칼럼

마음에 걸림이 없고, 걸림이 없어  두려움이 없는 명상

마음에 걸림이 없고, 걸림이 없어 두려움이 없는 명상

마음에 걸림이 없고, 걸림이 없어서 두려움이 없는 마음, 그렇게 그물에 걸리지 않는 바람처럼 살고 싶은 것은 인지상정. 우리 사회 곳곳에서 감사와 배려, 겸손과 자비의 명상바람이 새 물결로 출렁출렁 물결치고 있다. 절에서, 도심에서, 대학에서 이러한 명상 붐이 봄바람 이상으로 세차게 불어가는 느낌이다. 이러한 명상 붐은 우리 사회가 그만큼 각지고 사회 일원으로 살아
박상건 기자 2024-04-09 08:26:41
[시와 풍경이 있는 삶]  신경림, '갈대'

[시와 풍경이 있는 삶] 신경림, '갈대'

언제부턴가 갈대는 속으로 조용히 울고 있었다. 그런 어느 밤이었을 것이다. 갈대는 그의 온몸이 흔들리고 있는 것을 알았다. 바람도 달빛도 아닌 것, 갈대는 저를 흔드는 것이 제 조용한 울음인 것을 까맣게 몰랐다. - 산다는 것은 속으로 이렇게 조용히 울고 있는 것이란 것을 그는 몰랐다. - 신경림, ‘갈대’ 전문 1956년 <문학예술>에 발표된 이 시는 시인이
박상건 기자 2022-05-13 09:16:13
[칼럼] 타인의 섬으로 여행을 떠나자

[칼럼] 타인의 섬으로 여행을 떠나자

‘몰디브, 보라보라, 발리......’ 신문에서 자주 접하는 섬들이다. 이곳에는 무성한 야자수와 금가루 같은 백사장, 그리고 돈 많은 관광객이 있다. 여행사마다 다양하게 내어놓은 여행 일정들-‘환상의 섬 몰디브, 4박 5일에 95만원!’-은 역시 여기가 불변하는 1위의 신혼여행지며 휴양지임을 나타낸다. ‘델로스, 알카트라스, 소록도......’ 이곳들을 떠올릴 때
2021-09-08 12:34:25
[칼럼] 그 섬에 다시 갈 수 있을까

[칼럼] 그 섬에 다시 갈 수 있을까

아마추어 사진동호회의 총무, K의 전화를 받은 건 며칠 전이었다. 모처럼의 통화였지만 K의 목소리는 어제 만나 소주라도 나눈 사이처럼 정겨웠다. “형님, 날도 슬슬 풀리는데 주말에 섬 출사 한번 갑시다.” “섬 출사라…. 어디로 갈 건데?” 섬이라는 말에 솔깃해진 나는 전화기를 바짝 끌어당겼다. “안면도가 어떨까 하는데요. 회도 좀 먹고 일몰이나 몇
2021-08-31 12:33:57
[김충호 화백의 화폭의 섬] (7) 떠나가고 싶은 배

[김충호 화백의 화폭의 섬] (7) 떠나가고 싶은 배

코로나로 모두가 묶여 있은 세상. 떠나고 싶다. 묶인 일상을 풀고 더 넓은 바다로 떠나고 싶다. 저 저 배를 바라보면서 문득, 1930년 내 고향 강진의 시인 김영랑과 함께 시문학파로 활동한 박용철 시인의 ‘떠나가는 배’ 시 구절이 떠올랐다. “나 두 야 간다/나의 이 젊은 나이를/눈물로야 보낼 거냐/나 두 야 가련다”
김충호 기자 2021-08-11 07:57:13
[김충호 화백의 화폭의 섬] (6) 호미와 삽

[김충호 화백의 화폭의 섬] (6) 호미와 삽

소만은 24절기 가운데 여덟 번째 절기다. 들녘은 식물이 성장하기 시작해 녹음으로 짙어진다. 소만 무렵, 여기저기 모내기 준비로 분주하다. 이른 모내기, 가을보리 먼저 베기, 밭농사 김매기 손길이 이으면서 겨우내 창고에 있던 농기구들도 제 할 일로 들뜨기 시작한다. 반농반어촌 들에서 주인장도, 삽과 호미도 자기 역할을 찾았으니 마냥 기쁘고 행복할 따름이다. 농부와 농
김충호 기자 2021-05-24 07:40:24
[칼럼] 섬에서 가족 논픽션 찍고 싶은 이유

