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비의 섬 고군산군도가 품은 역사적 발자취

국립익산박물관, 특별전 '바다 위의 성, 군산군도' 개최
한규택 기자 2023-12-12 15:04:36
바다 위에 떠 있는 섬은 오랜 세월에 걸친 역사적 흔적과 옛이야기를 담고 있다. 특히 크고 작은 섬들이 무리 지어 마치 산처럼 보이는 군도는 역사의 물결 속 켜켜이 쌓인 다양하고도 역동적인 이야기를 품고 있다. 

유인도 16곳과 무인도 47곳으로 이뤄진 우리나라 대표적인 섬의 군락인 고군산군도는 어떤 역사적 발자취와 이야기를 간직하고 있을까? 과거 섬이 간직했던 모습을 상상해보고 옛이야기를 통해 고군산군도의 과거와 오늘을 조명하는 특별전시가 열려 화제다.

전시실 내부 전경(사진=국립익산박물관 제공)


국립익산박물관은 12월 12일부터 2024년 4월 28일까지 국립익산박물관 기획전시실에서 특별전 ‘바다 위의 성, 군산군도’를 개최한다고 밝혔다.

고군산군도를 방문했던 중국 사신 서긍(徐兢)은 무리 지어 있는 섬을 보며 ‘바다 위의 성’과 같다고 표현했다. 이번 특별전은 선사부터 근대까지 섬의 변화와 함께 900년 전, 고려의 외교무대이자 중국 사신단이 수도 개경 다음으로 가장 오래 머물렀던 군산군도를 조명하는 전시다.

군산(群山)은 바다 위의 섬들이 산과 같아 보여 붙여진 이름이다. 이번 특별전은 지명의 유래가 된 섬의 옛이야기를 들려주는 과정으로 총 3개 주제로 구성됐다.

1부 <바다 위의 산>에서는 선사시대 섬에 살았던 사람들의 흔적을 소개한다. 군산에 다수 존재하는 패총에서 발견된 일상생활품을 비롯해 금강과 만경강을 통해 바다에서 육지로, 육지에서 바다로 이동한 문화 교류의 흔적을 확인할 수 있다.

전시 중인 비안도 인근 해역에서 발견된 고려청자(사진=국립해양문화재연구소제공)


2부 <바다 위의 성>에서는 군산군도가 역사상 가장 주목받았던 고려시대에 주목했다. 특히, 올해가 1123년 중국 사신단이 고군산군도를 방문한 지 900주년이 되는 것을 조명했다. 중국 사신이 고군산군도를 방문한 지 900주년이 되는 올해 서긍이 남긴 ‘선화봉사고려도경(宣和奉使高麗圖經)’과 함께 기록에서 표현된 과거 섬의 모습을 통해 상상할 수 있는 영상과 12세기 고려청자 등을 선보인 것이다.

고군산군도는 수도 개경으로 가기 위해 통과해야 하는 위치에 있고 이를 입증하듯 인근 바다에서는 침몰한 배의 흔적도 확인된다. 십이동파도, 비안도, 야미도 인근에서 수중 발굴이 진행됐고 최근 선유도 인근 바다에서도 조사가 지속 중이다. 국립익산박물관은 이곳에서 발견된 수중 발굴 유물과 유적출토품은 섬의 역사적인 교류와 가치를 증명하는 자료로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고 설명했다.

군산이우도(群山二友圖)(사진=국립익산박물관 제공)


3부 <바다 위의 울타리>에서는 조선시대 바다를 굳건히 지켜온 군사 역할을 주제로 구성됐다. 고군산진으로 불리게 된 배경인 군산진의 이전, 재설치 과정을 전적, 회화, 고지도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특히 16세기에 그려진 유일한 군산을 배경으로한 회화작품인 ‘군산이우도’(群山二友圖)’가 3개월간 공개되어 눈길을 끈다.

고군산진의 설치에 따라 새롭게 부여됐던 유배지의 역할도 조명했다. 유배지로 활용되기 시작한 이유와 이곳에 유배를 왔던 인물 권중경, 이건창의 관련 자료를 통해 상반된 섬의 모습을 느껴볼 수 있다.

