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년 ‘올해의 섬’으로 선정된 대한민국 최서남단 섬 ‘가거도’

한규택 기자 2023-01-17 18:33:43

가거도는 전라남도 신안군 흑산면에 속한 대한민국 최서남단에 있는 영해기점 섬이다. 가거도는 서울과 420km 떨어져 있고 일본 오키나와와 355km, 중국 절강성과 390km에 근접해 있다. 중국과의 거리가 서울과의 거리보다 가까워서 중국의 새벽 닭 우는 소리가 들린다는 섬으로 그만큼 국토의 최서남단에 위치하고 있다. 

남쪽에서 바라본 가거도 전경(사진=해양수산부 제공)

가거도 섬 면적은 9.71㎢, 해안선 길이는 22㎞로 해발 639m 독실산을 중심으로 바다가 펼쳐지면서 형성된 기암괴석과 후박나무 군락과 다양한 종류의 희귀식물들이 분포한다. 수많은 철새가 봄철과 가을철에 서해를 건너 이동하면서 중간기착지로 이용되고 있다. 2021년 12월 행안부 기준으로 303세대 426명의 주민이 거주하고 있다.

가거도 1구 이정표(사진=섬문화연구소DB)

가거도(可居島)는 조선시대에 ‘아름다운 섬’이란 뜻의 가가도(可佳島)로 불리다가 1896년부터는 ‘가히 사람이 살 만한 곳’이라는 의미의 가거도(可居島)로 변경되었다. 이후 일제강점기 때 소흑산도로 바뀌었다가 2008년부터 다시 가거도란 지명을 사용하게 되었다. 현재 흑산도는 대흑산도이다. 옛날부터 우리나라와 중국 사이의 해상 길목이자 경계를 이루는 섬이다.

1978년 국가어항으로 지정된 가거도는 옛날부터 우리나라와 중국 사이의 해상 길목이자 경계를 이루는 섬이다. 중요한 지리적 위치 때문에 1907년 가거도등대가 세워졌다. 당시 조선총독부 체신국 흑산도 등대에 소속된 무인등대로 첫 불을 밝혔고, 1935년 9월 유인등대로 전환해 증축되었으며 1955년 12월 목포지방해무청에 소속되어 현재에 이르기까지 100년을 훌쩍 넘긴 역사적인 등대로 남아 있다.

문화재 제380호로 지정된 가거도등대(사진=섬문화연구소DB)

가거도 해역에 풍랑이 일거나 거센 폭풍우가 몰아칠 때면 인근 동지나해에서 고기를 잡던 어선들은 가거도항으로 뱃머리를 돌려 악천후를 피한다. 이 때문에 폭풍이 잦은 겨울철에는 중국 어선들도 많이 볼 수 있고 많은 배들이 폭풍우를 피해 이곳에 몰려올 때에는 파시가 형성되기도 한다. 그래서 가거도는 서남해역의 어업전진기지이자 우리 영해를 수호하는 첨병의 역할을 맡고 있다.

가거도 노을 풍경(사진=섬문화연구소DB)

가거도는 뛰어난 풍경을 자랑한다. 그중에서도 가거도 북서쪽에 자리한 섬등반도(2020년 8월 문화재청 명승 제117호 지정)는 섬 동쪽으로 뻗어 내린 반도형 지형으로서, 기암절벽으로 이루어진 암봉과 병풍처럼 펼쳐진 해식애(海蝕崖)가 일대 장관을 이루며, 특히, 낙조 경관이 아름다운 점이 높게 평가된다. 또 섬등반도에는 대형 송년 우체통이 설치되어 있으며, 방문객들의 사연을 담은 편지와 엽서를 연말에 한 번 수취인에게 배달된다.

섬등반도 어귀에 있는 송년우체통(사진=해양수산부 제공)

이런 가거도가 ‘2023년 올해의 섬’에 선정되었다. 지난 1일 행정안전부와 해양수산부는 ‘2023년 계묘년 올해의 섬’으로 전남 신안군 ‘가거도’를 선정했다고 발표했다. 정부는 해양기점 섬의 해양영토적 가치를 알리고 소개하기 위해 2023년부터 2029년까지 매년 1월에 영해기점 섬(유인도)을 ‘올해의 섬’으로 선정하여 홍보하기로 했고, 가거도가 그 첫 번째 섬으로 선정된 것이다.

