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의 기운 가득한 고하도에서 ‘청룡의 해’를 시작해볼까

한규택 기자 2023-12-27 13:56:54
이제 5일 후면 2024년 갑진년(甲辰年) 새해를 맞이한다. 갑진년은 푸른색의 ‘갑’과 용을 뜻하는 ‘진’이 만나 푸른 용, 즉 ‘청룡(靑龍)의 해’이다. 하늘로 비상하는 용의 기운을 듬뿍 받을 수 있는 섬에서 새해 소망을 빌고 새로운 도전과 성취를 위한 힘찬 새 출발을 해보는 것은 어떨까.

고하도 해안의 아름다운 낙조(사진=목포시 제공)

고하도는 용의 기상을 품고 있는 대표적인 섬이다. 목포 남쪽 해안에 위치한 고하도는 목포 시내에서 2km 떨어져 있는 반달 모양의 섬이다. 높은 산(유달산) 밑에 있는 섬이란 뜻에서 고하도(高下島)라 불렸으며, 보화도(寶化島), 칼섬으로도 불렸다. 

고하도의 섬 면적은 1.7㎢, 해안선 길이는 10.7㎞이다. 고하도는 목포항 관문 역할을 한다. 특히 용머리는 인근 다도해 해역을 오가는 선박들의 항로가 있는 지점이다. 

목포시민들과 남해안을 찾는 여행자들은 용 한 마리가 바다를 헤쳐가며 비상하는 모양의 고하도 용오름 둘레길을 자주 찾는다. 여행자들은 용의 등을 타고 걷는 셈이다. 이 해안을 걸으며 이순신 장군에 얽힌 역사 등 유서 깊은 고하도의 뒤안길을 되새김질하고 푸른 바다, 다도해를 감상하는 힐링 여행을 만끽할 수 있다. 

고하도 '용오름 둘레길'(사진=섬문화연구소DB)


고하도는 삼국시대부터 사람이 살기 시작했다. 만의 가장자리에 방조제를 쌓아 농경지와 염전을 만들어 생활했다. 1914년 행정구역이 달리도, 하사도, 외달도, 노하도 등과 함께 무안군 압해면 달리에 속했다. 그러다가 1963년 무안군에서 목포시로 편입됐고 현재 주소는 목포시 달동이다. 가늘고 긴 산자락이 섬을 에워싸며 고하도 울타리를 역할을 한다. 섬 안쪽은 낮은 구릉이고 평지에 마을과 염전, 들판이 자리 잡았다. 

고하도는 임진왜란 때인 1597년 10월 29일부터 이듬해 2월 17일까지 107일 동안 이순신 장군이 주둔하여 군사를 재정비하고 전선 40여 척을 만든 곳이다. 충무공은 명량해전 이후 군사들의 대오를 갖추고 군수물자를 비축하고자 고하도를 전략지로 이용했고, 고하도에서의 수군 재건은 이후 7년 전쟁의 종지부를 찍은 노량해전 승리의 원동력이 되었다. 이순신 장군의 공적을 기리고자 고하도 선착장 위에는 모충각이 세워져 있다. 육송과 적송 등 솔숲으로 우거진 이곳에 기념비와 유적지가 있다.

고하도 해안데크(사진=섬문화연구소DB)

고하도에서 용의 기운을 물씬 느낄 수 있는 곳은 ‘용오름 둘레길’이다. 용오름 둘레길은 6km 구간으로 약 2시간이 소요된다. 둘레숲길 입구~큰덕골저수지~숲길 삼거리~용머리길 코스다. 해안선을 타고 걷는 해안데크는 고하도 전망대~고하도 용머리까지 1km 구간으로 왕복 30분이 소요된다. 일본식민통치때 일본이 군사작전용으로 만들었던 14개 해안동굴도 있다. 

둘레길의 끝자락인 용머리탐방로를 따라가면 용이 날개를 펴고 하늘로 승천하는 전설이 있는 용머리가 있는 해안이 나타난다. 조금 더 걸어가면 이순신 장군 동상을 만나고 길 끝에는 고하도의 상징인 용머리 조형물이 있다. 금방이라도 날아오를 듯 크게 포효하고 있는 용머리 위로는 목포대교가 보인다. 바다를 가로지르는 목포대교와 어우러지는 환상적인 풍경도 볼 수 있다. 

