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양·하동 섬진강 재첩잡이’ 손틀어업, 세계중요농업유산 등재 현장실사

한규택 기자 2023-05-02 16:34:27
청색 리트머스 깔아놓은 섬진강에
매화꽃 땀땀이 피어 흔들리고
바늘귀처럼 반짝이는 햇살에
모래무지 제첩이 길을 밝혀 온몸을 굴리고 있다
고향 사포마을 짠물에 길 떠나 상저구로 이사 가는 중이라 했다
..... (중략)
마을 사람들은 강둑에서 껍데기뿐인 삶을 채질하며 투덜대고
섬진나루 터줏대감 김씨 할아버지 상엿소리가 물수제비뜨는
섬진강의 밑바닥을 치고 올라온 대숲바람에
붉은 노을 고즈넉이 흔들리며 젖어가고 있다.

(박상건, ‘재첩이 길 떠나는 섬진강’ 중에서)


‘광양·하동 섬진강 재첩잡이’ 손틀어업(사진=해양수산부 제공)

재첩은 강에 서식하는 강조개로 하천이나 하구와 같이 해수와 담수가 섞이는 곳에 많이 서식한다. 우리나라 전역에서 서식하고 있지만 가장 많이 나오는 곳은 섬진강 하구이다. 섬진강은 경남 하동군과 전남 광양시를 사이에 두고 흐르고 있으며, 재첩 채취 면적은 하동군 75ha, 광양시 65ha 정도다. 

우리나라 전통 재첩잡이는 사람이 ‘거랭이’라고 부르는 손틀 도구(재첩틀)을 이용해서 채취하는 손틀어업이다. 시대의 변화에 따라 재첩틀의 재질 및 형태는 변화되었지만, 손틀어업은 지금도 변함없이 이어지고 있다. 이 손틀어업은 역사성과 차별성, 우수성, 자연생태적 가치 등 보전가치를 인정받아 2018년 11월에 ‘국가중요어업유산’으로 지정되었고, 해양수산부는 ‘광양·하동 섬진강 재첩잡이’를 2020년 1월 31일 유엔 식량농업기구(FAO)의 세계중요농업유산(GIAHS)에의 등재를 신청했다.

광양시와 하동군은 지난 27일 ‘광양·하동 섬진강 재첩잡이’ 손틀어업의 세계중요농업유산 등재를 위한 현지실사가 4월30일부터 5월2일까지 섬진강 일원에서 이뤄진다고 밝혔다.

손틀어업 어구(거랭이)(사진=해양수산부 제공)


FAO 실사단은 세계중요농업유산(GIAHS) 과학자문위원(SAG) 9명 중 2022년 위원장이었던 야기 노부유키 도쿄대 교수가 선정돼 오는 30일 방한한다.

현지 실사는 세계중요농업유산 등재를 신청한 나라의 서류심사가 완료된 이후 사실상 마지막 단계의 심사로 이번 방한은 제출한 서류의 일치 여부와 주민들의 세계중요농업유산 등재의 적극적인 의지 등을 평가한다.

실사 결과는 오는 7월 초 세계중요농업유산 과학자문위원회 정기총회에 보고돼 등재 여부가 결정되는데, 그동안 등재를 신청한 많은 나라에서 코로나19로 인해 현지실사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아 최종 선정은 다소 늦어질 수 있다.

현지 실사는 공동 접견과 섬진강 재첩잡이 세계중요농업유산 설명회를 시작으로 섬진강 하구 현장에서 거랭이로 재첩을 잡는 체험, 선별‧가공 과정 확인, 재첩잡이 어민과의 인터뷰, 관계기관과의 토론회 등이 진행된다.

재첩잡이 광경(사진=하동군 제공)


광양시와 하동군은 2박 3일 일정의 실사 과정에서 세계중요농업유산의 등재 추진 열기와 역량을 실사단에 효과적으로 전달하기 위해 지난 3월 초 추진단을 구성해 현장 점검과 주민역량 강화 교육을 실시하는 등 철저한 준비를 했다.