섬에 관한 자세한 정보는 섬 홍보 소셜네트워크서비스인 'What.섬'에서 확인 가능하다. 무인도서의 경우 해수부의 '무인도서종합정보제공시스템(http://uii.mof.go.kr)'에서 확인할 수 있다.

2023년 '올해의 섬'으로 선정된 '가거도' 포스터(사진=해양수산부 제공)

섬TV

신경림, '갈대'

신경림, '갈대'

언제부턴가 갈대는 속으로 조용히 울고 있었다. 그런 어느 밤이었을 것이다. 갈대는 그의 온몸이 흔들리고 있는 것을 알았다. 바람도 달빛도 아닌
타인의 섬으로 여행을 떠나자

타인의 섬으로 여행을 떠나자

‘몰디브, 보라보라, 발리......’ 신문에서 자주 접하는 섬들이다. 이곳에는 무성한 야자수와 금가루 같은 백사장, 그리고 돈 많은 관광객이 있다
日・中, 우리바다 넘본 이유

日・中, 우리바다 넘본 이유

대한민국은 3면이 바다인 해양민족이다. 늘 푸른 바다, 드넓은 바다, 3000여 개가 넘는 섬들은 우리네 삶의 터전이자 해양사가 기록되고 해양문화가 탄
화성시 서신면 전곡항 등대

화성시 서신면 전곡항 등대

화성시 전곡항은 시화방조제가 조성되면서 시화호 이주민을 위해 조성한 다기능어항이다. 항구는 화성시 서신면과 안산시 대부도를 잇는 방파제가 건
충남 당진시 송악읍 안섬포구 등대

충남 당진시 송악읍 안섬포구 등대

아산만 당진시 안섬포구는 서해안 간척 시대의 어제와 오늘, 서해 어촌이 걸어온 길과 관광 대중화에 발맞춰 섬과 포구가 어떻게 달라지는지를 보여주
군산시 옥도면 무녀도

군산시 옥도면 무녀도

새만금방조제를 지나 신시도에서 고군산대교를 지나면 무녀도다. 무녀도는 선유대교를 통해 선유도와 장자도와 연결돼 차량으로 고군산군도를 여행
(7) 푸른 하늘, 푸른 잎의 미학

(7) 푸른 하늘, 푸른 잎의 미학

봄이 왔다. 푸른 하늘이 열리는 청명을 지나 본격적인 농경이 시작되는 곡우를 앞두고 봄비가 내렸다. 농어촌 들녘마다 새싹이 무럭무럭 자라나 올 농
(7) 떠나가고 싶은 배

(7) 떠나가고 싶은 배

코로나로 모두가 묶여 있은 세상. 떠나고 싶다. 묶인 일상을 풀고 더 넓은 바다로 떠나고 싶다. 저 저 배를 바라보면서 문득, 1930년 내 고향 강진의 시인
(6) 호미와 삽

(6) 호미와 삽

소만은 24절기 가운데 여덟 번째 절기다. 들녘은 식물이 성장하기 시작해 녹음으로 짙어진다. 소만 무렵, 여기저기 모내기 준비로 분주하다. 이른 모내
신경림, '갈대'

신경림, '갈대'

언제부턴가 갈대는 속으로 조용히 울고 있었다. 그런 어느 밤이었을 것이다. 갈대는 그의 온몸이 흔들리고 있는 것을 알았다. 바람도 달빛도 아닌
그 섬에 다시 갈 수 있을까

그 섬에 다시 갈 수 있을까

아마추어 사진동호회의 총무, K의 전화를 받은 건 며칠 전이었다. 모처럼의 통화였지만 K의 목소리는 어제 만나 소주라도 나눈 사이처럼 정겨웠다. &ldqu
하와이 제도 <7> 하와이 아일랜드

하와이 제도 <7> 하와이 아일랜드

하와이 아일랜드는 하와이 제도에서 가장 크고 제일 어린 섬이다. 빅 아일랜드라는 별명에 걸맞게 다른 하와이의 섬들을 모두 합친 것보다 거의 두 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