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콘텐츠아카데미포럼(KOCAF),『한류 101』 출간

다양한 전문가의 한류 담론 입체적으로 재구성한 입문서
김성애 기자 2025-06-17 16:50:22
한류가 더 이상 일시적인 문화트렌드가 아닌, 세계인의 일상적인 감각에 깊숙이 스며든 문화의 언어이자, 상호이해의 장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드라마와 영화, 음악과 게임 등으로 대표되는 K-콘텐츠는 단순한 ‘소비’ 대상이 아닌, 사람들이 삶 속에서 즐기고 해석하며 재구성하는 문화 실천의 매개체로 기능하고 있다. 

 
이런 변화 속에서 한류를 어떻게 바라볼 것인가? K-콘텐츠아카데미포럼(KOCAF, 이하 코카프)은 바로 이 질문에서 출발한 집단적 성찰의 결과물로서 입문서 『한류 101』을 출간한다. 이는 한류에 대한 단순한 설명서가 아닌, 한류의 본질을 다층적으로 해석하고 새롭게 구성하는 공동의 시도이며, 학계와 현장, 정책과 수용자, 국내외를 가로지르는 최초의 협력 산물이라는 평가이다.

코카프 회원들이 기획 집필한 '한류 101'


『한류 101』의 기획 주체인 KOCAF는 2024년 2월, “한류를 재구상하고 그 지속가능성을 논의하자”는 문제의식 속에서 출범한 비영리 민간 포럼이다. 방송, 영화, 게임 등 콘텐츠 업계의 실무자들, 한류 연구자 및 교육자, 문화정책 전문가들, 그리고 전 세계의 수용자들과 연결된 실천가들이 자발적으로 모여 만든 이 공동체는 단순한 토론회나 네트워크를 넘어서는 지식 실천형 플랫폼으로 성장해 왔다.


『한류 101』은 KOCAF의 철학을 바탕으로 기획된 첫 책이다. 이 책은 단일한 시선이 아닌 복수의 관점이 조율되는 구조로 완성됐다. KOCAF는 초기부터 이 책을 “누군가의 설명서가 아닌, 모두의 입문서”로 만들자는 목표 아래, 기획에서 집필까지 전 과정을 공동 창작 모델로 운영했다.

 
책의 기획에는 방송 PD이자 콘텐츠 연구자인 배기형 박사가 참여했으며, KOCAF의 공동 창립자이자 한류 현장을 누구보다 깊이 이해하는 실천가인 정길화 원장이 구체적 방향을 제시했다. 또한 편집장으로 참여한 심두보 교수(성신여대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과)는 각 저자의 글을 조율하며 논지의 일관성과 입체성을 동시에 확보했고, 이 뜻에 동조한 현장 전문가이자 필자인 KOCAF 회원들이 선뜻 나서 제작의 완성도를 높였다.

 
이 책에는 학계와 현장, 국내외 전문가 약 20명이 집필자로 참여했다. 박소정 교수, 이성민 교수, 조영신 박사, 유진희 박사, 곽동균 박사, 채지영 박사 등은 각자의 전문성을 바탕으로 장르별·주제별 분석을 담아냈으며, 일본의 조호 야마모토와 같은 해외 실천가의 시각 또한 포함되어 있다. 이로써 『한류 101』은 한류 담론을 재구성할 수 있는 입체형 입문서로 자리매김하게 됐다.

한류학 입문서 '한류 101'

 
기획자로 참여한 배기형 KBS PD는 “『한류 101』은 누가 한류를 정의할 것인가가 아니라, 어떻게 함께 사유하고 실천할 수 있을 것인가를 묻는 책”이라며, “이 책이 한류를 사랑하는 이들 모두의 출발선이 되기를 바란다”고 밝혔다.


이 책의 편집장이자 집필자 중 한 명인 심두보 교수(성신여대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과)는 “ 『한류 101』은 한류의 복잡성 속으로 처음 발을 내딛는 독자들을 위한 입문서”라면서 “‘101’이라는 상징적인 숫자처럼, 한류라는 거대한 흐름을 이해하기 위한 가장 기본적인 틀을 제공하고자 했다.”고 말했다. 그는 또 “단순한 콘텐츠 소개나 홍보를 넘어서, 한류가 생산되고 유통되며 소비되는 역사적·사회적·경제적 조건을 심층적으로 분석”한다고 강조했다.