해안데크 용머리 포토존 조형물 '용의 비상'(사진=목포시 제공)

사공의 뱃노래가 울려 퍼지며 돛단배가 용머리 앞을 돌아오는 ‘용당귀범(龍塘歸帆)’의 장관속에 고하도가 품은 용의 기운이 갑진년 새해 하늘로의 힘찬 비상을 기다리고 있다.

섬TV

신경림, '갈대'

신경림, '갈대'

언제부턴가 갈대는 속으로 조용히 울고 있었다. 그런 어느 밤이었을 것이다. 갈대는 그의 온몸이 흔들리고 있는 것을 알았다. 바람도 달빛도 아닌
타인의 섬으로 여행을 떠나자

타인의 섬으로 여행을 떠나자

‘몰디브, 보라보라, 발리......’ 신문에서 자주 접하는 섬들이다. 이곳에는 무성한 야자수와 금가루 같은 백사장, 그리고 돈 많은 관광객이 있다
日・中, 우리바다 넘본 이유

日・中, 우리바다 넘본 이유

대한민국은 3면이 바다인 해양민족이다. 늘 푸른 바다, 드넓은 바다, 3000여 개가 넘는 섬들은 우리네 삶의 터전이자 해양사가 기록되고 해양문화가 탄
화성시 서신면 전곡항 등대

화성시 서신면 전곡항 등대

화성시 전곡항은 시화방조제가 조성되면서 시화호 이주민을 위해 조성한 다기능어항이다. 항구는 화성시 서신면과 안산시 대부도를 잇는 방파제가 건
충남 당진시 송악읍 안섬포구 등대

충남 당진시 송악읍 안섬포구 등대

아산만 당진시 안섬포구는 서해안 간척 시대의 어제와 오늘, 서해 어촌이 걸어온 길과 관광 대중화에 발맞춰 섬과 포구가 어떻게 달라지는지를 보여주
군산시 옥도면 무녀도

군산시 옥도면 무녀도

새만금방조제를 지나 신시도에서 고군산대교를 지나면 무녀도다. 무녀도는 선유대교를 통해 선유도와 장자도와 연결돼 차량으로 고군산군도를 여행
(7) 푸른 하늘, 푸른 잎의 미학

(7) 푸른 하늘, 푸른 잎의 미학

봄이 왔다. 푸른 하늘이 열리는 청명을 지나 본격적인 농경이 시작되는 곡우를 앞두고 봄비가 내렸다. 농어촌 들녘마다 새싹이 무럭무럭 자라나 올 농
(7) 떠나가고 싶은 배

(7) 떠나가고 싶은 배

코로나로 모두가 묶여 있은 세상. 떠나고 싶다. 묶인 일상을 풀고 더 넓은 바다로 떠나고 싶다. 저 저 배를 바라보면서 문득, 1930년 내 고향 강진의 시인
(6) 호미와 삽

(6) 호미와 삽

소만은 24절기 가운데 여덟 번째 절기다. 들녘은 식물이 성장하기 시작해 녹음으로 짙어진다. 소만 무렵, 여기저기 모내기 준비로 분주하다. 이른 모내
신경림, '갈대'

신경림, '갈대'

언제부턴가 갈대는 속으로 조용히 울고 있었다. 그런 어느 밤이었을 것이다. 갈대는 그의 온몸이 흔들리고 있는 것을 알았다. 바람도 달빛도 아닌
그 섬에 다시 갈 수 있을까

그 섬에 다시 갈 수 있을까

아마추어 사진동호회의 총무, K의 전화를 받은 건 며칠 전이었다. 모처럼의 통화였지만 K의 목소리는 어제 만나 소주라도 나눈 사이처럼 정겨웠다. &ldqu
하와이 제도 <7> 하와이 아일랜드

하와이 제도 <7> 하와이 아일랜드

하와이 아일랜드는 하와이 제도에서 가장 크고 제일 어린 섬이다. 빅 아일랜드라는 별명에 걸맞게 다른 하와이의 섬들을 모두 합친 것보다 거의 두 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