[칼럼] 섬에서 가족 논픽션 찍고 싶은 이유

섬을 생각하면 웃음이 절로 나는 대목이 있다. 나는 30대에 들어서기까지 섬에 단 한 번도 가보지 못한 내륙인(?)이었다. 섬에 대한 추억은 영화, 텔레비전을 통해 만들어지고 견고해졌다. 멀리 수평선과 함께 한가로이 떠다는 배들의 중심, 뜀박질하면 5분에서 10분이면 끝까지 다다를 수 있는 작은 곳. 등대와 등대지기, 섬마을 사람들은 모두 고기잡이하며 사는 것으로 생각한
박상건 기자 2021-05-24 07:36:05
[김충호 화백의 화폭의 섬] (5) 강진역

[김충호 화백의 화폭의 섬] (5) 강진역

우리들은 매일 거리와 골목을 통해 소통한다. 골목길은 그 마을의 역사이고 문화유산이다. 과거와 현대사회를 잇는 실핏줄 같은 것이다. 도로, 담장, 대문, 화단, 주민쉼터 등 주거환경 개선 작업 중 하나인 골목길 벽화로 효과를 내는 것이다, 소위 벽화 효과는 정서적, 미적 순화 이상으로 지역주민의 삶의 질을 높인다. 잘 어촌의 거리와 골목길은 스토리가 아름답고 생동감 있
김충호 기자 2021-04-28 09:02:46
[칼럼] 그리운 섬마을 선생님께

[칼럼] 그리운 섬마을 선생님께

함지박만한 섬들과 작은 전마선, 그리고 푸른 바다까지도 섬사람들의 억센 사투리만큼이나 낯설던 전라남도 신안군 지도면 증동리. 그 곳은 이제 제 어린 시절의 사랑과 기쁨, 외로움과 눈물이 머물러 언제부터인가 가슴 저리도록 마음속을 파고드는 영원한 고향이 되어 버렸습니다. 눈이 시리도록 반짝이는 백사장에서 수평선 너머로 해가 기울 때까지 모래성을 쌓으며 먼 훗
박상건 기자 2021-04-22 10:36:10
[시와 풍경이 있는 삶] 오세영 ‘눈’, 최승호 ‘대설주의보’

[시와 풍경이 있는 삶] 오세영 ‘눈’, 최승호 ‘대설주의보’

살을 에는 겨울 추위에 지친 인간은 제각기 자신만의 귀가길을 서두르는데 왜 눈은 하얗게 하얗게 내려야만 하는가 하얗게 하얗게 혼신의 힘을 기울여 바닥을 향해 투신하는 눈 눈은 낮은 곳에 이르러서야 비로소 녹을 줄을 안다 - 오세영, ‘눈’ 중에서 깊은 백색의 골짜기를 메우며 굵은 눈발은 휘몰아치고, 쬐그마한 숯덩이만한 게 짧은 날개를 파닥이며…&hel
박상건 기자 2021-01-15 11:22:30
[인터뷰] 섬 전문가 박상건 섬문화연구소장

[인터뷰] 섬 전문가 박상건 섬문화연구소장

문화·역사 품은 섬에서, 잠시 숨 좀 돌려보세요 “섬은 맑은공기로 영혼 헹굴 마지막 보고” 시인·일반인 어울린 섬사랑시인학교 캠프 “섬 여행은 우리 공동체문화 되살리는 일” “우리는 3면이 바다인 해양국가이고, 우리는 해양민족의 후예입니다. 이런 섬의 가치를 깨닫고 사랑하는 일은 너무 자연스러운 일이죠. 부지런히 섬으로 가고 섬과
장성호 기자 2020-12-07 15:53:20
[시와 풍경이 있는 삶] 인생을 음미하는 서정춘 시인의 시집 '하류'

[시와 풍경이 있는 삶] 인생을 음미하는 서정춘 시인의 시집 '하류'

