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상해안국립공원, ‘갯바위 생태휴식제’ 확대 시행

거문도 전 지역 포함, 여서도, 연대도, 모개도 추가
한규택 기자 2023-04-12 14:40:10
우리가 섬에 대한 접근성을 높이고 섬을 주요한 자원으로 활용하면서 발전시키는 데 있어 가장 중요한 문제 중의 하나는 ‘지속가능성’이다. 섬 주변의 무분별한 개발이나 환경파괴는 섬을 회복 불능의 상태로 만드는 치명적인 우(愚)를 범하게 될 것이기 때문이다. 이런 측면에서 섬 주변의 생태계 균형과 문화적, 생물학적 다양성 보존은 ‘지속가능성’ 확보를 위해 반드시 지켜야 할 핵심적 목표이다. 

거문도 생태휴식제 시범사업구간 폐납 제거(사진=환경부 제공)

이와 관련 환경부 국립공원공단은 ‘갯바위 행태휴식제’를 확대 시행하기로 했다.

갯바위 생태휴식제는 이용압력이 높고 오염, 훼손이 심각한 갯바위 지역을 일정 기간 출입을 통제하여 자연성 회복을 유도하는 제도이다. 국립공원공단은 지난 2021년 거문도 서도를 대상으로 1년간 갯바위 생태휴식제를 시범운영한 결과, 오염도(납추, 낚시 쓰레기 등) 37% 감소, 생물건강성(갯바위 부착 무척추동물류 서식밀도) 58% 증가, 불법무질서행위(취사, 야영 등) 66% 감소 등의 시행 효과를 거뒀다고 밝혔다. 

이에 공단은 지난 3월 15일부터 생태휴식제를 거문도 전 지역으로 확대하기로 했다. 국립공원공단 관계자는 “지난해 여수 거문도를 대상으로 한 생태휴식제 시범사업이 생태계건강성 향상 등에 효과가 있었다”며 오염·훼손된 해양생태계를 보전하기 위해 생태휴식제를 시행한다고 확대 이유를 밝혔다.

여서도 전경(사진=환경부 제공)

또한 공단은 3월 중에 다도해해상국립공원의 여서도, 4월 1일부터는 한려해상국립공원의 연대도와 모개도에서도 갯바위 생태휴식제를 확대 시행한다고 밝혔다.

전남 완도군 여서도의 갯바위에서는 낚싯대 고정용으로 쓰이는 폐납들이 무더기로 발견됐다. 경남 통영시 연대도 또한 현재 낚시객들로 인한 오물투기, 불법 야영, 낚시용 폐납 및 천공 발생 등 무분별한 오염과 훼손으로 몸살을 앓고 있다. 또 경남 사천시 모개도는 창선-삼천포 대교 교각이 설치된 섬으로 낚시객들로 인한 불법 야영, 오물투기, 낚시대 걸이 갯바위 천공 등 오염, 훼손이 나타났다.

연대도 낚시쓰레기 투기 및 오염(사진=국립공원공단 제공)

생태휴식제를 시행하는 섬 지역의 휴식구간에서는 주민, 낚시단체와 함께 갯바위 및 바닷속 정화활동을 시행하고 체험구간은 캠페인 등을 통해 오염, 훼손을 최소화하는 건전한 낚시를 유도한다. 휴식구간은 1개월의 계도기간을 거친 후 출입금지 위반 시 자연공원법 제86조에 의거 20만 원에서 50만 원 이하의 과태료를 부과할 방침이다.

한편, 지역 어촌계, 낚시어선협회, 자원봉사자와 함께 갯바위 정화활동을 시행하고 건전한 낚시문화 정착을 위한 캠페인도 전개할 계획이다. 또한, 지자체, 지역주민, 낚시어선단체 등이 참여하는 이해관계자 협의체를 구성하여 생태휴식제 추진사항 등을 공유하고 의견 수렴을 통해 소통을 강화할 예정이다.

