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화제] 기울어진 고성 아야진 등대의 진실

밤이면 20km 해역까지 불빛을 비춰…해양사고 우려 철거
박상건 기자 2022-04-12 12:53:33

등대는 밤에 항해나 바다의 수로 안내를 돕는 역할은 한다. 주로 항구, 해변의 방파제, 해안선, 외딴 섬 등에 세워진다. 

일반인들이 쉽게 마주할 수 있는 등대가 방파제등대이다. 이 등대는 항구를 드나드는 선박의 안전을 위해 설치된 항로표지이다. 항구를 바라볼 때 왼쪽 방파제는 흰색등대, 오른쪽 방파제는 빨간등대이다. 

아야진 방파제등대(사진=섬문화연구소DB)

등대는 여러 종류가 있는데 항해하는 선박에게 항로 안전수역과 암초 등 장애물 위치를 알려주기 위해 침추를 해저에 고정해 해면에 뜨게 한 구조물 중을 등부표, 부표라고 부른다. 이 가운데 불빛을 비추는 역할을 하는 경우 등부표, 등화를 발하지 않는 것을 부표라고 한다. 

해상에서 위험한 암초나 수심이 얕은 곳, 항행금지구역 등을 표시하는 항로표지로써, 고정 건축물을 설치하여 선박의 좌초를 방지함과 동시에 그 위험을 표시한 구조물을 등표, 입표라고 부른다. 등화를 발하는 것은 등표, 등화를 발하지 않는 것은 입표이다.

강원도 고성군 아야진 앞바다에는 아야진동방등표(등표)가 세워져 있다. 흑황흑색으로 도색된 이 등대 높이는 16m에 이른다. 밤이면 20km 해역까지 불빛을 비춰 항해자가 아야진 항구 위치를 관측할 수 있다. 

지난 2010년에 설치된 아야진동방등대는 아야진항을 비롯해 강원 북부 주요 어항을 항해하는 해상교통로이자 선박의 안전을 위해 설치했다. 

기울어진 아야진동방등표(사진=섬문화연구소DB)

그러나 그동안 등대가 기울어진 채 방치돼 어촌계 및 관광객들로부터 항해 선박의 사고 위험과 바다 조망을 훼손한다는 민원이 지속적으로 제기되어 왔다. 

최근 동해지방해양수산청은 기울어진 채로 운영되던 아야진동방등대를 철거하고 새로운 등대를 설치키로 했다. 

올해 이 등대에 대한 철거와 설치작업을 위한 실시설계용역을 마무리하고 내년도 예산요구를 거쳐 늦어도 2024년도 전면 개량을 착수할 예정이다. 

이 등대는 시공사 등과 복구비 등을 놓고 소송이 진행돼 공사가 늦어진 것으로 알려졌다. 이런 문제를 안은 등대는 강릉 앞바다에 세워진 강릉등표이기도 하다.

    박상건(시인. 섬문화연구소장)

섬TV

박상건, '꿈꾸는 격렬비열도'

박상건, '꿈꾸는 격렬비열도'

망망대해 그 너머연사흘 흰 거품 물고 칠천만 년 꾹꾹 눌러 둔 고독이 마침내 폭발하더니만, 깊고 깊어 푸른 그 그리움 더 어쩌지 못하고 파도소리 뜨
유안진, ‘지란지교를 꿈꾸며’

유안진, ‘지란지교를 꿈꾸며’

저녁을 먹고 나면 허물없이 찾아가차 한 잔을 마시고 싶다고 말할 수 있는 친구가 있었으면 좋겠다.입은 옷을 갈아입지 않고 김치냄새가 좀 나더라도
송수권, ‘시골길 또는 술통’

송수권, ‘시골길 또는 술통’

자전거 짐받이에서 술통들이 뛰고 있다풀 비린내가 바퀴살을 돌린다바퀴살이 술을 튀긴다자갈들이 한 치씩 뛰어 술통을 넘는다술통을 넘어 풀밭에 떨
日・中, 우리바다 넘본 이유

日・中, 우리바다 넘본 이유

대한민국은 3면이 바다인 해양민족이다. 늘 푸른 바다, 드넓은 바다, 3000여 개가 넘는 섬들은 우리네 삶의 터전이자 해양사가 기록되고 해양문화가 탄
서해 끝섬, 격렬비열도

서해 끝섬, 격렬비열도

서해 끝섬, 서해의 독도인 격렬비열도. 정부가 국무회의를 통해 격렬비열도를 국가관리연안항으로 지정한 7월 4일이 ‘격렬비열도의 날’이다.
우리나라 최남단 섬 마라도

우리나라 최남단 섬 마라도

우리나라 최남단의 섬 마라도. 남제주군 모슬포항에서 배를 타고 남쪽으로 30분 정도 소요된다. 푸른 물결 퍼 올리며 달리는 배의 저편에 한 폭의 수채
(7) 푸른 하늘, 푸른 잎의 미학

(7) 푸른 하늘, 푸른 잎의 미학

봄이 왔다. 푸른 하늘이 열리는 청명을 지나 본격적인 농경이 시작되는 곡우를 앞두고 봄비가 내렸다. 농어촌 들녘마다 새싹이 무럭무럭 자라나 올 농
(7) 떠나가고 싶은 배

(7) 떠나가고 싶은 배

코로나로 모두가 묶여 있은 세상. 떠나고 싶다. 묶인 일상을 풀고 더 넓은 바다로 떠나고 싶다. 저 저 배를 바라보면서 문득, 1930년 내 고향 강진의 시인
(6) 호미와 삽

(6) 호미와 삽

소만은 24절기 가운데 여덟 번째 절기다. 들녘은 식물이 성장하기 시작해 녹음으로 짙어진다. 소만 무렵, 여기저기 모내기 준비로 분주하다. 이른 모내
박상건, '꿈꾸는 격렬비열도'

박상건, '꿈꾸는 격렬비열도'

망망대해 그 너머연사흘 흰 거품 물고 칠천만 년 꾹꾹 눌러 둔 고독이 마침내 폭발하더니만, 깊고 깊어 푸른 그 그리움 더 어쩌지 못하고 파도소리 뜨
유안진, ‘지란지교를 꿈꾸며’

유안진, ‘지란지교를 꿈꾸며’

저녁을 먹고 나면 허물없이 찾아가차 한 잔을 마시고 싶다고 말할 수 있는 친구가 있었으면 좋겠다.입은 옷을 갈아입지 않고 김치냄새가 좀 나더라도
송수권, ‘시골길 또는 술통’

송수권, ‘시골길 또는 술통’

자전거 짐받이에서 술통들이 뛰고 있다풀 비린내가 바퀴살을 돌린다바퀴살이 술을 튀긴다자갈들이 한 치씩 뛰어 술통을 넘는다술통을 넘어 풀밭에 떨
그 섬에 다시 갈 수 있을까

그 섬에 다시 갈 수 있을까

아마추어 사진동호회의 총무, K의 전화를 받은 건 며칠 전이었다. 모처럼의 통화였지만 K의 목소리는 어제 만나 소주라도 나눈 사이처럼 정겨웠다. &ldqu
하와이 제도 <7> 하와이 아일랜드

하와이 제도 <7> 하와이 아일랜드

하와이 아일랜드는 하와이 제도에서 가장 크고 제일 어린 섬이다. 빅 아일랜드라는 별명에 걸맞게 다른 하와이의 섬들을 모두 합친 것보다 거의 두 배