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와 풍경이 있는 삶] 박노해, ‘밤나무 아래서’

시퍼런 침묵의 시간 속에 해와 달을 품고...밤은 그렇게 익어가고
박상건 기자 2020-10-16 07:10:21

 

이럴 때가 있다

일도 안 풀리고 작품도 안 되고

울적한 마음으로 산길을 걸을 때

툭, 머리통에 꿀밤 한 대

아프다 나도 한 성질 있다

언제까지 내가 동네북이냐

밤나무를 발로 퍽 찼더니

후두두둑 수백 개의 밤톨에 몰매를 맞았다

울상으로 밤나무를 올려봤더니

쩍 벌어진 털복숭이들이 하하하 웃고 있다

나도 피식 하하하 따라 웃어 버렸다

매 값으로 토실한 알밤을 주머니 가득 담으며

고맙다 애썼다 장하다

나는 네가 익어 떨어질 때까지

살아나온 그 마음을 안다

시퍼런 침묵의 시간 속에 해와 달을 품고

어떻게 살아오고 무엇으로 익어온 줄 안다

이 외진 산비탈에서 최선을 다해온 네 마음을

 

- 박노해, ‘밤나무 아래서’ 전문

 

두물머리 밤나무


박노해 시인의 시집 ‘그러니 그대 사라지지 말아라’에 수록된 시다. “울적한 마음으로 산길을 걸을 때” 성질나서 밤나무를 찼는데 “후두두둑 수백 개의 밤톨”이 머리로 쏟아졌다. 시상 전개를 위한 설정일 수 있지만, 우리는 무심코 걷어찬 돌멩이로 인해 누군가, 그 무엇에게는 상처를 주고 아픔을 주기도 하며 타산지석의 지혜를 깨닫곤 한다. 

시인은 “밤나무를 올려봤더니/쩍 벌어진 털복숭이들이 하하하 웃고 있다”. 화해와 깨달음의 순간이다. “하하하 따라 웃”던 시인은 주머니에 알밤을 담으면서 “고맙다 애썼다 장하다”, “네가 익어 떨어질 때까지/살아나온 그 마음을 안다”면서 중의적 화법으로 삶을 반추한다. 

돌이켜보면 “시퍼런 침묵의 시간 속에 해와 달을 품고” 살아온 나날이었다. 밤이 알알이 익어가기까지 “어떻게 살아오고 무엇으로 익어온 줄 안다”, “외진 산비탈에서 최선을 다해온 네 마음”이 내 마음이다. 그렇게 시인은 자본주의와 경쟁지상주의 세상에서 정의로운 길을 택해 걸어온 뒤안길을 되돌아본다. 

박노해 시인은 1957년 전남 함평에서 태어나 노동・생태・평화운동가로 살아왔다. 노동자 생활을 하며 선린상고 야간을 다녔다. 1984년 첫 시집 ‘노동의 새벽’이 출간되자 군사정권은 금서로 지정했다. 그럼에도 시집은 100만부 이상 팔려나갔다. 사노맹(남한사회주의노동자동맹) 결성으로 7년여 수배생활과 무기징역을 선고받았고 옥중에서 1993년 두 번째 시집 ‘참된 시작’을 출간했다. 1997년에는 ‘사람만이 희망이다’를 출간했고 석방 후 민주화운동 유공자로 복권됐지만 “과거를 팔아 오늘을 살지 않겠다”면서 국가보상금을 거부했다. 시퍼런 침묵의 세월 동안 나눔문화 운동과 이라크 전쟁터에서 아프리카, 중동지역 아이들의 가난과 분쟁 문제를 해결하는 평화활동을 펼쳤다. 2010년 ‘그러니 그대 사라지지 말아라’ 시집, 2014년 ‘다른 길’이라는 사진에세이집을 선보이기도 했다. 

글・사진: 박상건(시인. 동국대 언론정보대학원 겸임교수)

    박상건(시인. 섬문화연구소장)

섬TV

신경림, '갈대'

신경림, '갈대'

언제부턴가 갈대는 속으로 조용히 울고 있었다. 그런 어느 밤이었을 것이다. 갈대는 그의 온몸이 흔들리고 있는 것을 알았다. 바람도 달빛도 아닌
타인의 섬으로 여행을 떠나자

타인의 섬으로 여행을 떠나자

‘몰디브, 보라보라, 발리......’ 신문에서 자주 접하는 섬들이다. 이곳에는 무성한 야자수와 금가루 같은 백사장, 그리고 돈 많은 관광객이 있다
日・中, 우리바다 넘본 이유

日・中, 우리바다 넘본 이유

대한민국은 3면이 바다인 해양민족이다. 늘 푸른 바다, 드넓은 바다, 3000여 개가 넘는 섬들은 우리네 삶의 터전이자 해양사가 기록되고 해양문화가 탄
화성시 서신면 전곡항 등대

화성시 서신면 전곡항 등대

화성시 전곡항은 시화방조제가 조성되면서 시화호 이주민을 위해 조성한 다기능어항이다. 항구는 화성시 서신면과 안산시 대부도를 잇는 방파제가 건
충남 당진시 송악읍 안섬포구 등대

충남 당진시 송악읍 안섬포구 등대

아산만 당진시 안섬포구는 서해안 간척 시대의 어제와 오늘, 서해 어촌이 걸어온 길과 관광 대중화에 발맞춰 섬과 포구가 어떻게 달라지는지를 보여주
군산시 옥도면 무녀도

군산시 옥도면 무녀도

새만금방조제를 지나 신시도에서 고군산대교를 지나면 무녀도다. 무녀도는 선유대교를 통해 선유도와 장자도와 연결돼 차량으로 고군산군도를 여행
(7) 푸른 하늘, 푸른 잎의 미학

(7) 푸른 하늘, 푸른 잎의 미학

봄이 왔다. 푸른 하늘이 열리는 청명을 지나 본격적인 농경이 시작되는 곡우를 앞두고 봄비가 내렸다. 농어촌 들녘마다 새싹이 무럭무럭 자라나 올 농
(7) 떠나가고 싶은 배

(7) 떠나가고 싶은 배

코로나로 모두가 묶여 있은 세상. 떠나고 싶다. 묶인 일상을 풀고 더 넓은 바다로 떠나고 싶다. 저 저 배를 바라보면서 문득, 1930년 내 고향 강진의 시인
(6) 호미와 삽

(6) 호미와 삽

소만은 24절기 가운데 여덟 번째 절기다. 들녘은 식물이 성장하기 시작해 녹음으로 짙어진다. 소만 무렵, 여기저기 모내기 준비로 분주하다. 이른 모내
신경림, '갈대'

신경림, '갈대'

언제부턴가 갈대는 속으로 조용히 울고 있었다. 그런 어느 밤이었을 것이다. 갈대는 그의 온몸이 흔들리고 있는 것을 알았다. 바람도 달빛도 아닌
그 섬에 다시 갈 수 있을까

그 섬에 다시 갈 수 있을까

아마추어 사진동호회의 총무, K의 전화를 받은 건 며칠 전이었다. 모처럼의 통화였지만 K의 목소리는 어제 만나 소주라도 나눈 사이처럼 정겨웠다. &ldqu
하와이 제도 <7> 하와이 아일랜드

하와이 제도 <7> 하와이 아일랜드

하와이 아일랜드는 하와이 제도에서 가장 크고 제일 어린 섬이다. 빅 아일랜드라는 별명에 걸맞게 다른 하와이의 섬들을 모두 합친 것보다 거의 두 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