팔순의 서정춘 시인이 여덟 번째 시집 「하류」(도서출판 b, 39쪽)를 펴냈다. 31편의 알짜배기 시편들을 묶었는데 짧고 강한 울림의 서정시를 선보이는 시인답게 ‘시인의 말’도 두 줄에 불과하다. “하류가 좋다/멀리 보고 오래 참고 끝까지 가는 거다”. 일반적으로 상류가 하류가 보다 맑고 풍경도 멋질 것 같은데 시인은 ‘하류’에 주목했다. 옷 벗고 갈
박상건 기자 2020-11-11 11:05:10
[시와 풍경이 있는 삶] 박노해, ‘밤나무 아래서’

[시와 풍경이 있는 삶] 박노해, ‘밤나무 아래서’

이럴 때가 있다 일도 안 풀리고 작품도 안 되고 울적한 마음으로 산길을 걸을 때 툭, 머리통에 꿀밤 한 대 아프다 나도 한 성질 있다 언제까지 내가 동네북이냐 밤나무를 발로 퍽 찼더니 후두두둑 수백 개의 밤톨에 몰매를 맞았다 울상으로 밤나무를 올려봤더니 쩍 벌어진 털복숭이들이 하하하 웃고 있다 나도 피식 하하하 따라 웃어 버렸다 매 값으로 토실한 알밤을 주머니 가득
박상건 기자 2020-10-16 07:10:21
[김충호 화백의 화폭의 섬] (4) 어부의 힘찬 항해

[김충호 화백의 화폭의 섬] (4) 어부의 힘찬 항해

하루 두 번씩 물길이 바뀌는 바다. 그 바다를 터전으로 어촌의 어부들은 생계를 이어간다. 때로는 안개가 자욱해 바다로 가는 길이 막히고 때로는 풍랑주의보가 내려 삶의 길이 막막해지기도 한다. 그러나 기쁨과 슬픔을 잘 버무리면서 사는 길, 그것이 인생길이다. 바다는 하루에 두 번씩 그렇게 두 가지의 길을 보여주면서 어부와 동행한다. 마침내 물길이 열리고 어부는 힘
김충호 기자 2020-10-08 10:39:28
[시와 풍경이 있는 삶] 김현승, '플라타너스'

[시와 풍경이 있는 삶] 김현승, '플라타너스'

꿈을 아느냐 네게 물으면, 플라타너스, 너의 머리는 어느덧 파아란 하늘에 젖어 있다. (중략) 먼 길에 올 제, 홀로 되어 외로울 제, 플라타너스, 너는 그 길을 나와 같이 걸었다. ​ (중략) ​ 수고론 우리의 길이 다하는 어느 날, 플라타너스, 너를 맞아줄 검은 흙이 먼 곳에 따로이 있느냐? 나는 오직 너를 지켜 네 이웃이 되고 싶을 뿐, 그곳은 아름다운 별과 나의 사랑하는 창
박상건 기자 2020-09-25 08:48:59
[포커스] 태풍 속 등대의 존재 이유

[포커스] 태풍 속 등대의 존재 이유

제9호 태풍 마이삭(MAYSAK)은 지난달 28일 오후 3시 기준 중심기압 996 hPa, 최대풍속 18 m/s, 강풍 반경 280km의 열대폭풍으로 필리핀 마닐라 동북동쪽 약 1040 km 부근 해상에서 발생했다. 마이삭이란 이름은 캄보디아에서 제출했으며 크메르어로 티크나무를 말한다. 이 태풍은 태풍 바비 보다 더 강했다. 마이삭은 제주를 관통해 경남과 전남 해안지대를 뒤흔든 후 거제도, 포항, 울진을
박상건 기자 2020-09-04 13:05:14
[화제의 현장] 대한민국의 DNA…공동체문화와 살신성인

[화제의 현장] 대한민국의 DNA…공동체문화와 살신성인

제9호 태풍 마이삭이 제주도를 시작으로 동해안 지역에 큰 피해를 초래한 가운데 평창군 진부면 하진부리 시가지와 송정리를 연결하는 송정교가 태풍으로 붕괴되기 직전에 인근 주민의 발 빠른 진입 금지 시도로 인명피해를 막아 화제다. 평창군에 따르면 어제(3일) 오전 7시2분 출근 시간대에 다리 상판이 휘어진 상황에서 차량이 진입하자 주민이 손을 흔들면서 차량의 진입
박상건 기자 2020-09-04 11:13:05
[김충호 화백의 화폭의 섬] (3) 집으로 가는 길