모개도 쓰레기 소각 흔적(사진=국립공원공단 제공)

갯바위 생태휴식제 시행일, 범위 등 상세한 내용은 국립공원공단 누리집에 공고된다.

송형근 국립공원공단 이사장은 “갯바위 생태휴식제 확대 시행으로 해상해안국립공원의 해양생태계가 더욱 보전되고 건전한 이용문화가 한층 더 성숙되길 바란다”고 밝혔다.

섬TV

서정춘, ‘랑’

서정춘, ‘랑’

랑은이음새가 좋은 말너랑 나랑 또랑물 소리로 만나서사랑하기 좋은 말 - 서정춘, '랑’ 전문 팔순 고갯마루의 서정춘 시인이 제 7시집 ‘랑&rsq
박화목, '보리밭'

박화목, '보리밭'

보리밭 사이길로 걸어가면뉘 부르는 소리 있어 나를 멈춘다옛 생각이 외로워 휘파람 불면고운노래 귓가에 들려온다 돌아보면 아무도 보이지 않고저녁
日・中, 우리바다 넘본 이유

日・中, 우리바다 넘본 이유

대한민국은 3면이 바다인 해양민족이다. 늘 푸른 바다, 드넓은 바다, 3000여 개가 넘는 섬들은 우리네 삶의 터전이자 해양사가 기록되고 해양문화가 탄
(7) 푸른 하늘, 푸른 잎의 미학

(7) 푸른 하늘, 푸른 잎의 미학

봄이 왔다. 푸른 하늘이 열리는 청명을 지나 본격적인 농경이 시작되는 곡우를 앞두고 봄비가 내렸다. 농어촌 들녘마다 새싹이 무럭무럭 자라나 올 농
(7) 떠나가고 싶은 배

(7) 떠나가고 싶은 배

코로나로 모두가 묶여 있은 세상. 떠나고 싶다. 묶인 일상을 풀고 더 넓은 바다로 떠나고 싶다. 저 저 배를 바라보면서 문득, 1930년 내 고향 강진의 시인
(6) 호미와 삽

(6) 호미와 삽

소만은 24절기 가운데 여덟 번째 절기다. 들녘은 식물이 성장하기 시작해 녹음으로 짙어진다. 소만 무렵, 여기저기 모내기 준비로 분주하다. 이른 모내
이육사, ‘청포도’

이육사, ‘청포도’

내고장 칠월은청포도가 익어 가는 계절 이 마을 전설이 주절이 주절이 열리고,먼 데 하늘이 꿈꾸며 알알이 들어와 박혀, 하늘 밑 푸른 바다가 가슴을
박상건, '꿈꾸는 격렬비열도'

박상건, '꿈꾸는 격렬비열도'

망망대해 그 너머연사흘 흰 거품 물고 칠천만 년 꾹꾹 눌러 둔 고독이 마침내 폭발하더니만, 깊고 깊어 푸른 그 그리움 더 어쩌지 못하고 파도소리 뜨
유안진, ‘지란지교를 꿈꾸며’

유안진, ‘지란지교를 꿈꾸며’

저녁을 먹고 나면 허물없이 찾아가차 한 잔을 마시고 싶다고 말할 수 있는 친구가 있었으면 좋겠다.입은 옷을 갈아입지 않고 김치냄새가 좀 나더라도
그 섬에 다시 갈 수 있을까

그 섬에 다시 갈 수 있을까

아마추어 사진동호회의 총무, K의 전화를 받은 건 며칠 전이었다. 모처럼의 통화였지만 K의 목소리는 어제 만나 소주라도 나눈 사이처럼 정겨웠다. &ldqu
하와이 제도 <7> 하와이 아일랜드

하와이 제도 <7> 하와이 아일랜드

하와이 아일랜드는 하와이 제도에서 가장 크고 제일 어린 섬이다. 빅 아일랜드라는 별명에 걸맞게 다른 하와이의 섬들을 모두 합친 것보다 거의 두 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