 

 

섬TV

박상건, '꿈꾸는 격렬비열도'

박상건, '꿈꾸는 격렬비열도'

망망대해 그 너머연사흘 흰 거품 물고 칠천만 년 꾹꾹 눌러 둔 고독이 마침내 폭발하더니만, 깊고 깊어 푸른 그 그리움 더 어쩌지 못하고 파도소리 뜨
유안진, ‘지란지교를 꿈꾸며’

유안진, ‘지란지교를 꿈꾸며’

저녁을 먹고 나면 허물없이 찾아가차 한 잔을 마시고 싶다고 말할 수 있는 친구가 있었으면 좋겠다.입은 옷을 갈아입지 않고 김치냄새가 좀 나더라도
송수권, ‘시골길 또는 술통’

송수권, ‘시골길 또는 술통’

자전거 짐받이에서 술통들이 뛰고 있다풀 비린내가 바퀴살을 돌린다바퀴살이 술을 튀긴다자갈들이 한 치씩 뛰어 술통을 넘는다술통을 넘어 풀밭에 떨
日・中, 우리바다 넘본 이유

日・中, 우리바다 넘본 이유

대한민국은 3면이 바다인 해양민족이다. 늘 푸른 바다, 드넓은 바다, 3000여 개가 넘는 섬들은 우리네 삶의 터전이자 해양사가 기록되고 해양문화가 탄
서해 끝섬, 격렬비열도

서해 끝섬, 격렬비열도

서해 끝섬, 서해의 독도인 격렬비열도. 정부가 국무회의를 통해 격렬비열도를 국가관리연안항으로 지정한 7월 4일이 ‘격렬비열도의 날’이다.
우리나라 최남단 섬 마라도

우리나라 최남단 섬 마라도

우리나라 최남단의 섬 마라도. 남제주군 모슬포항에서 배를 타고 남쪽으로 30분 정도 소요된다. 푸른 물결 퍼 올리며 달리는 배의 저편에 한 폭의 수채
(7) 푸른 하늘, 푸른 잎의 미학

(7) 푸른 하늘, 푸른 잎의 미학

봄이 왔다. 푸른 하늘이 열리는 청명을 지나 본격적인 농경이 시작되는 곡우를 앞두고 봄비가 내렸다. 농어촌 들녘마다 새싹이 무럭무럭 자라나 올 농
(7) 떠나가고 싶은 배

(7) 떠나가고 싶은 배

코로나로 모두가 묶여 있은 세상. 떠나고 싶다. 묶인 일상을 풀고 더 넓은 바다로 떠나고 싶다. 저 저 배를 바라보면서 문득, 1930년 내 고향 강진의 시인
(6) 호미와 삽

(6) 호미와 삽

소만은 24절기 가운데 여덟 번째 절기다. 들녘은 식물이 성장하기 시작해 녹음으로 짙어진다. 소만 무렵, 여기저기 모내기 준비로 분주하다. 이른 모내
박상건, '꿈꾸는 격렬비열도'

박상건, '꿈꾸는 격렬비열도'

망망대해 그 너머연사흘 흰 거품 물고 칠천만 년 꾹꾹 눌러 둔 고독이 마침내 폭발하더니만, 깊고 깊어 푸른 그 그리움 더 어쩌지 못하고 파도소리 뜨
유안진, ‘지란지교를 꿈꾸며’

유안진, ‘지란지교를 꿈꾸며’

저녁을 먹고 나면 허물없이 찾아가차 한 잔을 마시고 싶다고 말할 수 있는 친구가 있었으면 좋겠다.입은 옷을 갈아입지 않고 김치냄새가 좀 나더라도
송수권, ‘시골길 또는 술통’

송수권, ‘시골길 또는 술통’

자전거 짐받이에서 술통들이 뛰고 있다풀 비린내가 바퀴살을 돌린다바퀴살이 술을 튀긴다자갈들이 한 치씩 뛰어 술통을 넘는다술통을 넘어 풀밭에 떨
그 섬에 다시 갈 수 있을까

그 섬에 다시 갈 수 있을까

아마추어 사진동호회의 총무, K의 전화를 받은 건 며칠 전이었다. 모처럼의 통화였지만 K의 목소리는 어제 만나 소주라도 나눈 사이처럼 정겨웠다. &ldqu
하와이 제도 <7> 하와이 아일랜드

하와이 제도 <7> 하와이 아일랜드

하와이 아일랜드는 하와이 제도에서 가장 크고 제일 어린 섬이다. 빅 아일랜드라는 별명에 걸맞게 다른 하와이의 섬들을 모두 합친 것보다 거의 두 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