특히, 이들 지자체는 섬진강 재첩산업 활성화를 위해 재첩의 자원조성사업, 가공·유통 분야 지원, 자체브랜드 개발, 재첩홍보관 건립 등을 통해 재첩 산업의 선순환 구조를 만들어 시민의 소득을 증대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아울러 세계중요농업유산에 등재 시 재첩산업을 관광 분야까지 확대하는 큰 로드맵이 완성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섬TV

신경림, '갈대'

신경림, '갈대'

언제부턴가 갈대는 속으로 조용히 울고 있었다. 그런 어느 밤이었을 것이다. 갈대는 그의 온몸이 흔들리고 있는 것을 알았다. 바람도 달빛도 아닌
타인의 섬으로 여행을 떠나자

타인의 섬으로 여행을 떠나자

‘몰디브, 보라보라, 발리......’ 신문에서 자주 접하는 섬들이다. 이곳에는 무성한 야자수와 금가루 같은 백사장, 그리고 돈 많은 관광객이 있다
日・中, 우리바다 넘본 이유

日・中, 우리바다 넘본 이유

대한민국은 3면이 바다인 해양민족이다. 늘 푸른 바다, 드넓은 바다, 3000여 개가 넘는 섬들은 우리네 삶의 터전이자 해양사가 기록되고 해양문화가 탄
화성시 서신면 전곡항 등대

화성시 서신면 전곡항 등대

화성시 전곡항은 시화방조제가 조성되면서 시화호 이주민을 위해 조성한 다기능어항이다. 항구는 화성시 서신면과 안산시 대부도를 잇는 방파제가 건
충남 당진시 송악읍 안섬포구 등대

충남 당진시 송악읍 안섬포구 등대

아산만 당진시 안섬포구는 서해안 간척 시대의 어제와 오늘, 서해 어촌이 걸어온 길과 관광 대중화에 발맞춰 섬과 포구가 어떻게 달라지는지를 보여주
군산시 옥도면 무녀도

군산시 옥도면 무녀도

새만금방조제를 지나 신시도에서 고군산대교를 지나면 무녀도다. 무녀도는 선유대교를 통해 선유도와 장자도와 연결돼 차량으로 고군산군도를 여행
(7) 푸른 하늘, 푸른 잎의 미학

(7) 푸른 하늘, 푸른 잎의 미학

봄이 왔다. 푸른 하늘이 열리는 청명을 지나 본격적인 농경이 시작되는 곡우를 앞두고 봄비가 내렸다. 농어촌 들녘마다 새싹이 무럭무럭 자라나 올 농
(7) 떠나가고 싶은 배

(7) 떠나가고 싶은 배

코로나로 모두가 묶여 있은 세상. 떠나고 싶다. 묶인 일상을 풀고 더 넓은 바다로 떠나고 싶다. 저 저 배를 바라보면서 문득, 1930년 내 고향 강진의 시인
(6) 호미와 삽

(6) 호미와 삽

소만은 24절기 가운데 여덟 번째 절기다. 들녘은 식물이 성장하기 시작해 녹음으로 짙어진다. 소만 무렵, 여기저기 모내기 준비로 분주하다. 이른 모내
신경림, '갈대'

신경림, '갈대'

언제부턴가 갈대는 속으로 조용히 울고 있었다. 그런 어느 밤이었을 것이다. 갈대는 그의 온몸이 흔들리고 있는 것을 알았다. 바람도 달빛도 아닌
그 섬에 다시 갈 수 있을까

그 섬에 다시 갈 수 있을까

아마추어 사진동호회의 총무, K의 전화를 받은 건 며칠 전이었다. 모처럼의 통화였지만 K의 목소리는 어제 만나 소주라도 나눈 사이처럼 정겨웠다. &ldqu
하와이 제도 <7> 하와이 아일랜드

하와이 제도 <7> 하와이 아일랜드

하와이 아일랜드는 하와이 제도에서 가장 크고 제일 어린 섬이다. 빅 아일랜드라는 별명에 걸맞게 다른 하와이의 섬들을 모두 합친 것보다 거의 두 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