[김충호 화백의 화폭의 섬] (3) 집으로 가는 길

내 고향 남쪽 강진에서 자주 만나는 일상의 풍경이다.비가 오나 눈이 오나, 늘 그 길을 걷는 사람들이 있다.시골 길을 엉금엉금 걷는 할머니들의 뒤안길은 우리네 어머니의 길이고 고향집으로 가는 길이다.어느 눈내리는 날, 그 길을 걷는 두 할머니의 뒷 모습에서 우리네 어머니, 우리네 인생 길을 바라보왔다. 코로나19에도 무더위에 지친 우리에게연거푸 태풍이 한반도 길을
김충호 기자 2020-09-03 15:04:35
[김충호 화백의 화폭의 섬] (2) 해창만에서 만나는 수평의 바다

[김충호 화백의 화폭의 섬] (2) 해창만에서 만나는 수평의 바다

노자 동양철학에 근거한 물은 배려와 비움의 상징이다. 물의 원리는 자연에 순응하는 것이고 겸허하고 낮게 흘러가는 것이다. 그래서 다툼이 없고 허물이 없다. 그런 겸허한 물줄기들이 수직의 삶을 거부하면서 생성과 소멸을 반복한다. 작품 ‘해창’은 고향 강진의 해창만의 풍경을 그린 것이다. 수평선과 한몸이 되는 섬을 바라보면서 삶이란 무엇인가? 어떻게 살아야
김충호 기자 2020-09-01 10:14:00
[시와 풍경이 있는 삶] 김현승, ‘가을의 기도’

[시와 풍경이 있는 삶] 김현승, ‘가을의 기도’

가을에는 기도하게 하소서. 낙엽들이 지는 때를 기다려 내게 주신 겸허한 모국어로 나를 채우소서. 가을에는 사랑하게 하소서. 오직 한 사람을 택하게 하소서. 가장 아름다운 열매를 위하여 이 비옥한 시간을 가꾸게 하소서. 가을에는 호올로 있게 하소서. - 김현승, ‘가을의 기도’ 중에서 이 시는 김현승 시인의 1957년 첫 시집 ‘김현승 시초’에 실려 있다.
박상건 기자 2020-08-21 08:57:53
1 2

섬TV

마음에 걸림이 없고, 걸림이 없어  두려움이 없는 명상

마음에 걸림이 없고, 걸림이 없어 두려움이 없는 명상

마음에 걸림이 없고, 걸림이 없어서 두려움이 없는 마음, 그렇게 그물에 걸리지 않는 바람처럼 살고 싶은 것은 인지상정. 우리 사회 곳곳에서 감사와 배려, 겸손과 자비의 명상바람이 새 물결로 출렁출렁 물결치고 있다. 절에서
신경림, '갈대'

신경림, '갈대'

언제부턴가 갈대는 속으로 조용히 울고 있었다. 그런 어느 밤이었을 것이다. 갈대는 그의 온몸이 흔들리고 있는 것을 알았다. 바람도 달빛도 아닌 것, 갈대는 저를 흔드는 것이 제 조용한 울음인 것을 까맣게 몰랐다. - 산다
타인의 섬으로 여행을 떠나자

타인의 섬으로 여행을 떠나자

‘몰디브, 보라보라, 발리......’ 신문에서 자주 접하는 섬들이다. 이곳에는 무성한 야자수와 금가루 같은 백사장, 그리고 돈 많은 관광객이 있다. 여행사마다 다양하게 내어놓은 여행 일정들-‘환상의 섬 몰디브, 4박 5
그 섬에 다시 갈 수 있을까

그 섬에 다시 갈 수 있을까

아마추어 사진동호회의 총무, K의 전화를 받은 건 며칠 전이었다. 모처럼의 통화였지만 K의 목소리는 어제 만나 소주라도 나눈 사이처럼 정겨웠다. “형님, 날도 슬슬 풀리는데 주말에 섬 출사 한번 갑시다.” “섬 출사
(7) 떠나가고 싶은 배

(7) 떠나가고 싶은 배

코로나로 모두가 묶여 있은 세상. 떠나고 싶다. 묶인 일상을 풀고 더 넓은 바다로 떠나고 싶다. 저 저 배를 바라보면서 문득, 1930년 내 고향 강진의 시인 김영랑과 함께 시문학파로 활동한 박용철 시인의 ‘떠나가는 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