'바다 위의 성, 군산군도' 전시 포스터(사진=국립익산박물관 제공)

국립익산박물관 관계자는 “이번 전시는 국립익산박물관이 지역 문화 발전을 위한 마련한 전시로 시대에 따라 변화하는 섬의 모습을 소개하는 데 의미가 있다”며 “과거 고군산군도는 배를 타야만 갈 수 있었지만, 이제는 육로로 이어져 사람들의 방문이 증가하고 있다. 전시를 계기로 사라져 가고 있는 섬의 역사 흔적에 관심을 높일 기회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섬TV

신경림, '갈대'

신경림, '갈대'

언제부턴가 갈대는 속으로 조용히 울고 있었다. 그런 어느 밤이었을 것이다. 갈대는 그의 온몸이 흔들리고 있는 것을 알았다. 바람도 달빛도 아닌
타인의 섬으로 여행을 떠나자

타인의 섬으로 여행을 떠나자

‘몰디브, 보라보라, 발리......’ 신문에서 자주 접하는 섬들이다. 이곳에는 무성한 야자수와 금가루 같은 백사장, 그리고 돈 많은 관광객이 있다
日・中, 우리바다 넘본 이유

日・中, 우리바다 넘본 이유

대한민국은 3면이 바다인 해양민족이다. 늘 푸른 바다, 드넓은 바다, 3000여 개가 넘는 섬들은 우리네 삶의 터전이자 해양사가 기록되고 해양문화가 탄
화성시 서신면 전곡항 등대

화성시 서신면 전곡항 등대

화성시 전곡항은 시화방조제가 조성되면서 시화호 이주민을 위해 조성한 다기능어항이다. 항구는 화성시 서신면과 안산시 대부도를 잇는 방파제가 건
충남 당진시 송악읍 안섬포구 등대

충남 당진시 송악읍 안섬포구 등대

아산만 당진시 안섬포구는 서해안 간척 시대의 어제와 오늘, 서해 어촌이 걸어온 길과 관광 대중화에 발맞춰 섬과 포구가 어떻게 달라지는지를 보여주
군산시 옥도면 무녀도

군산시 옥도면 무녀도

새만금방조제를 지나 신시도에서 고군산대교를 지나면 무녀도다. 무녀도는 선유대교를 통해 선유도와 장자도와 연결돼 차량으로 고군산군도를 여행
(7) 푸른 하늘, 푸른 잎의 미학

(7) 푸른 하늘, 푸른 잎의 미학

봄이 왔다. 푸른 하늘이 열리는 청명을 지나 본격적인 농경이 시작되는 곡우를 앞두고 봄비가 내렸다. 농어촌 들녘마다 새싹이 무럭무럭 자라나 올 농
(7) 떠나가고 싶은 배

(7) 떠나가고 싶은 배

코로나로 모두가 묶여 있은 세상. 떠나고 싶다. 묶인 일상을 풀고 더 넓은 바다로 떠나고 싶다. 저 저 배를 바라보면서 문득, 1930년 내 고향 강진의 시인
(6) 호미와 삽

(6) 호미와 삽

소만은 24절기 가운데 여덟 번째 절기다. 들녘은 식물이 성장하기 시작해 녹음으로 짙어진다. 소만 무렵, 여기저기 모내기 준비로 분주하다. 이른 모내
신경림, '갈대'

신경림, '갈대'

언제부턴가 갈대는 속으로 조용히 울고 있었다. 그런 어느 밤이었을 것이다. 갈대는 그의 온몸이 흔들리고 있는 것을 알았다. 바람도 달빛도 아닌
그 섬에 다시 갈 수 있을까

그 섬에 다시 갈 수 있을까

아마추어 사진동호회의 총무, K의 전화를 받은 건 며칠 전이었다. 모처럼의 통화였지만 K의 목소리는 어제 만나 소주라도 나눈 사이처럼 정겨웠다. &ldqu
하와이 제도 <7> 하와이 아일랜드

하와이 제도 <7> 하와이 아일랜드

하와이 아일랜드는 하와이 제도에서 가장 크고 제일 어린 섬이다. 빅 아일랜드라는 별명에 걸맞게 다른 하와이의 섬들을 모두 합친 것보다 거의 두 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