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라시대 바다의 기착지, 한국 해양사 새롭게 조명

‘신라의 해문(海門), 울산 반구동’개최…24일~내년 2월 14일까지
김충호 기자 2020-11-19 15:21:17

울산박물관은 우리나라 대외교류사에서 울산이 차지하는 위상을 조명하기 위해 ‘신라의 해문(海門), 울산 반구동’ 특별기획전을 오는 24일 오후 2시에 개막한다. 

올해 울산박물관 제3차 특별기획전으로 마련된 이번 전시에서는 울산 반구동 유적 발굴조사 성과를 토대로 울산이 신라의 해문(海門) 역할을 했던 지역임을 조명하고자 기획됐다. 

‘해문(海門)’은 나라와 나라 사이 해로를 이용한 교섭과 교류가 이루어질 때 마지막 기착지를 의미한다. 울산은 신라 왕경인 경주까지의 거리가 멀지 않고, 평지로 연결되어 있어 이용하기 편리했다. 

또 울산만(灣)은 파도가 약하고 수심이 깊어 큰 배가 드나들기 좋은 조건을 갖추고 있다. 따라서 신라의 외항이자 해상 실크로드(Silk Road)의 기착지 역할을 했다. 

이번 전시에서는 고대 울산항과 바닷길에 대한 이해를 도울 수 있는 200여 점의 유물이 전시된다. 전시는 제1부 ‘기록 속 신라 항구를 찾다’, 제2부 ‘신라의 해문(海門), 반구동’, 제3부 ‘해상 실크로드와 반구동’으로 총 3부로 구성됐다. 

제1부 ‘기록 속 신라 항구를 찾다’에서는 ‘삼국사기’와 ‘삼국유사’에 기록된 울산지역 항구인 율포(栗浦)와 사포(絲浦), 그리고 개운포(開雲浦) 등과 관련된 내용을 소개한다. 그리고 ‘반구동 유적(울산광역시 중구 반구동 303번지 일원)이 신라의 국제항인 ‘사포’로 비정되는 배경에 대해 조명한다. 

대왕암 해변 고동섬(사진=섬문화연구소DB)


제2부 ‘신라의 해문(海門), 반구동’에서는 신라의 해문으로 역할을 했던 반구동 유적에 대해 소개한다. 이 유적은 2차례 조사가 이루어졌다. 1991년 동아대학교 박물관에 의해서 ‘반구동 토성지’에 대해 조사가 이루어졌으며, 2006년 12월부터 2008년 3월까지 울산연구원 문화재센터가 조사했다. 

울산연구원의 조사에서는 삼국시대 건물지 7기, 통일신라시대의 목책, 토성, 우물, 도로유구, 경작유구, 수혈유구, 주혈, 굴립주 건물지, 구(構), 암거시설을 비롯하여 고려시대 건물지 12기, 조선시대 구 등 다양한 유구에서 총 1424점의 유물이 조사됐다. 

바다를 조망할 수 있는 위치에 자연 암반을 가공하여 건물의 기둥을 받치는 초석(楚石)으로 삼은 독특한 구조의 건물과 이열목책(二列木柵)과 최대 지름이 70cm에 달하는 목주로 세운 망루의 존재, 암거시설에서 확인되는 둔태석(屯太石) 등은 반구동 유적의 위상을 짐작할 수 있다. 

전시실에는 반구동 사람들의 생활과 의례, 그리고 관청의 모습을 보여주는 토기, 기와, 목간 등 다양한 유물들이 전시된다. 

제3부 ’해상 실크로드와 반구동‘에서는 고대 동서의 무역로이자 동·서 문화의 통로 역할을 한 실크로드의 기착지였던 울산항을 오고갔던 당, 왜(일본), 서역과의 교류에 대해 살펴본다. 

당나라는 한자 · 유교 · 중국화한 불교 · 율령 등을 공통 요소로 하는 동아시아 세계의 구심점 역할을 수행하면서 국제 관계를 주도하였다. 신라는 당으로부터 신문물을 받아들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신라 양식으로 발전시키기도 하였다. 전시에서는 당의 주요 수입품인 반구동 유적에서 출토된 당대 도자기와 전시의 이해를 돕기 위해 경주지역에서 확인되는 당나라 도자기를 함께 전시했다. 이 외에 반구동 유적의 주요 유물인 ‘개원통보(開元通寶)’도 전시된다. 

전시 포스터


왜(일본)에서는 두 나라 사이의 교류를 보여주는 쇼소인[正倉院, 정창원] 소장의 신라 관련 유물을 영상으로 만나볼 수 있다. 

서역과 관련해서는 그들이 신라를 직접 방문한 증거로 생각해 볼 수 있는 처용설화와 원성왕릉 및 흥덕왕릉의 석상, 그리고 신라에 대한 서역의 기록들을 통해 신라와 서역 간 활발했던 교류를 알아본다. 

