

언제부턴가 갈대는 속으로 조용히 울고 있었다. 그런 어느 밤이었을 것이다. 갈대는 그의 온몸이 흔들리고 있는 것을 알았다. 바람도 달빛도 아닌
그 섬에 다시 갈 수 있을까

그 섬에 다시 갈 수 있을까

아마추어 사진동호회의 총무, K의 전화를 받은 건 며칠 전이었다. 모처럼의 통화였지만 K의 목소리는 어제 만나 소주라도 나눈 사이처럼 정겨웠다. &ldqu
하와이 제도 <7> 하와이 아일랜드

하와이 제도 <7> 하와이 아일랜드

하와이 아일랜드는 하와이 제도에서 가장 크고 제일 어린 섬이다. 빅 아일랜드라는 별명에 걸맞게 다른 하와이의 섬들을 모두 합친 것보다 거의 두 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