전시의 마지막에서는 고려 건국 이후 국제항 울산만의 발자취에 대해 소개하고, ‘미래 울산항의 모습’ 영상과 전시의 이해를 돕기 위한 역사 연표로 구성했다. 

울산박물관은 이번 특별기획전 개최 기간 동안 전시 이해를 돕기 위해 ‘열린 역사 강좌’와 ‘큐레이터와 대화’ 등을 개최할 계획이며, 어린이 관람객을 위해 체험학습지를 제공할 예정이다. 

신형석 울산박물관장은 “울산의 정체성을 구명하기 위한 전시를 지속적으로 개최하고자 하는데, 이번 전시를 통해 신라의 해문(海門)으로 국가 발전에 이바지하였던 울산의 위상과 역사에 대해 새롭게 이해하는 기회가 되길 바란다.”라며 “앞으로 울산 역사 문화를 더 깊이 이해할 수 있는 전시와 교육 행사를 지속적으로 개최할 예정이다.”라고 말했다.

섬TV

신경림, '갈대'

신경림, '갈대'

언제부턴가 갈대는 속으로 조용히 울고 있었다. 그런 어느 밤이었을 것이다. 갈대는 그의 온몸이 흔들리고 있는 것을 알았다. 바람도 달빛도 아닌
타인의 섬으로 여행을 떠나자

타인의 섬으로 여행을 떠나자

‘몰디브, 보라보라, 발리......’ 신문에서 자주 접하는 섬들이다. 이곳에는 무성한 야자수와 금가루 같은 백사장, 그리고 돈 많은 관광객이 있다
日・中, 우리바다 넘본 이유

日・中, 우리바다 넘본 이유

대한민국은 3면이 바다인 해양민족이다. 늘 푸른 바다, 드넓은 바다, 3000여 개가 넘는 섬들은 우리네 삶의 터전이자 해양사가 기록되고 해양문화가 탄
화성시 서신면 전곡항 등대

화성시 서신면 전곡항 등대

화성시 전곡항은 시화방조제가 조성되면서 시화호 이주민을 위해 조성한 다기능어항이다. 항구는 화성시 서신면과 안산시 대부도를 잇는 방파제가 건
충남 당진시 송악읍 안섬포구 등대

충남 당진시 송악읍 안섬포구 등대

아산만 당진시 안섬포구는 서해안 간척 시대의 어제와 오늘, 서해 어촌이 걸어온 길과 관광 대중화에 발맞춰 섬과 포구가 어떻게 달라지는지를 보여주
군산시 옥도면 무녀도

군산시 옥도면 무녀도

새만금방조제를 지나 신시도에서 고군산대교를 지나면 무녀도다. 무녀도는 선유대교를 통해 선유도와 장자도와 연결돼 차량으로 고군산군도를 여행
(7) 푸른 하늘, 푸른 잎의 미학

(7) 푸른 하늘, 푸른 잎의 미학

봄이 왔다. 푸른 하늘이 열리는 청명을 지나 본격적인 농경이 시작되는 곡우를 앞두고 봄비가 내렸다. 농어촌 들녘마다 새싹이 무럭무럭 자라나 올 농
(7) 떠나가고 싶은 배

(7) 떠나가고 싶은 배

코로나로 모두가 묶여 있은 세상. 떠나고 싶다. 묶인 일상을 풀고 더 넓은 바다로 떠나고 싶다. 저 저 배를 바라보면서 문득, 1930년 내 고향 강진의 시인
(6) 호미와 삽

(6) 호미와 삽

소만은 24절기 가운데 여덟 번째 절기다. 들녘은 식물이 성장하기 시작해 녹음으로 짙어진다. 소만 무렵, 여기저기 모내기 준비로 분주하다. 이른 모내
신경림, '갈대'

신경림, '갈대'

언제부턴가 갈대는 속으로 조용히 울고 있었다. 그런 어느 밤이었을 것이다. 갈대는 그의 온몸이 흔들리고 있는 것을 알았다. 바람도 달빛도 아닌
그 섬에 다시 갈 수 있을까

그 섬에 다시 갈 수 있을까

아마추어 사진동호회의 총무, K의 전화를 받은 건 며칠 전이었다. 모처럼의 통화였지만 K의 목소리는 어제 만나 소주라도 나눈 사이처럼 정겨웠다. &ldqu
하와이 제도 <7> 하와이 아일랜드

하와이 제도 <7> 하와이 아일랜드

하와이 아일랜드는 하와이 제도에서 가장 크고 제일 어린 섬이다. 빅 아일랜드라는 별명에 걸맞게 다른 하와이의 섬들을 모두 합친 것보다 거의 두 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